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 이미지 ⓒ포항공대 제공 국내 연구진이 홍합에서 착안한 주사형 줄기세포 치료제를 개발해 손상된 뼈를 되살리는 데 성공했다. 포항공대(POSTECH) 화학공학과·융합대학원 차형준 교수, 화학공학과 김동표 교수와 경북대 의생명융합공학과 조윤기 교수, 민경익 교수 공동 연구팀은 혈관 재생까지 유도하는 주사형 골 재생 세포치료기술을 개발했다고 29일 밝혔다. 연합뉴스 저작권자 2025-05-30 ⓒ ScienceTimes 태그(Tag) #골다공증치료 #뼈재생 #세포치료기술 #줄기세포 #홍합 관련기사 “‘보노보노’는 불가사리 없으면 홍합 먹어요” 생태계 상호의존 확인 '바다별'이 사라지자 해달이 움직였다? 일본 애니메이션 ‘보노보노(ぼのぼの)’의 캐릭터로도 유명한 해달은 귀엽고 영리한 해양 포유류다. 만화 속에서 항상 엉뚱한 질문을 던지며 친구들과 바닷가 숲속을 배회하지만 실제로는 그보다 훨씬 복잡하고 중요한 생태적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해달은 한때 인간의 해양 수학적 방법으로 세포외기질 모사해 줄기세포 제어한다 리간드 연결성 조절 통한 줄기세포 제어 시스템 모식도 ⓒ강희민 교수 제공 한국연구재단은 고려대 강희민 교수 연구팀이 수학적 모델링으로 세포외기질(ECM)을 모사해 줄기세포를 원격 제어하는 데 성공했다고 23일 밝혔다. 세포외기질(ECM)은 세포 밖 물질이지만 세포와 밀접하게 연관돼 세포의 행동을 조절하는 네트워크 구조체를 말한다. 골절, "동물 성분 없는 환경에서 장 줄기세포 대량 배양 성공" 생체 내 이식 실험 결과 ⓒ손미영 박사 제공 한국과학기술원(KAIST) 임성갑 교수 연구팀은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손미영 박사 연구팀과 공동으로 동물 성분이 완전히 배제된 무이종(xenogeneic-free) 환경에서 인간 장 줄기세포를 대량 배양하는 데 성공했다고 12일 밝혔다. 기존 인간 오가노이드(유사 장기) 유래 장 줄기세포 배 중국 연구자들, 붉은털원숭이를 복제하다 인류의 첫 포유류 복제 1996년 7월 5일, 영국 스코틀랜드 에든버러대 로슬린연구소에서는 역사적인 순간을 맞이하게 된다. 바로 체세포 복제 방식으로 만든 첫 인공 생명체인 돌리(Dolly)가 탄생하기 때문이다. 돌리는 핵을 제거한 난자와 암컷의 젖샘에서 얻은 체세포의 핵 치환 기술을 통해 만들어진 수정란으로부터 탄생했다. 이미 노화가 진행되고 있는 암컷 ‘이 분자’가 사람과 개의 시각 차이 결정한다 ▲ 인간이 형형색색의 심미적 아름다움을 향유할 수 있는 비결이 밝혀졌다. 적색 원추세포를 형성하는 데 핵심인 분자를 규명한 덕분이다. ⓒGettyImages 사람은 색깔을 구분하는 원추세포가 세 개의 광수용체로 구성돼 있다. 반면 개는 두 개의 광수용체만 있어 빨간색과 녹색을 구분하지 못하는 적록 색맹이다. 광수용체의 밀도에 따라 사람마다 색감을 다르 나노입자와 줄기세포로 류마티스 관절염 극복! ▲ 완치가 어려웠던 류마티스 관절염의 완치 가능성을 보여준 새로운 치료 후보물질이 등장했다. 치료뿐만 아니라 예방에도 효과가 있음이 확인됐다. ⒸGettyImages 25만 명을 넘어선 류머티즘성 관절염(류마티스 관절염) 환자들에게 희소식이 나왔다. 