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국과 남아프리카에 이어 미국에서도 변이 바이러스가 발견됐다.
14일 ‘ABC’, ‘CNBC’ 등 언론들은 오하이오 주립대 웩스너 의료센터 연구진이 코로나19를 유발하는 또 다른 변이 바이러스를 발견했다고 밝혔다.
이 바이러스는 영국에서 발견된 변이 바이러스와 동일한 돌연변이를 가지고 있으면서 또 다른 3개의 돌연변이(gene mutations)를 지니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진은 미국에 이미 존재하는 영국의 변이 바이러스에서 새로운 돌연변이가 발생했을 가능성이 높다고 말했다.
영국, 남아프리카에 이어 미국 오하이오 주에서 새로운 코로나19 변이 바이러스가 발견됐다. 과학자들은 이 바이러스가 영국 변이 바이러스가 더 진화한 것으로 보고 있다. ⓒ게티이미지
3개 돌연변이 유전자 추가 발견
연구진은 관련 보고서를 대중에 공개하기 위해 학술논문 사전 공개 사이트 ‘바이오아카이브(Biorxiv.org)’ 게재할 예정이다.
오하이오 주립대 웩스너 의료센터에서는 코로나19 바이러스의 진화를 모니터링하기 위해 2020년 3월부터 코로나19 환자들로부터 신종 바이러스(SARS-Cov-2)를 채취한 후 유전자를 분석해왔다.
이번에 발견한 변이 바이러스는 환자에게서 발견됐다. 연구진은 이 바이러스가 오하이오 주 중부에 있는 도시 콜럼버스에서 지난 12월 말부터 최근까지 지배적인 바이러스가 됐다고 말했다. 그러나 얼마나 전파됐는지 유병률을 아직 파악하지 못하고 있다고 밝혔다.
웩스너 의료센터 분자병리학부의 댄 존스(Dan Jones) 박사는 “이 새로운 균주가 이전에 발견한 돌연변이 바이러스와 동일한 특징을 갖고 있지만 새로운 세 가지 돌연변이가 발생한 것은 그동안 이 바이러스에 상당한 진화가 이루어지고 있음을 보여준다.”고 말했다.
존스 박사는 “이런 변이가 영국이나 남아프리카 공화국에서 발생한 것이 아니라 미국에서 발생한 것임을 확인하고 있다.”고 밝혔다.
연구진이 오하이오주립대 사이트를 통해 공개한 자료에 의하면 새로 발견된 변이 바이러스는 영국에서 발견한 변이 바이러스와 마찬가지로 신종 바이러스 표면을 구성하는 스파이크 단백질 내에 유사한 변이 현상을 보이고 있다.
스파이크 단백질은 인체 세포에 침투할 때 바이러스와 세포 간의 가교 역할을 하면서 바이러스 감염의 핵심적인 역할을 하는 부위다.
영국에서 시작된 변이 바이러스 ‘B.1.1.7’은 17개의 돌연변이를 획득하고 있는데 그중 8개 유전자에서 돌연변이가 발생하고 있으며, 이전보다 최고 70%에 달하는 높은 감염률을 나타내고 있다.
새로 발견된 변이 바이러스 역시 스파이크 단백질에 추가 변이가 이루어졌다. 그런 만큼 연구진은 이 새로운 변이 바이러스가 영국 변이와 마찬가지로 감염률을 더 강화할 수 있다고 우려하고 있는 중이다.
기존 백신‧치료제 효과 아직 미지수
연구진은 이 변이 바이러스를 ‘COH.20G/501Y’로 호칭하고 있다.
이 소식이 알려지면서 많은 과학자들이 우려를 표명하고 있다. 가장 우려되는 것은 이 바이러스에 감염된 환자에게 현재 접종되고 있는 백신과 치료제가 적용될 수 있는지 여부다.
연구를 이끌고 있는 웩스너 의료센터의 피터 몰러(Peter Mohler) 박사는 “지금 상황에서 예방 및 치료 효과를 아직 알 수 없다.”며, “추가 데이터를 얻을 때까지 이 새로운 변이 바이러스에 과도하게 반응하지 않을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현재 웩스너 의료센터에서는 이 돌연변이 바이러스가 코로나19 감염에 어떤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전체 인구 가운데 얼마나 많은 유병률을 나타내고 있는지, 그리고 감염됐을 경우 어떤 증상을 나타내는지 모니터링을 진행하고 있는 중이다.
영국, 남아프리카에 이어 미국서 새로운 변이 바이러스 ‘COH.20G/501Y’가 등장했다는 것은 다른 감염 지역에서 또 다른 변이가 발생할 수 있음을 말해주는 것이다.
웩스터 센터의 댄 존스 박사는 “모든 바이러스가 자연스럽게 변이 되고 있는 것처럼 코로나19 바이러스도 변이가 이루어지고 있다.”며, 최근 코로나19 변이 바이러스가 발생하고 있는 것을 당연한 결과라고 설명했다.
