남미 볼리비아의 아마존 지역에 사는 원주민인 ‘치마네이’ 부족은 어떻게 심장이 그렇게 튼튼할까? 과학저널 ‘더 란셋’(The Lancet)은 지난 17일 ‘치마네이 부족 사람들의 심장이 지금까지 조사된 모든 사람 중 가장 건강하다’고 발표했다.
치마네이(Tsimane) 부족의 80세 되는 노인 혈관 나이는 미국에 사는 50대 중반과 같을 만큼 건강한 것으로 관찰되었다. 동맥경화에 시달리는 사람의 비율도 미국인의 5분의 1밖에 되지 않았다.
연구원들은 과도한 음식섭취와 현대적인 생활습관이 심장병의 새로운 위험요소라는 주장을 내놓고 있다. 심장병을 일으키는 주요 요소들은 나이, 흡연, 높은 콜레스테롤, 높은 혈압, 적은 신체활동, 비만과 당뇨병 등이다.
인류학자인 미국 뉴멕시코대학(University of New Mexico)의 힐라드 카플란(Hillard Kaplan)교수는 “치마네이 원주민이 지금까지 연구된 어떤 사람들 보다 동맥경화가 낮게 나타났다”고 발표했다.
탄수화물 위주로 식생활, 신체활동 매우 활발
치마네이 사람들은 포화지방이 적은 음식과, 섬유질이 많은 가공하지 않은 탄수화물을 많이 섭취한다. 그리고 고된 사냥과 고기잡이를 하면서 하루 온종일 움직이고, 담배를 피우지 않는다.
연구팀은 치마네이 사람들의 생활습관이 심장 건강과 매우 밀접한 관계를 가진 것으로 보고 있다.
예를 들어 미국 등 산업이 발달한 사회에서는 노동시간의 54%는 앉아서 일을 하지만, 치마네이 사람들은 낮 시간동안 신체활동을 하지 않는 시간은 겨우 10% 밖에 안 된다. 사냥하고, 수집하고, 낚시하거나 농사짓기 때문에 남자들은 하루 평균 6~7시간을 신체활동하면서 보내고, 여자들도 역시 4~6시간을 신체적으로 활동하면서 보낸다.
음식물의 72%는 탄수화물을 기반으로 한 것이다. 쌀이나 옥수수 땅콩 과일 플란테인 카사바 등 섬유질이 많은 가공하지 않은 탄수화물이 주를 이룬다. 단백질은 14%를 차지하며 주로 동물 고기에서 온 것이다. 지방 비율은 겨우 14%정도인데 이는 매일 38g의 지방에 해당하며 이중 포화지방은 11g이고 트랜스지방은 전혀 없다. 게다가 담배를 피우는 사람은 매우 드물다.
연구팀은 2014년에서 2015년 사이에 85개 치마네이 마을을 방문했다. 40~94세 사이 성인 705명의 심장을 CT촬영해서 심장병의 위험성을 측정하고, 관상동맥경화가 어느 정도까지 진행됐는지 확인했으며 체중, 나이, 심장박동수, 혈압, 콜레스테롤, 혈당과 염증 등을 측정했다.
이렇게 측정한 자료에서 심장동맥칼슘(CAC coronary artery calcium)수치를 확인하고 미국인과 비교했다.
치마네이 사람의 10명중 9명(705명 중 596명 85%)은 심장병 위험이 전혀 없었다.(CAC수치 0). 13%에 해당하는 89명은 심장병 위험이 낮았고(CAC 수치 1~100) 단지 3%에 해당하는 20명 만이 보통이나 높은 위험도를 보였다(CAC 100이상).
나이가 들어서도 마찬가지여서 75세 이상 된 노인 48명중 65%인 31명은 심장병 위험이 거의 나타나지 않았고 4명(8%)이 보통 또는 높은 위험성을 보였다. 이는 지금까지 기록으로 남아 있는 어떤 사람들 보다 혈관나이가 젊은 것임을 보여준다.
미국의 경우 45세에서 84세 사이의 성인 6814명을 조사한 결과를 보면, 겨우 14%만이 심장병 위험이 없었으며, 50%는 심장병 위험이 보통이거나 높았다. 이는 치마네 부족 보다 무려 5배나 높은 위험성이다.
치마네이 사람은 맥박수, 혈압, 콜레스테롤, 혈당은 매우 낮았는데 이는 생활습관의 차이에서 오는 것으로 연구팀은 추정했다. 다만 치마네이 사람들의 51%(705명 중 360명)는 염증을 가졌으나 그럼에도 불구하고 관상동맥경화증은 매우 낮았다.
성누가중부미국심장연구소(Saint Luke’s Mid America Heart Institute)의 심장병학자인 랜달 톰슨(Randall Thompson)교수는 “보통 우리가 알기는 염증은 심장병의 위험을 높인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톰슨 교수는 “치마네이 사람들에게 염증은 일반적이었지만, 이것이 심장질환의 위험성을 높여주지 않았으며, 아마도 이는 감염도가 높기 때문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이번 연구결과는 관찰해서 얻은 것이므로, 왜 치마네이 사람들의 혈관이 노화되지 않는지를 확인할 수 없었으며, 생활습관 중 음식이나 신체활동 또는 흡연의 어느 부분이 심장병을 막는데 가장 큰 도움이 되는지도 확인되지 않았다.
연구원들은 다만 건강한 심장이 유전적인 요인이라기 보다 생활습관의 결과로 보여진다고 말했다. 왜냐하면 이들 사이에서도 급격한 생활습관의 변화로 콜레스테롤 수치가 점차로 높아지는 변화가 나타나기 때문이다.