국내연구진이 류마티스 관절염을 유발하는 여러 요인을 한 번에 해결하는 치료 방식이 개발했기 때문이다. 새로운 줄기세포의 원천, 편도선 글 : 이화여자대학교 정성철 교수 수술 후 의료폐기물로 버려지는 편도선에서 줄기세포를 분리, 배양하여 치료제로 개발할 수 있습니다. 중간엽 줄기세포는 대표적인 성체줄기세포의 한 종류로 골수, 지방, 제대 등에서 채취하여 분리, 배양하게 됩니다. 골수, 지방, 제대 이외의 조직에서도 중간엽 줄기세포가 분리되고 확립되기도 하지만, 편도유래 과학자들이 말하는 ‘늙음’의 진짜 원인(3) ▲ 과학자들은 노화의 원인을 규명하고, 이를 토대로 노화를 막는 치료법을 개발하기 위한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GettyImages 생물학 분야 최고 권위의 국제학술지 ‘셀(Cell)’은 2013년 ‘노화의 특징(The Hallmarks of Aging)’이라는 제목의 논문을 발표하며 생물학적 노화의 9가지 특징을 정리했다. 이후 10년간 추가된 연 도마뱀 꼬리의 재생능에서 배운 조직 재생의 가능성? 글 : 서울대학교 약학대학 차혁진 교수 전 세계 3억 5천만부 이상 판매되어 선풍적인 인기를 끈 드래곤볼이라는 만화에 등장하는 캐릭터 중 하나인 피콜로는 전투 중에 심각한 상처를 입으면 스스로 치유하는 능력을 보여줍니다. 이 캐릭터의 설정은 꼬리가 잘려도, 저절로 꼬리가 재생되는 도마뱀의 재생 능력을 모티브로 하고 있습니다. ⓒ서울대학교 & 사랑이 심장을 치유한다? 사랑의 호르몬 ‘옥시토신’이 손상된 심장 조직을 회복시킨다는 새로운 연구 결과가 발표되었다. ©GettyImagesBank ‘사랑의 호르몬’이라고도 불리는 옥시토신이 손상된 심장 조직을 회복시킨다는 새로운 연구 결과가 발표되었다. 해당 연구결과는 미국과학진흥연구회 운영 포털 ‘유레카얼럿(EurekAlert)’에 소개되었으며, 국제학술지인 ‘세포‧발달생 목록으로
연재 보러가기 사이언스 타임즈에서만 볼 수 있는특별한 주제의 이야기들을 확인해보세요! 인기 뉴스 TOP 10 [과학이 밝혀낸 101가지 놀라운 사실들] 30세까지 살았던 개 그리고 38년을 넘게 산 고양이 [과학이 밝혀낸 101가지 놀라운 사실들] 우주에도 색깔이 있다? 3,500년 전 누군가는 사후세계를 위해 치즈를 준비했다? 물에 시끄럽게 빠지는 법에도 과학이 있다 식물은 어떻게 폭염에도 살아남나…유전자 조절 원리 밝혀 다시 돌아온 '오징어', 어획량은 늘었지만 남은 문제는? "섬 침입한 쥐 퇴치했더니…주변 산호초 생태계까지 회복" 배고플 때 포도당만 골라 인식하는 장∼뇌 회로 찾았다 사람-챗GPT 색깔 인지 비교해보니…'모방과 경험 차이 드러나" UNIST "친환경 암모니아 생산수율 5.6배 높이는 공정 개발" 속보 뉴스 "세상을 경쟁 정글로 보는 사람에겐 비열한 리더가 똑똑해 보여" 부산서 스마트폰 기반 온라인 동영상 2D·3D 호환 기술 첫선 "위험할 때만 대응" 효율적으로 반응하는 인공감각 신경계 개발 "대기오염·사회 불평등·정치 불안정도 노화 가속 요인" ETRI가 개발한 인공지능 기술 체험 플랫폼 공개 AI로 귀금속 성능 뛰어넘는 다원소 합금 수전해 촉매 설계 "사회적 고립·외로움, 노인 당뇨병 위험 30% 이상 높여" QUICK LINK 사이언스올 한국과학창의재단 과학기술연구기관 목록 사이언스타임즈 블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