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동안 많은 사람들이 고양이를 냉담한 동물로 인식해왔다.
개처럼 사람과 끈끈한 유대관계를 갖지 않는다는 것. 그러나 이런 주장을 뒤엎는 연구 결과가 발표됐다.
24일 ‘사이언스 뉴스’, ‘텔레그래프’ 지 등은 미국 오리건주립대학 연구팀이 고양이 역시 개처럼 자신의 주인과 끈끈한 유대관계를 갖고 있다는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 과학자들에 의해 이런 사실이 밝혀진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고양이 감성 연구는 처음 있는 일
애착이론(Attachment Theory)이라는 것이 있다.
어머니와 아기 간에 형성된 강력한 정서적 결속이 영아의 생존 및 심리, 사회적 발달에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는 이론이다.
이 이론에 따르면 어머니와 아기 간에 네 가지 애착 관계가 형성되고 있다.
어머니가 떠나고 다시 돌아올 때 안정적인 슬픔과 행복감을 보이는 안정적(secure) 애착이 있는 반면 이해하기 힘든 반응을 보이는 세 가지 애착이 있다.
어머니에게 매달리면서도 크게 분노하는 애증이 엇갈리는 양가적(ambivalent) 애착, 그리고 어머니가 돌아왔을 때 무시해버리는 회피성(avoidant) 애착, 그리고 어머니로부터 관심을 받기 원하면서 한편으로는 접근을 기피하는 혼란성(disorganized) 애착이 있다.
행동심리학자들이 주축이 된 오리건주립대 연구팀은 이 이론을 고양이에게 적용했다.
79마리의 고양이들을 대상으로 각기 한 마리씩 생소한 방 안에서 주인과 함께 2분 동안 머물게 한 후 다시 2분 간 혼자서 머물게 했다. 그리고 다시 주인이 나타나 2분 동안 함께 하면서 고양이가 어떤 반응을 보이는지 관찰했다.
그 결과 불안한 움직임을 보였던 고양이들 중 65%가 다시 정상을 찾으며 생소한 방 안 환경에 대해 집중력을 회복하고 있었다. 안정적 애착이 이루어지고 있음을 말한다.
반면 다른 고양이들은 꼬리를 쥐어뜯거나 혀를 날름거리는 등의 불안한 움직임을 보이면서 회피성 등의 애착의 모습을 보여주고 있었다.
여기서 힌트를 얻은 연구팀은 연구를 더 발전시켜 나갔다.
그동안 개들에게 해왔듯이 고양이들에게 6주간의 사회화(socialisation) 훈련을 실시한 후 애착 이론을 적용해 이들 고양이들이 어떤 반응을 보이는지 관찰한 결과 이전의 실험 결과가 그대로 반복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논문은 23일 자 ‘현대생물학(current biology)’ 지에 게재됐다. 논문 제목은 ‘Attachment bonds between domestic cats and humans’이다.
어린 아기처럼 주인을 대하고 있어
이번 연구 결과는 고양이도 개와 마찬가지로 주인과 끈끈한 애착 관계를 유지하고 있다는 것을 말해주는 것이다.
연구를 이끈 오리건주립대 크리스틴 비탈레(Kristyn Vitale) 박사는 특히 비정상적인 반응을 보이는 고양이들의 움직임을 ‘숨바꼭질’에 비유했다. “마치 게임을 하는 것처럼 어떤 때는 주인을 향해 달려오기도 하고 어떤 때는 냉담한 반응을 보였다.”고 말했다.
박사는 고양이들 역시 사람이나 사람과 친화된 개처럼 ‘감성적 웰빙(Emotional wellbeing)’을 원하고 있다고 보고 있다.
‘감성적 웰빙’이란 신경과학자들이 쓰는 용어다. 사람들의 사회적 관계를 맺으면서 그 질(Quality)과 양(Quantity)이 큰 영향을 미치는데 감성적인 영역에 있어 안정적이고 친밀한 관계가 유지돼야 한다는 것을 전제한 개념이다.
비탈레 박사는 “이번 실험 결과를 통해 고양이들이 주인으로부터 외면받지 않기 위해 필사적인 노력을 하고 있으며, 관계가 어그러졌을 경우 자신의 감정을 숨기며 불안정한 반응을 보이고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고 말했다.
박사는 또 “이번 연구 결과가 고양이가 생존을 위해 주인을 이용하고 있다는 일부 편견을 뒤집는 결과를 가져왔다.”고 말했다.
역사학자들은 유적들을 근거로 이집트인들이 세계 최초로 고양잇과 동물을 길들였다고 주장해왔다. 실제로 지난 2004년 키프로스 섬에서 9500년 전 사람과 함께 묻힌 고양이 유해가 발견된 바 있다.
