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IGS' 기법을 사용해 다양한 시점에서 손-물체 상호작용을 복원한 결과 ⓒ울산과학기술원 제공 양손으로 어떤 물체를 다룰 때 보이지 않는 부분까지 3차원으로 나타내는 인공지능(AI) 기술을 울산과학기술원(UNIST) 연구진이 개발했다. UNIST 인공지능대학원 백승렬 교수팀은 단일 RGB 영상만으로 양손과 처음 보는 기구의 복잡한 상호작용을 실시간 3D로 시각화할 수 있는 AI 모델 'BIGS'(Bimanual Interaction 3D Gaussian Splatting)를 개발했다고 9일 밝혔다. 연합뉴스 저작권자 2025-06-11 ⓒ ScienceTimes 태그(Tag) #3D가우시안스플래팅 #3D모델 #3D시각화 #복원기술 #인공지능 관련기사 명화 복원, AI로 3시간 만에 끝낸다 ▲ 왼쪽은 손상된 그림, 가운데는 AI로 찾아낸 다양한 손상 유형이다. 오른쪽은 MIT연구진이 개발한 필름을 부착해 복원을 완성한 모습이다. ⒸAlex Kachkine 최소 몇 주에서 수십 년까지 걸리는 명화 복원 작업을 몇 시간 만에 끝낼 수 있는 기술이 개발됐다. 미국 매사츄세츠공대(MIT) 연구진은 인공지능(AI)을 활용해 회화 작 ETRI, 스스로 배워 수면 상담해주는 AI 에이전트 개발 수면 상담 AI 에이전트 기술 개념도 ⓒETRI 제공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은 사람이 개입하지 않아도 스스로 배워 수면 상담을 해주는 인공지능(AI) 에이전트 기술을 개발했다고 12일 밝혔다. 상황을 추론하고 판단하는 AI와 사람의 의도를 이해해 대응하는 AI가 협업해 새로운 경험을 통해 얻은 정보를 학습하며 상담 수준을 고도 사람-AI 토론 능력 비교해보니…"GPT-4가 더 설득력 있어" 인공지능(AI)이 생각을 바꾸도록 사람을 설득할 수 있을까? 챗GPT 같은 대형언어모델(LLM) 기반 AI 챗봇이 사람보다 훨씬 효과적으로 상대를 설득할 수 있는 토론 능력을 이미 갖췄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인간과 GPT-4 토론 능력 비교 실험 개요. a) 성별·연령·인종·교육·고용&mid AI로 냄새 구분…한국기술교육대, 초정밀 인공 후각 시스템 개발 산화주석 나노구조체 제작 방법과 낮은 성능 편차 기반의 가스 분류 결과 ⓒ한국기술교육대 제공 한국기술교육대는 에너지신소재화학공학부 심영석 교수 연구팀이 고신뢰성 나노가스센서와 딥러닝 기술을 결합한 인공 후각 시스템을 개발해, 극한의 고습도 환경에서도 99.5% 이상의 정확도로 다종 가스를 분류하는 데 성공했다고 8일 밝혔다. 연구 KAIST, 영감으로 코드 만드는 인공지능 작곡 기술 개발 인공지능 작곡 기술 개발한 연구팀 왼쪽부터 미국 카네기멜론대 크리스 도너휴 교수, KAIST 전기·전자공학부 김예원 박사과정과 이성주 교수 ⓒKAIST 제공 한국과학기술원(KAIST)은 전기·전자공학부 이성주 교수 연구팀이 인공지능(AI) 기반 음악 창작 지원 시스템 '어뮤즈'(Amuse)를 개발했 "실제 암세포 환경 3D프린팅으로 재현…AI로 예후 예측도" 환자 맞춤형 인공 암 조직 바이오프린팅과 환자 예후 예측 AI ⓒ울산과학기술원 제공 3D 프린터를 이용해 암 환자의 체내 조건과 같은 환경에서 배양할 수 있는 인공 종양 조직(암세포)을 만들고, 이 조직을 통해 예후를 예측하는 인공지능(AI) 기술을 국내 연구진이 개발했다. 