달에서는 낮과 밤이 각각 14일씩 이어진다. 이 때문에 달 탐사선은 낮 동안에 착륙해서 탐사 활동을 하고, 태양광 발전이 불가능한 밤중에는 대기 상태로 전환하는 편이다. 그러나 아르테미스 계획처럼 사람이 달에서 장기간 머무른다면 항시 전력을 생산해야 할 필요성이 있다.
지난 2일 항공우주매체 ‘스페이스뉴스’에 따르면, 미항공우주국(NASA)은 달 및 화성 탐사를 위한 ‘핵분열 표면 출력(Fission Surface Power)’ 1단계 사업에 참여할 업체들에게 다음 달 초까지 공식 제안을 요청할 예정이다. 이 프로젝트는 월면에 설치될 10kW급 소형 원자로를 2027년까지 개발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월면에 설치된 ‘킬로파워’ 원자로 상상도. ⓒ NASA
NASA는 미국 에너지부(DOE)와 함께 2015년부터 ‘킬로파워(Kilopower)’라는 우주 원자력 프로젝트를 추진해왔다. 지난 2018년 3월 네바다 시험장에서 킬로파워의 첫 기술 시연에 성공했는데, 당시 공개된 ‘크러스티(KRUSTY)’ 시험용 원자로는 고농축 우라늄(HEU)을 사용하여 최대 1kW의 전력을 생산하도록 설계되었다.
앞으로 진행될 공모 사업에서는 크러스티 기술을 기반으로 10배 출력의 원자로를 개발하게 된다. NASA는 미래의 화성 거주지에 4개 이상의 10kW급 원자로를 설치해서 최소 필요 전력을 생산할 계획이다.
유도 핵분열을 이용한 최초의 우주 원자로
심우주 탐사선들은 ‘방사성동위원소 열전기 발전기(Radioisotope thermoelectric generator, RTG)’라는 원자력 장치를 갖출 예정이다. 태양에서 멀어질수록 태양 패널만으로는 충분한 전력을 얻기 어려워서다. 화성에 착륙한 바이킹 1, 2호와 큐리오시티 로버 역시 RTG를 사용했다.
RTG는 주로 플루토늄-238의 자연 방사성붕괴에서 나오는 열을 이용한다. 그러나 원자력 협정에 따라 플루토늄 생산은 제약을 받는다. 또한, 수백 와트에 불과한 출력이 점차 저하된다는 단점도 있다. RTG를 3개씩 탑재했던 보이저 1, 2호의 최초 출력은 470W였으나, 2011년이 되자 270W 이하로 떨어졌다.
킬로파워 시연을 위해 작업 중인 기술자들. ⓒ NASA
킬로파워는 프리피스톤 방식의 스털링 기관을 적용한 본격적인 유도 핵분열 발전 장치다. 일반 원자로와 유사하게 탄화 붕소 막대를 제어봉으로 사용하지만, 금속 나트륨을 냉각재로 사용해서 설치와 운반이 간편하다.
NASA 우주기술임무국의 앤서니 칼로미노(Anthony Calomino) 핵시스템 포트폴리오 매니저는 “킬로파워는 달에서의 지속적인 활동, 특히 달의 밤에 생존하는 데 도움이 된다”라면서 “유인 월면 임무는 우주 핵분열 시스템을 개발하고, 시험할 기회를 제공한다”라고 밝혔다.
우주 원자로, 과연 안전할까?
우주 원자로에 대한 대중의 불신이 깊다. 만약 운반 로켓이 공중 폭발하면 넓은 지역에 방사성 물질을 뿌리지 않겠냐는 생각이 퍼져있어서다.
이에 대해 킬로파워 연구진은 사고가 발생하더라도 매우 안전하다고 전했다. 그 이유는 지구상의 대부분 원자로와 다르게 물과 같은 액체 냉각제를 사용하지 않기 때문이다. 물이 너무 뜨거워지면 증기 폭발을 일으킬 수 있고, 오염 물질을 더 쉽게 퍼트려서 문제가 된다. 반면, 킬로파워의 히트 파이프에 들어 있는 나트륨은 열에 의해 녹을 때까지 고체 상태를 유지한다.
화성 거주지에 4개의 10kW급 킬로파워를 설치한 상상도. 멀리 떨어진 태양광 발전 시설과도 연결된다. ⓒ NASA
연료로 사용하는 우라늄-235의 위험성도 대중의 선입견과 달리 매우 낮다고 한다. 킬로파워 프로젝트 책임자인 패트릭 맥클루어(Patrick McClure) 로스앨라모스 연구소 수석연구원은 “만약 발사대에서 로켓 폭발이나 화재와 같은 사고가 발생한다면 1km 떨어진 곳의 방사선 측정치는 자연 방사선량보다 훨씬 적을 것이다”라고 밝혔다.
가장 위험한 시나리오는 원자로가 우연히 작동했을 경우지만, 킬로파워의 설계 방식상 실제로는 거의 불가능하다. 연구진은 최악의 경우라도 발사 도중에 원자로가 작동할 가능성이 희박하다고 말했다.
