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언스타임즈 로고

환경·에너지
김병희 객원기자
2017-05-26

수마트라 대지진 왜 피해 컸나 지진 해역 시추 결과 심부 광물 탈수현상이 큰 영향

  • 콘텐츠 폰트 사이즈 조절

    글자크기 설정

  • 프린트출력하기

지난 2004년 12월 발생한 수마트라-안다만 대지진은 국제 과학자팀의 연구 결과 해저 아래 심부 광물의 탈수현상이 큰 영향을 미친 것으로 확인됐다. 이 지진은 지금까지 관측된 지진 가운데 가장 길고 오래 지속된 단층 균열에 의해 발생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당시 진도 9.2를 기록한 기록한 대지진과 그에 따른 쓰나미로 인해 인도양 여러 곳의 해안지대가 황폐화됐고 25만명 이상이 사망하는 피해를 기록했다.

이 지진에 대한 연구는 영국 사우샘프턴대학과 미국 콜로라도 광산대학 과학자들이 주도하는 국제 해양탐사 프로그램(IODP)의 일환으로 지난해 이 지역에 대한 과학탐사를 하면서 수행됐다.

동부 인도양 지도. 빨간 점이 연구를 위해 시추를 한 지점이다. Credit: Professor Lisa McNeill
동부 인도양 지도. 빨간 점이 연구를 위해 시추를 한 지점이다. Credit: Professor Lisa McNeill

수마트라 해양 지각판 시추해 표본 채취

연구팀은 연구 선박 조이디스 레절루션(JOIDES Resolution)호에서 탐사를 하면서 처음으로 수마트라 섭입대(攝入帶, subduction zone)를 구성하는 해양 지각판에서 침전물과 암석 표본을 채굴했다. 섭입대는 판구조론에서 두 지각판이 수렴하는 지역으로 주로 무거운 해양판이 가벼운 대륙판 밑으로 밀려들어가면서 대규모 지진을 일으키고 많은 지역에서 파괴적인 쓰나미가 발생한다. 대륙 연변부의 깊은 해구는 통상 이런 섭입작용에 의해 형성된다.

해저 밑에서 파낸 퇴적물 표본에 대한 연구 결과는 독일 브레멘대 해양환경과학센터(MARUM) 안드레 후퍼스(An­dre Hüpers) 박사가 주도해 과학저널 ‘사이언스’(Science) 최근호에 발표한 논문에 상세히 기록돼 있다.

섭입(攝入, subduction)의 지질학적 과정. Author(s): KDS4444 - Subduction-en.svg from Wikimedia Commons
섭입(攝入, subduction)의 지질학적 과정. Author(s): KDS4444 - Subduction-en.svg from Wikimedia Commons

침전 광물의 탈수과정에 연구력 집중

이번 탐사의 공동 리더인 사우샘프턴대 리사 맥닐(Lisa McNeill) 교수는 “2004년의 인도양 쓰나미는 광범위한 파열 지역을 가진 매우 강한 지진에 의해 촉발됐다”며, “어떤 원인에 의해 이 같은 대규모 지진과 쓰나미가 발생했고, 이와 유사한 지질학적 특성을 가진 다른 지역에서도 같은 현상이 나타날 것인지를 알아보고자 했다”고 말했다.

과학자들은 지하 깊은 곳, 통상 섭입대 안에서 일어나는 침전 광물의 탈수(dehydration) 과정에 연구력을 집중했다. 침전물의 온도와 성분의 영향을 받는 이 탈수과정은 통상적으로 판 사이 미끄러짐의 위치와 정도를 조절하고 그에 따라 지진의 강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믿어지고 있다.

왼쪽은 해저 아래를 굴착하기 위한 ‘자유낙하 깔때기(free-fall funnel)’ 과정. 오른쪽은 연구원들이 채취한 침전물과 암석 조각들을 살펴보고 있는 모습. Credit: Tim Fulton, IODP / JRSO
왼쪽은 해저 아래를 굴착하기 위한 ‘자유낙하 깔때기(free-fall funnel)’ 과정. 오른쪽은 연구원들이 채취한 침전물과 암석 조각들을 살펴보고 있는 모습. Credit: Tim Fulton, IODP / JRSO

침전물, 섭입대 도달 전 탈수과정 완료돼

연구팀은 최신 해양 시추기술을 사용해 수마트라 해저 아래 1.5Km 지점에서 표본을 채취한 다음 침전물의 조성과 화학적, 열적, 물리적 특성을 측정했다. 그리고 침전물과 암석들이 섭입대를 향해 동쪽으로 250Km를 이동했을 때 어떤 움직임을 보였는지, 온도가 더 높아지면서 현저하게 깊게 묻혔는지를 계산하기 위해 시뮬레이션을 수행했다.

