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반 소재보다 훨씬 단단한 소재를 초경질 소재(superhard material)라고 한다.
강도를 측정하는 비커스 경도 시험(Vickers hardness test)에 의해 강도가 40 기가파스칼(GPa)을 넘는 물질을 말한다.
1 기가파스칼급 강판인 기가스틸에 대해 10원짜리 동전 크기의 물질로 10t의 무게를 견딜 수 있을 정도의 강도를 뜻하는데 이를 감안할 경우 40 기가파스칼의 강도를 갖기 위해서는 10원짜리 동전 크기로 400톤의 무게를 견딜 수 있어야 한다.
과학자들이 다이아몬드보다 더 강한 소재를 설계하는데 성공했다. 사진은 뉴욕주립대 과학자들이 설계한 43종의 초경질 소재 중 3종의 결정 구조. 다이아몬드보다 더 단단한 것으로 확인되고 있다. ⓒBob Wilder / University at Buffalo
다이아몬드 대체 기술, 돌파구 열어
그동안 많은 과학자들이 초경질 소재를 개발하기 위해 많은 노력을 기울여왔다.
이 물질을 개발할 경우 가격이 비싼 다이아몬드를 대체해 사용할 수 있어 비용을 크게 절감할 수 있다고 판단했기 때문.
다른 물질에 접촉했을 때 손상을 주지 않으면서 드릴(drill), 절단(slice) 작업을 할 수 있고, 표면을 부드럽게 하거나 도장할 수 있는 소재를 개발해왔지만 뚜렷한 성과를 거두지 못하고 있었다.
그러나 최근 과학자들이 다이아몬드 수준에 도달할 수 있는 초경질 소재를 만들 수 있는 다수의 탄소 구조를 설계해 과학계를 흥분케 하고 있다.
10일 ‘phys.org’는 뉴욕주립대 버펄로 캠퍼스에서 초경질 소재를 개발할 수 있는 물질구조를 설계하는데 성공했다고 보도했다.
화학자 에바 쥬렉(Eva Zurek) 교수는 인터뷰를 통해 “컴퓨터 분석 기술을 활용, 이전에 알려지지 않은 43종의 탄소 구조를 설계하는데 성공했으며 이중 일부는 다이아몬드에 근접하거나 넘어설 정도로 높은 강도를 지니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또 “이 구조들을 활용해 초경질물질을 개발할 경우 비싼 다이아몬드를 대체할 수 있는 소재 개발이 가능해 산업계에서 지출하는 비용을 대폭 절감할 수 있다.”고 말했다.
연구 결과는 지난주 네이처 자매지 ‘’엔피제이 컴퓨테이셔널 머터리얼즈'(npj Computational Materials)’ 지에 게재됐다. 논문 제목은 ‘Predicting superhard materials via a machine learning informed evolutionary structure search’이다.
연구팀은 논문을 통해 최근 컴퓨터 기술 발전으로 산업계에서 필요한 초경질 물질 구조들을 예측해 화합물을 설계할 수 있는 길이 열렸다고 설명했다.
연구팀이 활용한 것은 기계학습(machine learning)이다. 미래 생산이 가능한 신소재 결정구조를 찾기 위해 오픈소스의 진화 알고리즘인 ‘XtalOpt’을 개발했으며, 이 알고리즘에 머신러닝을 적용했다고 밝혔다.
신물질, 열과 전기에 민감하게 반응해
산업계에서 사용하고 있는 다이아몬드는 지금까지 알려진 가장 단단한 물질이다. 강도가 70~150 기가파스칼에 달한다.
그러나 양질의 다이아몬드를 구입하려면 천문학적인 비용을 지불해야 한다. 때문에 산업계에서는 다이아몬드 사용이 늘어나면서 높은 가격 때문에 골머리를 앓아왔다.
과학자들이 오스뮴(Osmium)과 같은 다이아몬드를 대체할 새로운 물질들을 개발해왔지만 기대에 못 미쳤다. 고압에서 견딜 수 있는 강도에서 미흡함을 보였으며 드릴, 절단 등의 능력에 있어서도 다이아몬드를 흉내 낼 수 없었다.
이런 상황에서 과학자들은 다이아몬드처럼 높은 전자 밀도를 지니고 있으면서 질서정연하게 원자가 배열된 신소재를 설계하기 시작했다.
뉴욕주립대 연구 결과에 따르면 과학자들의 이런 노력에 인공지능 기술인 머신러닝이 결정적인 도움을 준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또한 컴퓨터 기술 발전으로 생산 비용이 훨씬 적게 들면서 강도와 예민함에 있어서는 다이아몬드에 버금가는 새로운 물질을 설계했다.
쥬렉 교수는 “새로 설계한 43종의 결정구조들 가운데는 초경질의 특성을 지니고 있으면서 열과 전기에 더 민감하게 반응하는 등 다이아몬드와 다른 속성을 지니고 있는 결정구조들이 다수 포함돼 있다.”고 밝혔다.