화성 차량에 탑재한 킬로파워. 텅스텐 방열판을 양산처럼 접거나 펼칠 수 있다. ⓒ NASA
하지만 킬로파워는 경량화를 위해서 고농축 우라늄을 연료로 사용한다. 핵무기에도 사용할 수 있는 고농축 우라늄의 도입은 핵 비확산 커뮤니티들의 우려를 불러일으켰다. 그런 문제 제기로 저농축 우라늄(LEU) 사용도 신중하게 고려되고 있다.
NASA와 미국 에너지부는 이번 1단계 사업 참여 업체 중에 한 개를 선정하여 2022년부터 2단계 사업을 진행할 예정이다. 업체와의 프로젝트 비용 분담을 통해서 예산을 줄이는 방식도 검토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2879)
로그인후 이용 가능합니다.
한국과학기술원(KAIST)은 신소재공학과 김상욱 교수 연구팀이 매번 다른 형태를 형성하는 나노미터(㎚·1㎚는 10억분의 1m) 패턴의 새로운 사물인터넷(IoT) 보안·인증 기술을 개발했다고 9일 밝혔다. 연구팀이 대구경북과학기술원(DGIST) 김봉훈 교수, 성균관대 권석준 교수와 공동으로 개발한 인증 기술은 서로 다른 모양을 갖는 수십억 개 나노 패턴을 저비용으로 만들어낼 수 있다.
거미가 사람처럼 한밤중에 이른바 '렘수면' 상태의 행동을 보인다는 연구 결과가 공개돼 서구 과학계에서 갑론을박이 벌어졌다. 9일 AP 통신, 뉴욕타임스(NYT)에 따르면 독일 콘스탄츠대에서 진화생물학을 연구하는 다니엘라 뢰슬러는 한밤중 줄에 매달린 작은 깡충거미의 행동을 카메라로 살펴본 결과 마치 렘수면 상태에 빠진 것처럼 다리를 씰룩거리고 눈을 깜빡이는 모습을 확인했다고 밝혔다.
올해 연말을 목표로 하는 중국의 독자 우주정거장 건설 작업이 순항하고 있다. 10일 인터넷 매체 펑파이 등에 따르면 중국 유인항천공정 판공실은 우주정거장 '톈궁'(天宮)의 두 번째 실험실 모듈 '멍톈'(夢天)을 최근 하이난 원창 우주발사장으로 옮겼다고 밝혔다. 각종 테스트 작업 등을 거친 뒤 오는 10월 발사해 핵심 모듈인 톈허(天和)와 도킹하면 'T'자형 우주정거장의 기본 골격이 완성된다.
30년 전인 1992년 8월 11일, 노태우 당시 대통령은 우리나라의 첫 인공위성 '우리별1호'가 남미 프랑스령 기아나 쿠루 기지에서 성공적으로 발사됐다는 소식을 알리며 이렇게 말했다. 질량 48.6㎏의 아주 작은 위성인데다가 제작도 해외 대학(영국 서리대)과 함께 했지만, 우리별 1호의 개발과 발사는 우주과학기술 불모지였던 한국이 발전의 초석을 다지는 중요한 사건이었다. 한국은 우리별 1호가 우주로 올라가면서 세계에서 22번째로 국적 위성을 보유한 국가가 됐고, 이때의 경험을 바탕으로 독자적인 위성개발 능력을 확보해 오늘날 자력으로 위성을 제작하고 있다.
울산과학기술원(UNIST)은 인공지능(AI)을 이용해 고분자 시뮬레이션을 빠르게 수행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했다고 9일 밝혔다. UNIST에 따르면 물리학과 김재업 교수 연구팀은 일주일 정도 소요되던 계산을 하루 안에 끝낼 수 있는 'AI 고분자 시뮬레이션 기술'을 개발해 오픈소스 프로그램으로 공개했다. 옷감이나 플라스틱 등 우리 일상에는 고분자로 만든 재료가 많고, 특히 나노 기술은 고분자의 자기조립 성질을 이용하는 경우가 흔하다.
서울대 연구진이 차세대 리튬금속 배터리 전해질 성능을 높일 수 있는 유기-물리화학적 성질을 최초로 발견했다. 서울대는 임종우 자연과학대 화학부 교수 연구진이 불소를 제거한 유기분자로 리튬금속음극 안정성을 대폭 향상해 1천500회 이상 충·방전 사이클을 구동하는 데 성공했다고 8일 밝혔다.
울산과학기술원(UNIST)은 그린수소 생산 기술로 불리는 물 전기분해의 효율을 높이는 전극 코팅 기술을 개발했다고 8일 밝혔다. UNIST에 따르면 에너지화학공학과 류정기 교수 연구팀은 전극 표면에 수화젤(Hydrogel)을 코팅해 물 전기분해의 성능을 높이는 기술을 개발했다. 물 전기분해는 물에 담긴 전극에 전류를 흘려 물을 산소와 수소로 분해하는 기술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