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선박이나 해상구조물 수중 청소 과정에서 발생하는 청소부산물이 해양생태계에 악영향을 미치는 복합 오염원이라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한국해양과학기술원(KIOST)은 선체 수중 청소 로봇의 청소부산물(Hull Cleaning Wastewater·HCW)이 해양생물 군집의 구조 등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고 연구 결과를 국제학술지에 게재했다고 27일 밝혔다.
물속에 잠긴 선박 표면이나 구조물 등에는 동식물 및 미생물(따개비, 조류 등), 박테리아, 균류 등이 부착해 선박 속력을 떨어뜨리고 연료 소비와 탄소 배출량을 증가시키는 원인이 되고 있다.
이를 제거하기 위해 수중 청소를 할 경우 구리(Cu), 아연(Zn) 등 중금속과 다량의 부유물질이 포함된 청소부산물이 다량 발생해 연안 생태계에 잠재적 위해를 일으키고 있다.
KIOST 남해연구소 생태위해성연구부 백승호, 이보라 박사팀은 실제 바닷물을 이용해 청소부산물 희석비율(대조군, 1%, 5%, 10%)별 해양 식물플랑크톤, 동물플랑크톤, 부착성 미세조류의 군집 반응을 평가했다.
연구 결과 청소부산물 농도가 고농도(5% 이상)일 경우 식물플랑크톤 개체수가 급격히 감소했고, 동물플랑크톤은 1% 농도에서도 민감하게 줄어드는 모습을 보였다.
반대로 부착성 미세조류는 오히려 잘 견디고, 농도가 높을수록 더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냈다.
또 고농도 청소부산물 노출 시 다양한 종이 함께 살아가는 균형이 깨지고 비슷한 특징을 가진 일부 종만 살아남는 현상을 확인했다.
이는 청소부산물로 인해 바다 먹이사슬이 단순해지고 결국 바다 생태계의 건강과 에너지 순환이 약해질 수 있음을 보여준다고 연구팀을 설명했다.
이희승 KIOST 원장은 "이번 연구는 선체 수중 청소 부산물이 단순한 찌꺼기가 아니라 해양생태계에 영향을 미치는 복합 오염원이라는 사실을 규명했다"며 "청소부산물 포집과 처리기준 마련 필요성에 대한 과학적 근거를 제공할 것"이라고 말했다.
- 연합뉴스
- 저작권자 2025-09-01 ⓒ ScienceTimes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