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화나 암 발생의 원인으로 알려진 체내 활성산소를 제거하는 유전자를 도입한 동물이 개발됐다.
식품의약품안전청 식품의약품안전평가원(식약평가원)은 인체의 '셀레노단백질 M' 유전자를 발현하는 형질전환 쥐(rat)를 세계 처음 개발해 특허를 등록했다고 13일 밝혔다.
셀레노단백질은 셀레늄과 결합해 체내 활성산소를 제거하는 기능을 하는 단백질이다.
체내 활성산소는 노화와 암, 심.뇌혈관질환의 원인으로 지목되고 있다.
이번에 개발된 형질전환 쥐는 인체의 셀레노단백질 M 유전자를 쥐의 수정란에 주입하는 방식으로 만들어졌다.
이 쥐는 미량 영양소인 셀레늄과 결합해 다량의 셀레노단백질을 생산함으로써 외부 자극으로 발생한 활성산소를 효과적으로 제거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형질전환동물을 이용하면 특정질환과 셀레노단백질과의 상관관계를 직간접적으로 확인할 수 있으며 셀레늄을 함유한 식.약품의 기능을 보다 과학적으로 분석할 수 있게 됐다고 식약평가원은 설명했다.
한편 지금까지 식약청은 10종의 형질전환 생쥐를 자체 개발해 특허를 등록했으며 전국 17개 연구기관에 분양했다.
전세계적으로 약 7천여종의 형질전환동물이 개발됐으며 이중 미국과 일본이 각각 4천종과 2천종을 보유하고 있다고 식약평가원은 전했다.
식약청은 지난달 '생명연구자원의 확보.관리 및 활용에 관한 법률'에 의한 기탁등록보존기관으로 지정돼 국내에서 개발된 형질전환 생쥐를 보존.관리할 수 있는 자격을 갖췄다.
- (서울=연합뉴스) 하채림 기자
- tree@yna.co.kr
- 저작권자 2010-05-13 ⓒ ScienceTimes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