연구팀은 히말라야 산맥지역과 티베트 고원지역에서 수천 Km를 흘러내려와 해저에 쌓인 침전물들이 섭입대에 도달하기 전에 온도가 높이 올라가 탈수 과정이 완료될 수 있을 만큼 두껍다는 것을 발견했다. 이로 인해 비정상적으로 강한 물질들이 만들어져 섭입대 단층 면에서 더욱 좁은 깊이에 광범위한 단층지역으로 지진 변위가 생김으로써 2004년에 일어난 예외적인 강력한 지진이 발생하게 되었다.

해령(ocean ridges ) 형성과, 지표 암석권(lithosphere)이 해구(trenches)에서 다른 판 밑으로 섭입되는 모습을 보여준다.  Credit : Wikipedia / Surachit
해령(ocean ridges ) 형성과, 지표 암석권(lithosphere)이 해구(trenches)에서 다른 판 밑으로 섭입되는 모습을 보여준다. Credit : Wikipedia / Surachit

미 서부와 캐나다, 이란, 파키스탄 등에 같은 섭입대 존재

브레멘대학의 안드레 후퍼스 박사는 “이번 발견은 2004년 지진의 한 특징인 파열 범위가 넓은 이유를 설명해 주는 한편, 두텁고 뜨거운 침전물이 있는 다른 섭입대에서도 같은 대지진 현상이 발생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고 말했다.

그는 “이 같은 사실은 역사적으로 침강 지진 기록이 없어 잠재적인 위험성이 잘 알려져 있지 않은 섭입대 지역에서 특히 중요하다”며, “섭입대 지역에서의 침강 지진은 수백 년에서 수천 년만에 다시 발생하기 때문에 몇몇 섭입대에서의 이전 지진에 대한 지식은 매우 제한돼 있다”고 덧붙였다.

탐사의 공동리더인 리사 맥닐 교수(왼쪽에서 두 번째)와 연구원들이 IODP 작업자들을 돕고 있는 모습. Credit: Tim Fulton, IODP / JRSO
탐사의 공동리더인 리사 맥닐 교수(왼쪽에서 두 번째)와 연구원들이 IODP 작업자들을 돕고 있는 모습. Credit: Tim Fulton, IODP / JRSO

유사한 섭입대는 카리브해(레서 안틸레스 제도)와 이란 및 파키스탄(마크란), 미국 서부와 캐나다(카스캐디아)에 존재한다. 연구팀은 앞으로 수년 동안 수마트라 시추 탐사에서 얻은 표본과 자료에 대한 실험실 실험과 수치 시뮬레이션 등 연구를 계속할 계획이다. 그리고 이 결과를 활용해 수마트라 및 이와 유사한 해저지대의 위험성을 평가해 볼 예정이다.

김병희 객원기자
kna@live.co.kr
저작권자 2017-05-26 ⓒ ScienceTimes
목록으로
연재 보러가기 사이언스 타임즈에서만 볼 수 있는
특별한 주제의 이야기들을 확인해보세요!

인기 뉴스 TOP 10

속보 뉴스

ADD : 06130 서울특별시 강남구 테헤란로7길 22, 4~5층(역삼동, 과학기술회관 2관) 한국과학창의재단
TEL : (02)555 - 0701 / 시스템 문의 : (02) 6671 - 9304 / FAX : (02)555 - 2355
정기간행물 등록번호 : 서울아00340 / 등록일 : 2007년 3월 26일 / 발행인 : 정우성 / 편집인 : 윤승재 / 청소년보호책임자 : 윤승재
한국과학창의재단에서 운영하는 모든 사이트의 콘텐츠는 저작권의 보호를 받는 바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사이언스타임즈는 과학기술진흥기금 및 복권기금의 지원으로 우리나라의 과학기술 발전과 사회적 가치 증진에 기여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