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킨슨병에서의 RNA 편집 ⓒKAIST 제공 국내외 공동 연구진이 파킨슨병 발병에 핵심적인 역할을 하는 리보핵산(RNA) 편집효소를 발견했다. 한국과학기술원(KAIST)은 뇌인지과학과 최민이 교수팀과 영국 UCL대 국립신경전문병원 연구소·프랜시스 크릭 연구소 연구팀이 공동으로 RNA 편집 효소인 '에이다원'(ADAR1)이 파킨슨병의 병리 진행에 핵심적인 역할을 한다는 사실을 확인했다고 27일 밝혔다. 연합뉴스 저작권자 2025-04-29 ⓒ ScienceTimes 태그(Tag) #RNA편집 #신경염증치료 #파킨슨병 #편집효소 관련기사 "파킨슨병환자 배아줄기세포 치료로 지휘봉 다시 잡았다" 배아줄기세포를 이용한 파킨슨병 치료 임상시험 모식도 ⓒ 셀(Cell) 논문 발췌 손의 움직임이 둔해져 오케스트라 지휘를 멈춰야 했던 한 남성이 다시 무대에 섰다. 또 다른 환자는 매일 넘어질까 두려워 외출을 꺼리던 사람이었지만, 이제는 친구들과 동네 축제를 즐긴다. 걷기조차 버거웠던 환자가 탁구채를 들고 셔틀콕을 받아치는 것도 가능해졌다 AI로 파킨슨병 조기 진단하고 뇌세포에 빛 쪼여 치료한다 인공지능 기반 파킨슨병 진단 ⓒ KAIST 제공 한국과학기술원(KAIST) 허원도·김대수 교수와 기초과학연구원(IBS) 이창준 단장 공동 연구팀은 인공지능(AI)과 광유전학 기술을 이용해 파킨슨병 동물 모델에서 조기·정밀 진단과 치료 가능성을 확인했다고 22일 밝혔다. 파킨슨병은 신경전달물질인 도파민을 분비 "복부지방·고혈압 등 대사증후군, 파킨슨병 위험 크게 높여" 대사증후군(복부지방·고혈압·고혈당·고중성지방·저 HDL콜레스테롤 중 3개 이상)이 있는 사람은 파킨슨병 위험이 30~40% 증가하고, 위험 요인이 늘어날수록 위험도 더 커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파킨슨병 ⓒ출처: 서울아산병원 스웨덴 카롤린스카의대 웨이리 쉬 박사팀은 21일 한의학硏, 위장약에서 파킨슨병 치료 가능성 제시 레바미피드의 파킨슨병 쥐 염증 억제 효과 ⓒ한국한의학연구원 제공 한국한의학연구원은 박건혁·임혜선 박사 연구팀이 위장질환 치료제로 사용되는 '레바미피드'(Rebamipide)를 파킨슨병 등 뇌 질환 치료제로 활용할 수 있는 가능성이 있음을 확인했다고 25일 밝혔다. 파킨슨병은 신경전달물질인 도파민을 분비하는 인제대 연구팀, 스마트폰으로 치매·파킨슨병 조기진단 기술개발 인제대 연구팀 논문 ⓒ인제대 제공 인제대학교 연구팀이 스마트폰과 연동해 치매, 파킨슨병 등 퇴행성 뇌 질환을 조기에 진단할 수 있는 초고감도 바이오센서 기술을 개발해 눈길을 끈다. 이번 진단은 기존 검사보다 간편하고 저렴하면서도 정확도를 높여 병원 접근이 어려운 지역에서도 누구나 손쉽게 건강 상태를 확인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체내 콜레스테롤 대사물질이 파킨슨병 유발할 수 있다" 파킨슨병 ⓒ서울아산병원 뇌에서 체내 콜레스테롤 대사물질(24-OHC)이 증가하면 파킨슨병(PD)의 두 가지 주요 특징인 루이소체(Lewy body) 형성과 도파민 신경세포 사멸이 증가한다는 사실이 생쥐 실험에서 밝혀졌다. 