유전적 요인 보다 생활습관 덕분인 듯
지난 5년 동안 새로운 길이 나고 모터를 단 카누가 등장하면서, 근처 마을 시장으로 가서 설탕이나 요리용 기름을 구입하는 기회가 획기적으로 늘어났다.
미국 애리조나 주립대학의 벤 트럼블(Ben Trumble) 박사는 “이것이 치마네이 사람들의 경제적 변화와 식생활의 변화를 일으키는 주요 원인이다”고 말했다.
연구원들은 치마네이 사람들에게 있어서 심장병에 의한 사망이 매우 비상식적으로 적은 것은 낮은 동맥경화증과 연관이 있는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미국 롱비치메모리얼의료센터(Long Beach Memorial Medical Centre)의 그레고리 토마스(Gregory S. Thomas) 박사는 “이번 연구를 보면, 치마네이 사람들의 생활습관의 일부라도 채택하면 심장병을 줄이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고 말했다.
그같은 생활습관은예를 들어 지방이나 고기섭취는 줄이는 대신 탄수화물 섭취를 늘리고, 담배를 피우지 않으며 신체활동을 활발하게 하는 것 등이다.
토마스 박사는 “치마네이 사람 대부분은 일생동안 관상동맥경화증을 경험하지 않고 살아간다. 산업화된 국가에서는 그들의 생활습관을 모두 다 따라갈 수는없지만, 이중 어떤 것은 채택해서 심장질환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고 말했다.
(4339)
로그인후 이용 가능합니다.
/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23일 올해 공공 분야의 소프트웨어·정보통신기술(ICT) 장비·정보보호 사업 규모가 작년보다 2.7% 증가한 6조2천239억원으로 집계됐다고 밝혔다. 소프트웨어 구축 사업 예산이 4조5천406억원으로 가장 많았고 상용 소프트웨어 구매에 3천605억원이 소요되는 것으로 조사됐다. 컴퓨팅, 네트워크, 방송 장비 등 ICT 장비 구매 비용은 1조 3천227억원으로 나타났다. (11)
/ 36개국이 한국에 모여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기술 협력방안 도출에 머리를 맞댄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유엔기후변화협약 기술메커니즘 이사회가 24일 개막했다고 밝혔다. 이사회는 오는 29일까지 인천 송도에서 계속된다. 유엔기후변화협약은 온실가스 감축을 위해 1992년 설립된 협약이다. 총 198개국이 참여하는 규범으로, 매년 당사국총회를 열어 주요 사항을 결정한다. 기후메커니즘은 2010년 당사국총회에서 기후변화대응을 위한 과학기술 중요성에
/ 울산과학기술원(UNIST)은 혈관이 막혀 실명으로 이어질 수 있는 응급 질환인 망막혈관폐쇄질환을 치료할 수 있는 실마리를 발견했다고 23일 밝혔다. UNIST에 따르면 화학과 조재흥 교수팀은 서울아산병원 안과 이준엽 교수팀, 한국과학기술원(KAIST) 백무현 교수팀과 망막혈관폐쇄질환의 새로운 치료법을 찾기 위한 공동연구를 진행했다. 공동연구진은 폐쇄된 혈관을 확장해 효과적으로 흐름을 복구하는 ‘철-일산화질소 복합체’ 개발에 성공했다 일산화질소는
/ 충남 천안아산 KTX역세권 연구개발(R&D) 집적지구 1호 사업인 충남지식산업센터가 23일 준공됐다. 센터는 천안시 서북구 불당동 4천510㎡ 부지에 지하 1층·지상 6층 규모(연면적 1만2천471㎡)로 건립됐다. 입주대상은 지식산업, 정보통신, 제조업과 관련 지원시설 등이다. 반도체 장비 제조, 엔지니어링, 소프트웨어 개발, 산업용 필터 등 12개 기업이 이달 중 입주할 예정이다. 충남도는 지식산업센터를 통해 일자리
/ 한국과학기술원(KAIST) 부설 인공지능(AI) 바이오 영재고가 청주시 흥덕구 오송읍에 들어선다. 개교 목표 시기는 2027년 3월이다. 충북도는 23일 한국과학기술원이 희망하는 학교 부지요건 등에 대한 의견을 듣고 도교육청과 함께 숙고한 끝에 오송읍을 건립 부지로 결정했다고 밝혔다. 부지 선정의 결정적 요건은 향후 설립될 한국과학기술원 오송캠퍼스와의 접근성, 핵심인력 양성의 용이성 등이었다. 오송에는 첨단의료제품
/ 교육부는 교원의 인공지능(AI)·디지털 역량을 강화하기 위한 ‘2023년 아이에답(AIEDAP) 사업 착수보고회’를 23일 서울 중구 한국프레스센터에서 연다고 밝혔다. 아이에답은 민·관·학 디지털 전문가가 현직 교원과 예비 교원의 디지털 역량 강화를 지원하는 사업으로 지난해 시작됐다. 올해는 지역 여건에 맞는 사업을 추진할 수 있도록 권역별 사업지원단을 꾸리고, 교육 현장에서 디지털 기술을 바탕으로 수업을
/ 강원 양구군은 치매 환자, 독거노인 등 돌봄이 필요한 고령자를 대상으로 인공지능(AI) 말벗 인형 ‘천사친구 효돌·효순이’ 서비스를 제공한다고 23일 밝혔다. 군은 치매안심센터에 등록한 맞춤형 사례관리 대상자 중 우울 척도가 높은 10명에게 오는 12월까지 말벗 인형을 지원한다. 이는 정서·인지 정도가 다소 낮은 어르신을 돕는 인형 모양의 로봇이다. 일상 중 말벗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