그러나 이들 43종의 결정구조가 실용화되기 위해서는 실제 비커스 경도 시험을 거쳐 그 강도가 확인돼야 한다.
다이아몬드란 명칭은 ‘정복할 수 없다’란 뜻을 지닌 그리스어 아다마스(adamas)에서 나왔다. 고대 그리스인들의 말대로 2000여 년이 지난 지금까지 인류는 다이아몬드의 강도와 예민한 특성을 정복하지 못했다.
뉴욕주립대의 이번 연구 결과는 그동안 불가능한 것으로 여겨져 왔던 다이아몬드의 신비를 재현할 수 있는 길을 열어놓고 있다. 특히 소재 분야 과학자들은 논문을 접한 후 다이아몬드를 정복할 문이 열렸다며 놀라움을 표명하고 있다.
(13938)
로그인후 이용 가능합니다.
/ 이종호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은 29일 “극한소재 실증연구 기반조성 사업은 우리나라 극한소재 실증연구 역량을 강화하고 기술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는 교두보 마련의 기회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 장관은 이날 오후 경남 창원 한국재료연구원을 방문해 극한소재 실증연구 기반조성 사업 현황을 점검한 자리에서 이같이 밝혔다고 과기정통부가 전했다. 이 사업은 초고온·극저온·특정극한 등 미래 유망소재
/ 금융권에서 전산장애 사태가 발생하지 않도록 금융당국과 각 금융협회가 가이드라인 제정에 나섰다. 금융감독원은 29일 금융 정보기술(IT) 안전성 강화를 위한 가이드라인 제정을 위한 태스크포스(TF)를 구성하고 이날 금감원 본원에서 각 금융협회와 첫 회의를 열었다고 밝혔다. TF는 오는 6월까지 성능관리, 프로그램 통제, 비상대책 등 3개 과제를 검토하고, 각 협회는 금융회사 의견을 수렴해
/ 시각이나 촉각 센서 도움 없이 계단을 오르내리고 울퉁불퉁한 곳에서도 넘어지지 않고 움직이는 사족보행 로봇기술이 국내 연구진에 의해 개발됐다. 한국과학기술원(KAIST) 전기및전자공학부 명현 교수 연구팀은 잠에서 깬 사람이 깜깜한 상태에서 시각적인 도움 없이도 화장실을 갈 수 있는 것 같은 블라인드 보행(blind locomotion)을 가능케 하는 로봇 제어 기술 ‘드림워크’(DreamWaQ)를 개발했다고 29일 밝혔다.
/ 챗GPT 등장 이후 인공지능(AI) 교육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는 가운데 AI를 바르게 활용할 ‘리터러시’(문해력)를 키워야 한다는 분위기가 조성되고 있다. 서울시교육청은 29일 학교 AI 교육이 나아갈 방향에 대해 현장 교원의 의견을 수렴하는 ‘챗GPT 시대의 AI 리터러시’ 토론회를 이날과 31일 양일간 개최한다고 밝혔다. 토론회에서는 ‘서울형 AI 윤리교육 모델’을 상세히 소개하고 학교의
/ 서울디지털재단은 이달 28∼31일 대만 타이베이에서 열리는 아시아 최대 규모의 스마트시티 전시인 ‘SCSE(Smart City Summit & Expo) 2023’에 서울관을 최초로 설치했다고 29일 밝혔다. 올해 SCSE 주제는 ‘스마트시티의 새로운 차원으로 이끄는 디지털 전환’이다. 47개국에서 1천700개 부스를 마련했다. 서울관은 서울시의 디지털 포용정책 등을 알리는 정책존, 서울의 혁신 서비스와 솔루션을 효과적으로 소개하는
/ “사람마다 속도나 원인이 다른 관절의 노화를 어떻게 하면 제어할 수 있을지 고민이 많았지요.” 휴대전화 센싱(sensing) 기술로 관절의 노화 인자를 찾아내 치료하는 연구에 성공한 원광대학교 생명과학부 진은정 교수는 28일 유전자 전사체(유전체에서 전사되는 RNA 총체)를 먼저 설명했다. 사람마다 얼굴이 다르듯 유전자의 발현 양상이 천차만별인데, 이를 분석·통제하는 게 생명과학 연구의 기본이다. 유전자의
/ 식품의약품안전처는 올해 들어 인공지능(AI)을 활용한 소프트웨어 3종을 혁신의료기기 통합심사·평가 대상으로 지정했다고 27일 밝혔다. 지정된 제품은 딥노이드의 뇌동맥류 뇌영상검출·진단보조소프트웨어, 코어라인소프트의 뇌출혈 뇌영상검출·진단보조소프트웨어, 메디컬에이아이의 심부전·심전도분석소프트웨어다. 혁신의료기기 통합심사·평가 제도는 식약처, 건강보험심사평가원, 한국보건의료연구원이 순차적으로 진행하던 평가를 통합적으로 진행해, 의료기기가 허가와 동시에 신속하게 의료 현장에 진입하게 하는 제도다. 딥노이드 제품은 뇌혈관 MRA(자기공명혈관조영술) 영상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