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차 산업혁명 시대, 미래 먹거리로 바이오산업이 주목을 받고 있다. 1990년대 말부터 ‘21세기는 바이오경제시대’가 될 것이라고 예상했던 것처럼 요즘 각국의 바이오산업 열기가 뜨겁다. 특히 중국은 2020년까지 의식주 걱정 없이 물질적으로 안락한 ‘샤오캉사회’를 만들기 위해 ‘국민경제 사회발전 13차 5개년 규획’을 발표하고 구체적인 R&D 전략을 펼치고 있는 중이다.
여기서 가장 관심을 모으는 것은 바로 ‘중국의 농업바이오’다. 지난 21일, 과총 과학기술혁신정책포럼에서 이철희 농촌진흥청 중국사무소장이 ‘중국 농업바이오 동향과 R&D 추진 정책’에 대해 발표하는 시간을 가졌다.
한·중 농업바이오산업의 동향은?
이 소장은 “중국의 식량생산량이 12년 동안 연속해서 증가세를 보여서 높은 수준의 식량 자급율을 유지하고 있으나 대두, 쌀 등 곡물수입량도 꾸준히 늘어나고 있어 식량생산의 불균형이 심화되고 있으며 중국의 수자원 총량이 세계 평균에 못 미쳐 농업 기초경쟁력의 약화를 초래하고 있다”고 중국 농업의 현황을 진단했다.
때문에 중국에서는 국가 식량안보 확보를 국가운영의 최우선 과제로 삼고, 생산한 식량을 팔 수 있고 소비할 식량을 구입할 수 있는 ‘糧安공정’을 적극 실시하고 있다. 이를 위해 가장 중점을 두고 있는 것이 바로 종자산업 분야다.
이 소장은 “중국이 세계 최대 농업생산국이고 최대 종자 수요국이기 때문에 기술개발 경쟁과 함께 기업의 종자개발 활성화를 진행하고 있다”며 “그 대표적 성과가 바로 우주 육종기술의 진보인데, 중국의 7번째 유인 우주선 선저우 1호에 고추, 애호박 등 종자를 탑재하여 우주 육종실험을 실시함으로써 다수확, 고품질, 조생, 병해충 저항성 특성을 갖춘 새로운 품종의 종자자원 육성을 추진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그러나 이 소장은 “중국이 종자산업의 경쟁력 강화를 위해 규모화, 연구개발 등에 집중 투자하고 있으나 아직은 중국 종자기업의 R&D 능력이 부족해 미국이나 독일 등에 비해 상대적으로 열세인 편”이라고 덧붙였다.
하지만 중국은 인구대국으로 항상 식량의 수급상황에 대해 긴장의 끈을 놓지 않고 있으며 이를 해결하기 위해 신종자법 개정과 실행 등 종자산업을 중시하고 적극 종자산업 발전 정책을 추진하고 있다.
식량안보 위해 한중 R&D 협력방안 모색해야
다음으로 중국이 중시하는 분야는 GMO(유전자변형생명체)다. 1996년 GMO작물의 상업화 재배가 시작됐는데, 2015년말 GMO 작물 재배하는 국가가 28개로 늘어날 만큼 세계적으로 GMO산업화이 빠른 속도로 발전해 농업분야 증산과 효율성 증대효과를 가져오고 있다.
그런데 중국 내에서 GMO의 산업화와 상업화에 대한 논란이 일면서 주춤하여 2004년에 GMO작물 재배 면적이 세계 4위였던 것이 브라질과 인도에 추월을 당했고, 이제는 중국의 GMO 식량수입이 빠르게 늘어나고 상황이다.
사실 세계적으로 GMO에 대한 찬반의견이 계속되어 왔으며 우리나라도 마찬가지였다. 최근에는 우리나라 농진청에서 올해 안으로 GM작물개발사업단을 해체한다고 발표해 논란을 키우기도 했었다.
따라서 이 소장은 “중국이 기후변화 등 미래 식량위기에 대비해 농업바이오기술 개발에 대한 투자확대와 정책적 지원을 강화하고 있는 것이 우리에게 시사하는 바가 크기 때문에 우리나라가 중국과 R&D 협력 방안으로 협업을 시도해 보는 것도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왜냐면 중국이 정책적으로 바이오산업에 R&D투자를 집중하고 있어 많은 전문 인력들이 있을 뿐 아니라 아직은 중국의 기술개발에 대한 규제가 많지 않고 인건비가 저렴해 공동연구실을 설치할 경우 공동발전의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
- 김순강 객원기자
- pureriver@hanmail.net
- 저작권자 2017-09-22 ⓒ ScienceTimes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