중국 우한대 전타오 장 교수팀은 19일 과학 저널 플로스 생물학(PLoS Biology)에서 콜레스테롤 대사물질 기초과학연 “나노-자기유전학 기술 적용, 파킨슨병 치료법 개발” 나노-자기 유전학 기반 뇌심부자극술 ⓒIBS 제공 국내 연구진이 두개골에 구멍을 뚫어 뇌 깊숙이 전극을 삽입해야 하는 수술 대신 비침습적이면서 무선으로 뇌 신경세포를 활성화해 퇴행성 뇌 질환의 일종인 파킨슨병 증상을 완화할 수 있는 새로운 치료법을 제시했다. 기초과학연구원(IBS)은 나노의학 연구단 천진우 단장(연세대 언더우드 특훈교수)과 곽민석 생체내에서 바로 재생 치료가 가능할까? 글: 동국대학교 김종필 교수 맷 데이먼 주연의 영화 ‘엘리시움’에는 다리에 심각한 부상을 당한 아이가 캡슐에 눕자 로봇이 자동으로 환자를 진단하고, 세포 이식 등이 없이 직접 생체 내에서 조직을 재생해 치료하는 장면이 나옵니다. 질병이 인간의 몸속에서 자동으로 치료된다는 이 기적 같은 이야기의 첫 단추는 환자에서 외부의 세포나 조직의 이식 없이 맞춤형 “한 번 처치로 뇌세포 생성해 파킨슨병 치료” 알츠하이머병과 함께 대표적인 신경퇴행성 뇌질환인 파킨슨병 치료에 새로운 희망의 빛이 비쳤다. 미국 캘리포니아대(UC샌디에이고) 의대 연구팀은 유전자 하나를 억제함으로써 도파민 생성 뉴런이 형성되고 파킨슨병 증상이 사라진다는 사실을 쥐 실험을 통해 입증하고 이를 과학저널 ‘네이처’(Nature) 24일 자에 발표했다. 파킨슨병은 신경전달물질인 도파 피부세포를 뇌세포로 바꿔 파킨슨병 치료한다? 파킨슨병(PD)에 걸려 점차 소실되는 뇌세포를 환자 자신의 피부세포를 재프로그램해 대체함으로써 정상에 가까운 회복세를 보인 것으로 나타났다. 미국 하버드대의대 제휴 및 수련병원인 매클린(McLean) 병원과 매사추세츠종합병원(MGH) 연구팀은 환자 한 명을 대상으로 한 수 년간의 연구 끝에 이 같은 세포 전환을 이용한 ‘개인 맞춤의학’이 가능하다는 사 목록으로
연재 보러가기 사이언스 타임즈에서만 볼 수 있는특별한 주제의 이야기들을 확인해보세요! 인기 뉴스 TOP 10 마다가스카르 여우원숭이, 한 번 아닌 여러 번 ‘폭발했다’ 3만 년 동안 숨겨졌던 ‘그 색깔’의 비밀 100만년 전 중국 두개골 발견, 인류 진화 타임라인을 최소 50만년 앞당기나 자식 양육에 더 힘쓰는 성(性)이 오래 산다 스티로폼 용기서 나온 미세플라스틱, 폐 손상 일으킨다 엄마가 먹은 미세플라스틱, 모유로 전달돼 아이 면역체계 교란 "비만약 세마글루티드, 감량 효과 관계 없이 심장 보호" KAIST서 30∼31일 연구·실험실 공개…미래 핵심 분야 기술 소개 화상 치료 새 길 열렸다…자기 세포로 인공피부 제작 과천과학관, 유·초등생 겨울학기 정규교육과정 운영 속보 뉴스 사각지대서 길 건너려는 보행자, AI가 예측해 사고 막는다 "진행암 환자, 임종 3개월 전부터 광범위항생제 사용 급증" 기후 위기에 강한 상권 AI로 찾는다…KAIST·MIT 공동 연구 머리카락보다 가는 코일 실로 가볍고 강한 근육 옷감 대량생산 뇌처럼 조절하는 '뉴로모픽' 칩으로 실시간 뇌 연결 해석한다 "노화된 뇌의 기억력 저하 되돌릴 수 있다…쥐 실험 확인" 친환경 수소 생산 위한 고체산화물 전해전지 10분 만에 만든다 QUICK LINK 사이언스올 한국과학창의재단 과학기술연구기관 목록 사이언스타임즈 블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