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국철도공사(코레일)는 철도차량 부품업체 샬롬엔지니어링과 공동으로 디지털 영상과 첨단 센서 기술을 융합한 전방안전 검지 장치(변화를 감지해 정보를 제공하는 장치)를 개발했다고 16일 밝혔다.
새로 개발한 장치는 열차 전방 최대 2㎞, 선로 반경 500m 이내 장애물을 자동 감지해 기관사에게 실시간으로 충돌 위험 경보를 전달한다.
장치에는 원거리 검측용 영상 카메라와 근거리 감지용 라이다(LiDAR·자율주행체 센서)가 적용돼 열차 제동거리를 넘어선 먼 곳까지 위험 요소를 감지할 수 있다.
열화상 카메라 등을 통해 악천후 상황에서도 건널목 장애물, 선로변 작업자, 낙석, 사각지대 등 다양한 충돌 위험을 사전에 인지할 수 있다.
라이다 센서를 이용해 장애물을 탐지하고 거리를 측정, 야간 시간대에도 높은 정확도로 고품질의 영상을 확보할 수 있다.
코레일은 내달 개발품을 일반열차에 시험 적용해 주행 테스트를 할 예정이다.
이번 연구는 지난해 7월부터 이스라엘과 진행해온 국제공동연구개발사업인 '융합센서를 이용한 선로변 위험요소 감지시스템 개발' 과제의 하나로 수행됐다.
정정래 코레일 사장직무대행은 "선로 위의 작업자 안전을 확보하는 데 기여할 것"이라며 "지속적인 연구개발을 통해 안전한 열차 운행 환경 조성에 힘쓰겠다"고 말했다.
- 연합뉴스
- 저작권자 2025-10-20 ⓒ ScienceTimes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