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언스타임즈 로고

환경·에너지
연합뉴스
2024-12-23

"가장 오래된 포유류 조상 발견…2억7천만년 전 검치 동물" 美·스페인 연구팀 "지중해 마요르카섬서 개 크기 포식동물 화석 발견"

  • 콘텐츠 폰트 사이즈 조절

    글자크기 설정

  • 프린트출력하기

스페인 마요르카섬에서 수천만년 후 포유류로 진화한 것으로 추정되는 2억7천만년 전 검치(saber teeth) 동물 화석이 발견됐다. 이는 포유류 조상 동물로는 지금까지 발견된 것 중 가장 오래된 것으로 추정된다.

2억7천만년 전 포유류 조상 동물 '고르고놉시안' 복원도 ⓒHenry Sutherland Sharpe 제공

2억7천만년 전 포유류 조상 동물 '고르고놉시안' 복원도 ⓒHenry Sutherland Sharpe 제공

미국 필드 자연사 박물관 앤젤시크 박사팀은 18일 과학 저널 네이처 커뮤니케이션(Nature Communications)에서 지중해에 있는 스페인 마요르카섬에서 발견된 개 정도 크기의 검치 동물 화석이 2억7천만년 전의 포유류 조상인 고르고놉시안(Gorgonopsians·단궁류)인 것으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앤젤시크 박사는 이 종은 아직 이름이 정해지지 않았지만 현대 포유류와 밀접한 관련이 있는 고르고놉시안에 속한다며 "이들은 현대까지 이어진 후손이 없고, 우리 직계 조상은 아니지만 우리 조상이었던 종들과 관련이 있다"고 말했다.

화석이 발견된 마요르카섬 바냘부파르 지역은 지금은 지중해 섬이지만 고르고놉시안 시대에는 초대륙 판게아(Pangea)의 일부로 육지였다.

고르고놉시안 뼈 화석과 이를 통해 재구성한 몸체 ⓒMatamales-Andreu et al, illustration by Eudald Mujal / SMNS 제공

고르고놉시안 뼈 화석과 이를 통해 재구성한 몸체 ⓒMatamales-Andreu et al, illustration by Eudald Mujal / SMNS 제공

이곳에서 발견된 뼈 화석은 길이 약 1m의 중소형 동물로, 두개골과 척추, 갈비뼈 조각부터 매우 잘 보존된 대퇴골까지 몸 전체 구조를 재구성할 만한 정도로 많은 뼈가 출토됐다. 화석을 분석한 결과 이 동물은 2억7천만~2억5천만 년 전 페름기에 살다 멸종한 시냅시드 그룹의 하나로, 5천만 년 후 포유류로 진화한 계통인 고르고놉시안에 속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앤젤시크 박사는 "뼈를 통해 이 동물의 생김새와 생활상을 조금이나마 복원할 수 있었다"며 "이 동물이 걷는 모습을 보면 허스키 정도 크기의 개처럼 보였겠지만 털도 없었고 개와 같은 귀도 없었을 것"이라고 말했다.

마요르카에서 발견된 고르고놉시안의 왼쪽 대퇴골 복제품 ⓒAnna Solé/Institut Català de Paleontologia Miquel Crusafont 제공

마요르카에서 발견된 고르고놉시안의 왼쪽 대퇴골 복제품 ⓒAnna Solé/Institut Català de Paleontologia Miquel Crusafont 제공

거의 완전한 상태로 발견된 다리뼈는 다리를 더 넓게 벌리고 걷는 파충류와 달리 더 수직으로 배치돼 있었다. 연구팀은 이는 고르고놉시안이 포유류와 파충류의 중간적인 방식으로 움직였음을 시사한다고 설명했다. 이어 이 고르고놉시안은 길고 뾰족한 이빨인 검치를 가진 동물로는 지금까지 발견된 것 중 가장 오래된 것이라며 검치는 생태계의 대형 포식자에게서 흔히 볼 수 있는 특징으로 당시 최상위 포식자였을 것으로 추정된다고 밝혔다.

앤젤시크 박사는 "진정한 포유류가 등장한 약 2억년 전 초기 공룡시대 훨씬 이전에 포유류의 친척이 있었고 이들은 오늘날 우리가 생각하는 포유류 모습과는 매우 달랐다"며 "이 새로운 화석 발견으로 포유류 진화 과정의 퍼즐이 하나 더 맞춰지게 됐다"고 말했다.

◆ 출처 : Nature Communications, Ken Angielczyk et al., 'Early-middle Permian Mediterranean gorgonopsian suggests an equatorial origin of therapsids', http://dx.doi.org/10.1038/s41467-024-54425-5

연합뉴스
저작권자 2024-12-23 ⓒ ScienceTimes

관련기사

목록으로
연재 보러가기 사이언스 타임즈에서만 볼 수 있는
특별한 주제의 이야기들을 확인해보세요!

인기 뉴스 TOP 10

속보 뉴스

ADD : 06130 서울특별시 강남구 테헤란로7길 22, 4~5층(역삼동, 과학기술회관 2관) 한국과학창의재단
TEL : (02)555 - 0701 / 시스템 문의 : (02) 6671 - 9304 / FAX : (02)555 - 2355
정기간행물 등록번호 : 서울아00340 / 등록일 : 2007년 3월 26일 / 발행인 : 정우성 / 편집인 : 윤승재 / 청소년보호책임자 : 윤승재
한국과학창의재단에서 운영하는 모든 사이트의 콘텐츠는 저작권의 보호를 받는 바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사이언스타임즈는 과학기술진흥기금 및 복권기금의 지원으로 우리나라의 과학기술 발전과 사회적 가치 증진에 기여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