그리고 지금 고양이는 다양한 종으로 진화해 개와 함께 사람들에게 가장 친근한 애완동물의 자리를 차지하고 있는 중이다.
그러나 많은 사람들이 고양이를 개와 비교하면서 고양이의 냉담함을 주장해왔다. 그러나 개처럼 과학적 방식을 통해 고양이의 감성적 특성을 증명한 적이 없었고, 고양이를 사랑하는 사람들 사이에 강한 불만을 불러일으키고 있었다.
때마침 발표된 오리건주립대 연구 결과는 고양이 애호가는 물론 혐오가들 사이에 큰 반향을 불러일으킬 것으로 보인다.
(7591)
로그인후 이용 가능합니다.
지구 지각 160㎞ 아래에 암석이 부분적으로 녹아있는 지금까지 알려지지 않았던 새로운 층이 존재하는 것으로 학계에 보고됐다. 미국 오스틴 텍사스대학과 CNN 등에 따르면 이 대학 '잭슨 지구과학대학원'의 화쥔린 박사가 이끄는 연구팀은 지구 전체에 걸쳐 이런 층이 존재한다는 점을 밝힌 연구 결과를 과학저널 '네이처 지구과학'(Nature Geoscience) 최신호(6일자)에 발표했다.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은 피부가 늘어나고 줄어드는 양과 방향을 정확히 측정해 재활 치료 등에 활용할 수 있는 센서를 개발했다고 8일 밝혔다. 연구진은 3개의 센서를 서로 다른 방향으로 인접 배치해 이들에서 나오는 신호의 조합으로 특정 부위 신축 방향과 변형량을 동시에 뽑아냈다.
멸종 인류인 네안데르탈인이 살던 선사시대 동굴에서 현대인도 즐겨 먹는 것과 같은 종의 게 껍데기가 무더기로 나와 9만 년 전에 이미 게 맛을 알고 즐겼던 것으로 제시됐다. CNN 등 외신에 따르면 '카탈루냐 인류고생물학 및 사회진화연구소'의 마리아나 나바이스 박사가 이끄는 연구팀은 리스본 인근 피게이라 브라바 동굴에서 발굴된 게 껍데기를 분석한 연구 결과를 과학 저널 '환경 고고학 프런티어스'(Frontiers in Environmental Archaeology)에 발표했다.
지스트(광주과학기술원)는 신소재공학부 권인찬 교수 연구팀이 산업 폐기물 속에 포함된 수소를 이용해 폐기물 속 이산화탄소를 연료전지의 원료인 '개미산(포름산)'으로 쉽게 전환하는 효소를 발굴했다고 8일 밝혔다. 지스트에 따르면 기후 온난화에 영향을 미치는 산업 폐가스를 유용한 화학연료로 전환하는 연구에서 핵심은 산업 폐가스에 포함된 다른 가스에 영향을 받지 않고 전기와 같은 별도의 에너지 공급이 필요 없는 공정을 개발하는 것이다.
우주에서 한반도와 주변 해역을 감시할 초소형위성 체계 개발이 본격화한다. 정부는 초소형위성 체계 개발을 위해 참여 부처, 개발기관, 소요기관 간 추진 계획을 공유하는 회의를 9일 대전에서 개최했다고 밝혔다. 초소형위성 체계 개발사업은 국가 우주자산을 효율적으로 활용하기 위해 국방부 및 방위사업청, 과학기술정보통신부, 해양경찰청, 국가정보원 등 다부처 협력사업으로 추진한다.
분당서울대병원 신경외과 정한길·김택균 교수, 신경과 윤창호 교수 공동 연구팀은 두경부(머리와 목 부분)의 X-선 영상을 이용해 수면무호흡증을 진단하는 인공지능(AI) 모델을 개발했다고 7일 밝혔다. 수면무호흡증은 자는 동안 호흡이 일시적으로 멈추거나 호흡량이 줄어드는 상태를 말한다. 이런 상태가 장기간 지속되면 고혈압, 심근경색, 뇌졸중 등의 심뇌혈관 질환이 발생할 위험이 크게 높아진다.
한국재료연구원은 배터리 핵심 소재 리튬이온으로 차세대 뉴로모픽 반도체 소자를 세계 최초로 구현했다고 8일 밝혔다. 뉴로모픽 반도체 소자는 인간 뇌를 모사해 전력 소모를 줄이면서 고효율로 인공지능을 수행할 수 있는 새로운 반도체 소자다. 재료연구원 나노표면재료연구본부 김용훈·권정대 박사 연구팀이 이 기술을 개발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