그러나 존스 박사는 “지난 두 달 동안 감염률이 팬데믹 초기보다 더 두드러졌다.”며, “이런 현상이 변이 바이러스와 관련이 있는지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고 밝혔다.
오하이오 주 보건부에 따르면 전체 확진자 수는 12일(현지 시간) 기준 6701명이 더 늘어나 79만 9639명을, 사망자는 79명이 늘어나 9881명을 기록하고 있으며, 4만 2151명이 입원해 치료를 받고 있는 중이다.
이는 이전과 비교해 크게 늘어난 수치로 보건부 등 관련 단체들은 웩스너 의료센터의 분석 결과를 주시해왔다.
이번 연구 결과와 관련 레인보우 소아병원의 클라우디아 호옌(Claudia Hoyen) 박사는 “이 새로운 균주가 이전 바이러스보다 더 전염성이 있는 것 같다.”며, “백신 접종이 이루어지고 있지만 사회적 거리두기 등 방역조치를 더 강화해야 한다.”고 말했다.
한편 이 소식이 알려지면서 오하이오 인근에 있는 주 정부들이 크게 긴장하고 있는 중이다. 호옌 박사는 “지금 추세로 보아 오하이오에 이어 클리블랜드에 변이 바이러스가 나타날 가능성이 매우 크다.”고 말했다.
(1706)
로그인후 이용 가능합니다.
종양 내부에 발생하는 저산소증만 감지해 암을 진단할 수 있는 신개념 조영기술이 개발됐다.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KBSI) 바이오융합연구부 홍관수 박사 연구팀은 미국 텍사스대 세슬러 교수 연구팀과 공동으로 종양의 저산소증에 반응해 신호를 내는 감응성 바이모달(MRI·광학 혼합) 이미징 프로브를 개발했다고 25일 밝혔다.
인공지능(AI) 기술이 국가안보에도 중대한 영향을 미치는 상황에 우리나라가 대응해 필수적인 AI 기술을 중점 육성해야 한다는 제언이 나왔다. 24일 학계에 따르면 소프트웨어정책연구소가 최근 펴낸 '국가안보를 위한 인공지능과 3대 전략 기술'보고서는 우리 정부가 보호·육성해야 할 AI 기술로 ▲ 지능형 반도체 ▲ 자율무기 ▲ 생성적 적대 신경망(GAN) 등 3가지를 제시했다.
울산과학기술원(UNIST)은 빛 없이도 화학반응을 일으키는 새로운 광촉매 기술을 개발했다고 24일 밝혔다. UNIST에 따르면 신소재공학과 신형준 교수 연구팀은 기존 이산화 티타늄 광촉매 위에 탄소나노소재를 증착시킨 형태로 광촉매를 설계해 햇빛이 없을 때도 유기 오염물질 제거·살균 효과가 있는 광촉매를 개발했다. 광촉매가 물을 분해해 만드는 수산화 라디칼은 미세플라스틱, 폐염료 등 유기 오염물질 분해와 살균 효과가 있어 폐수 처리나 공기 정화 기수에 사용할 수 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과기정통부)는 25일 '누리호 발사관리위원회'를 열어 한국형발사체 누리호(KSLV-Ⅱ)의 2차 발사일을 6월 15일로 확정했다고 밝혔다. 다만 기상 등에 따른 일정 변경 가능성을 고려해 발사예비일을 내달 16∼23일로 설정했다. 정확한 발사시각은 발사 당일에 2차례 열릴 발사관리위원회에서 확정되며, 시간대는 지난 1차 발사(2021년 10월 21일 오후 5시)와 비슷하게 오후 3∼5시 사이에 이뤄질 것으로 전망된다.
미세먼지 중에서도 가장 입자가 작은 나노미세먼지가 허파에 깊숙이 침투해 오래 머무르면서 영향을 끼친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23일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KBSI)에 따르면 바이오융합연구부 홍관수·박혜선 박사 연구팀은 형광 이미징이 가능한 초미세·나노미세먼지 모델입자를 제작해 생체에 주입한 뒤 최대 한 달 동안 장기별 이동 경로와 세포 수준에서의 미세먼지 축적량을 비교·분석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국립전파연구원은 국제전기통신연합 전기통신표준화부문(ITU-T) 정보보호 연구반(SG17) 회의에서 우리나라 주도로 개발한 표준 4건이 사전 채택됐다고 23일 밝혔다.
한국과학기술원(KAIST)은 신소재공학과 장재범 교수와 전기및전자공학과 윤영규 교수 연구팀이 기존보다 5배 더 많은 단백질 바이오마커(생체지표)를 동시에 찾아낼 수 있는 '멀티 마커 동시 탐지 기술'을 개발했다고 23일 밝혔다. 한 번에 15∼20개 단백질 마커를 동시에 탐지할 수 있는 피카소(PICASSO) 기술은 동시 탐지 기술 가운데 가장 많은 수의 단백질 마커를 가장 저렴한 비용으로, 가장 빨리 탐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