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 이미지 ⓒ포항공대 제공 국내 연구진이 홍합에서 착안한 주사형 줄기세포 치료제를 개발해 손상된 뼈를 되살리는 데 성공했다. 포항공대(POSTECH) 화학공학과·융합대학원 차형준 교수, 화학공학과 김동표 교수와 경북대 의생명융합공학과 조윤기 교수, 민경익 교수 공동 연구팀은 혈관 재생까지 유도하는 주사형 골 재생 세포치료기술을 개발했다고 29일 밝혔다. 연합뉴스 저작권자 2025-05-30 ⓒ ScienceTimes 태그(Tag) #골다공증치료 #뼈재생 #세포치료기술 #줄기세포 #홍합 관련기사 약물 투여 없이 세포 대사 경로 조절해 난치성 뇌종양 치료 DHRS13 억제 시 뇌종양줄기세포의 운명 변화 ⓒ김형기 교수 제공 국내 연구진이 세포의 대사경로를 조절하는 것만으로도 난치성 뇌종양을 치료할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했다. 한국연구재단은 고려대 김형기 교수와 가천대 박종휘 교수 연구팀이 외부 약물 투여 없이 교모세포종의 뇌종양줄기세포 내부 대사 경로를 조절하는 방법으로 분화와 사멸을 “‘보노보노’는 불가사리 없으면 홍합 먹어요” 생태계 상호의존 확인 '바다별'이 사라지자 해달이 움직였다? 일본 애니메이션 ‘보노보노(ぼのぼの)’의 캐릭터로도 유명한 해달은 귀엽고 영리한 해양 포유류다. 만화 속에서 항상 엉뚱한 질문을 던지며 친구들과 바닷가 숲속을 배회하지만 실제로는 그보다 훨씬 복잡하고 중요한 생태적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해달은 한때 인간의 해양 수학적 방법으로 세포외기질 모사해 줄기세포 제어한다 리간드 연결성 조절 통한 줄기세포 제어 시스템 모식도 ⓒ강희민 교수 제공 한국연구재단은 고려대 강희민 교수 연구팀이 수학적 모델링으로 세포외기질(ECM)을 모사해 줄기세포를 원격 제어하는 데 성공했다고 23일 밝혔다. 세포외기질(ECM)은 세포 밖 물질이지만 세포와 밀접하게 연관돼 세포의 행동을 조절하는 네트워크 구조체를 말한다. 골절, "동물 성분 없는 환경에서 장 줄기세포 대량 배양 성공" 생체 내 이식 실험 결과 ⓒ손미영 박사 제공 한국과학기술원(KAIST) 임성갑 교수 연구팀은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손미영 박사 연구팀과 공동으로 동물 성분이 완전히 배제된 무이종(xenogeneic-free) 환경에서 인간 장 줄기세포를 대량 배양하는 데 성공했다고 12일 밝혔다. 기존 인간 오가노이드(유사 장기) 유래 장 줄기세포 배 중국 연구자들, 붉은털원숭이를 복제하다 인류의 첫 포유류 복제 1996년 7월 5일, 영국 스코틀랜드 에든버러대 로슬린연구소에서는 역사적인 순간을 맞이하게 된다. 바로 체세포 복제 방식으로 만든 첫 인공 생명체인 돌리(Dolly)가 탄생하기 때문이다. 돌리는 핵을 제거한 난자와 암컷의 젖샘에서 얻은 체세포의 핵 치환 기술을 통해 만들어진 수정란으로부터 탄생했다. 이미 노화가 진행되고 있는 암컷 ‘이 분자’가 사람과 개의 시각 차이 결정한다 ▲ 인간이 형형색색의 심미적 아름다움을 향유할 수 있는 비결이 밝혀졌다. 적색 원추세포를 형성하는 데 핵심인 분자를 규명한 덕분이다. ⓒGettyImages 사람은 색깔을 구분하는 원추세포가 세 개의 광수용체로 구성돼 있다. 