울산과학기술원(UNIST) 바이오메디컬공학과 박태은&mid "복잡한 장면에서 핵심만 찾아낸다" 뇌처럼 분석하는 AI 인공지능과 실제 뇌의 시각 반응 비교 실험 ⓒIBS 제공 인간의 뇌처럼 시각 정보를 선택적으로 처리할 수 있는 인공지능(AI)이 등장했다. 기초과학연구원(IBS) 인지·사회성 연구단 이창준 단장 연구팀은 연세대 응용통계학과 송경우 교수팀과 공동으로 뇌의 시각피질이 시각 정보를 선별해 처리하는 방식을 모사해 AI의 이미지 GIST, 물체 인식 정확도 높이는 인공지능 기술 개발 GIST AI융합학과 이규빈 교수팀 ⓒGIST 제공 로봇이 처음 보는 물체에 대한 정보를 스스로 보정해 빠르고 정확하게 인식하는 인공지능(AI) 비전 개술이 개발됐다. 광주과학기술원(GIST)은 14일 AI융합학과 이규빈 교수팀이 오류 추정을 통해 미학습 물체의 인식 결과를 정제하는 AI 기술을 개발했다고 밝혔다. 이 기술 UNIST "개인정보 보호하며 고품질 콘텐츠 생성 AI 모델 개발" 연구진 모습 ⓒ울산과학기술원 제공 '셀카'와 같은 개인정보가 포함된 민감 데이터를 서버로 직접 보내지 않고도 고품질 이미지 등 콘텐츠 생성을 돕는 인공지능(AI) 모델을 울산과학기술원(UNIST) 연구진이 개발했다. UNIST 인공지능대학원 유재준 교수팀은 연합학습 AI 모델인 '프리즘'(PRISM&mi “이 논문, 사람이 심사한 걸까?” AI가 바꾸는 과학 논문 심사의 미래 2024년 말, 호주 브리즈번의 한 스타트업이 ‘Paper-Wizard’라는 인공지능 도구를 공개했다. 이 시스템은 연구자가 논문 원고를 업로드하면 단 몇 분 만에 전문적인 동료 평가 보고서를 자동으로 생성하는 서비스를 제공한다. 표면적으로는 프리-리뷰를 표방하지만, 실질적으로는 심사자의 분석력과 판단을 모방하는 AI 기반 자동화 심사 목록으로
연재 보러가기 사이언스 타임즈에서만 볼 수 있는특별한 주제의 이야기들을 확인해보세요! 인기 뉴스 TOP 10 ‘카페인 수혈’ 위해 마신 블랙커피, 수명을 늘린다 식사 시간만 바꿔도 운동 능력이 달라지는 비결, 지방에 있었다 "돼지-인간 신장 이식 거부반응, 10일 후 시작돼 33일 최고조" 철분 부족이 자궁 속 태아를 여성으로 바꾸다 [카자흐스탄 리포트 1] 카자흐스탄, KAIST 모델로 공과대 설립 추진 "기술 자립을 위한 전략" 명화 복원, AI로 3시간 만에 끝낸다 스위스는 어떻게 미리 산사태를 미리 막을까? 세계 최대 남반구 밤하늘 관측 망원경 첫 영상 공개 "여론 조작 막는다" AI 생성 한국어 댓글 탐지 기술 개발 한세기를 건너온 수수께끼, 한국 행성과학자 이연주 단장이 풀어낸다 속보 뉴스 "돼지-인간 신장 이식 거부반응, 10일 후 시작돼 33일 최고조" KAIST, 스스로 움직이는 세포로봇 개발…연료는 생체 부산물 다이빙으로 가장 큰 물보라를 일으키는 과학적 방법? AI로 8천개 이산화탄소 포집 소재 구조 중 100개 유망 후보 발굴 "뇌에 손상되면 범죄·폭력행동 위험 높아지는 부위 있다" "다람쥐·들쥐, 도시생활 125년만에 두개골·치열이 달라졌다" "깊은 수면, '유레카 순간'으로 이어질 가능성 높다" QUICK LINK 사이언스올 한국과학창의재단 과학기술연구기관 목록 사이언스타임즈 블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