반면 개는 두 개의 광수용체만 있어 빨간색과 녹색을 구분하지 못하는 적록 색맹이다. 광수용체의 밀도에 따라 사람마다 색감을 다르 나노입자와 줄기세포로 류마티스 관절염 극복! ▲ 완치가 어려웠던 류마티스 관절염의 완치 가능성을 보여준 새로운 치료 후보물질이 등장했다. 치료뿐만 아니라 예방에도 효과가 있음이 확인됐다. ⒸGettyImages 25만 명을 넘어선 류머티즘성 관절염(류마티스 관절염) 환자들에게 희소식이 나왔다. 국내연구진이 류마티스 관절염을 유발하는 여러 요인을 한 번에 해결하는 치료 방식이 개발했기 때문이다. 새로운 줄기세포의 원천, 편도선 글 : 이화여자대학교 정성철 교수 수술 후 의료폐기물로 버려지는 편도선에서 줄기세포를 분리, 배양하여 치료제로 개발할 수 있습니다. 중간엽 줄기세포는 대표적인 성체줄기세포의 한 종류로 골수, 지방, 제대 등에서 채취하여 분리, 배양하게 됩니다. 골수, 지방, 제대 이외의 조직에서도 중간엽 줄기세포가 분리되고 확립되기도 하지만, 편도유래 과학자들이 말하는 ‘늙음’의 진짜 원인(3) ▲ 과학자들은 노화의 원인을 규명하고, 이를 토대로 노화를 막는 치료법을 개발하기 위한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GettyImages 생물학 분야 최고 권위의 국제학술지 ‘셀(Cell)’은 2013년 ‘노화의 특징(The Hallmarks of Aging)’이라는 제목의 논문을 발표하며 생물학적 노화의 9가지 특징을 정리했다. 이후 10년간 추가된 연 도마뱀 꼬리의 재생능에서 배운 조직 재생의 가능성? 글 : 서울대학교 약학대학 차혁진 교수 전 세계 3억 5천만부 이상 판매되어 선풍적인 인기를 끈 드래곤볼이라는 만화에 등장하는 캐릭터 중 하나인 피콜로는 전투 중에 심각한 상처를 입으면 스스로 치유하는 능력을 보여줍니다. 이 캐릭터의 설정은 꼬리가 잘려도, 저절로 꼬리가 재생되는 도마뱀의 재생 능력을 모티브로 하고 있습니다. ⓒ서울대학교 & 목록으로
연재 보러가기 사이언스 타임즈에서만 볼 수 있는특별한 주제의 이야기들을 확인해보세요! 인기 뉴스 TOP 10 딸부잣집, 아들부잣집. 우연이 아닐지도 몰라 거센 파도에도 ‘착’, 초강력 접착제 개발 무려 4천5백년전, 이집트인의 직업을 맞춰본다 깊은 바닷속끼리 서로 연결되어 있다면 콜레라의 재출현: 분쟁 지역에서 급증하는 치명적 수인성 질병 자랑스러운 우리 ‘해녀’, 바다포유류급 잠수 능력 입증돼 '산소 운반' 헤모글로빈이 활성산소 분해…"뇌질환 치료에 기여" 전선·옷 등 변형 물체도 능숙하게 다루는 로봇 기술 개발 "유해가스·미세먼지 99.9% 제거" 통합형 공기정화시스템 개발 "생선기름 속 오메가-3 지방산, 어린이 근시 예방 효과" 속보 뉴스 스마트팩토리 공정 바뀌어도 불량 정확히 탐지하는 AI 개발 "머리에 빛 자극 주자 음주 욕구·알코올 의존도 감소" "영장류 엄지손가락-뇌 함께 진화…엄지 길수록 뇌 더 커져" 건축 전문가 꿀벌…"어떤 공간에든 적응해 최적의 집 짓는다" "지중해 식단으로 알츠하이머병 유전적 위험 상쇄할 수 있다" "체온으로 전기 만들어 기기 작동"…UNIST, 새 전지 개발 알츠하이머의 두 원인단백질 서로 소통하며 독성 조절한다 QUICK LINK 사이언스올 한국과학창의재단 과학기술연구기관 목록 사이언스타임즈 블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