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진 모습 ⓒ울산과학기술원 제공 '셀카'와 같은 개인정보가 포함된 민감 데이터를 서버로 직접 보내지 않고도 고품질 이미지 등 콘텐츠 생성을 돕는 인공지능(AI) 모델을 울산과학기술원(UNIST) 연구진이 개발했다. UNIST 인공지능대학원 유재준 교수팀은 연합학습 AI 모델인 '프리즘'(PRISM·PRivacy-preserving Improved Stochastic Masking)을 개발했다고 9일 밝혔다. 연합뉴스 저작권자 2025-04-11 ⓒ ScienceTimes 태그(Tag) #AI #개인정보보호 #생성AI #인공지능 관련기사 '반감기 1천570만년' 방사성 요오드 제거 소재 AI로 찾았다 한국과학기술원(KAIST) 원자력·양자공학과 류호진 교수팀은 한국화학연구원 노주환 박사와 공동으로 인공지능(AI)을 활용해 방사성 요오드를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신소재를 발굴했다고 2일 밝혔다. 원자력 에너지 사용에 있어 방사성 폐기물 관리는 핵심 과제 중 하나다. 특히 방사성 아이오딘(요오드) 'I-131'은 반 UNIST "파노라마 사진 1장으로 공간·사물 파악하는 AI 개발" 단일 파노라마 이미지에서 공간 정보를 추론할 수 있는 AI 모델 ⓒ울산과학기술원 제공 360도 파노라마 사진 한 장으로 실내 공간과 사물의 3차원 정보를 파악하는 인공지능(AI) 기술이 나왔다. 울산과학기술원(UNIST) 인공지능대학원 주경돈 교수팀은 360도 파노라마 이미지에서 공간 구조와 내부 물체의 3차원 정보를 동시에 추출할 AI로 8천개 이산화탄소 포집 소재 구조 중 100개 유망 후보 발굴 AI 이용해 이산화탄소 포집 소재 발굴한 KAIST 연구팀 ⓒKAIST 제공 한국과학기술원(KAIST)은 인공지능(AI)을 이용해 이산화탄소 포집에 적합한 소재를 빠르고 정확하게 선별할 수 있는 시뮬레이션 기법을 개발했다고 29일 밝혔다. 금속 유기 골격체(MOF·금속과 유기물을 결합한 다공성 소재)는 표면적이 넓고 자 명화 복원, AI로 3시간 만에 끝낸다 ▲ 왼쪽은 손상된 그림, 가운데는 AI로 찾아낸 다양한 손상 유형이다. 오른쪽은 MIT연구진이 개발한 필름을 부착해 복원을 완성한 모습이다. ⒸAlex Kachkine 최소 몇 주에서 수십 년까지 걸리는 명화 복원 작업을 몇 시간 만에 끝낼 수 있는 기술이 개발됐다. 미국 매사츄세츠공대(MIT) 연구진은 인공지능(AI)을 활용해 회화 작 UNIST "저품질 영상 해상도·프레임 동시에 개선하는 AI 개발" 연구진 모습 ⓒ울산과학기술원 제공 흐릿하고 끊기는 영상을 또렷하고 매끄럽게 복원하는 인공지능(AI) 모델을 울산과학기술원(UNIST) 연구진이 제시했다. 24일 UNIST는 인공지능대학원 유재준 교수팀이 영상의 해상도와 프레임을 동시에 개선하는 AI 모델 'BF-STVSR'(Bidirectional Flow-based "여론 조작 막는다" AI 생성 한국어 댓글 탐지 기술 개발 AI 생성 댓글 탐지 예시 ⓒKAIST 제공 최근 생성형 인공지능(AI) 기술 발전으로 이를 악용한 온라인 여론 조작 우려가 커지고 있다. 오픈AI의 기본 모델 'GPT-4o'이 댓글 1개를 만들어내는 데 드는 비용은 1원으로, 국내 주요 뉴스 플랫폼의 일 평균 댓글 수(20만개)를 생성하는 데 20만원이면 된다. "인공지능이 독창성까지"…AI 모델의 창의성 높이는 기술 개발 연구팀이 개발한 알고리즘 적용 사례 ⓒKAIST 제공 한국과학기술원(KAIST) 최재식 교수는 네이버(NAVER) AI Lab과 공동 연구를 통해 추가적인 학습 없이도 인공지능(AI) 생성 모델의 창의적 생성을 강화하는 기술을 개발했다고 19일 밝혔다. 텍스트를 기반으로 이미지를 생성하는 AI 모델인 '스테이블 디퓨전' UNIST "위성 관측서 누락 해수면 온도 데이터, AI가 복원한다" 연구진 모습 ⓒ울산과학기술원 제공 인공위성이 측정하지 못한 해수면 온도 데이터를 인공지능(AI)으로 복원할 수 있는 기술이 개발됐다. 울산과학기술원(UNIST) 지구환경도시건설공학과 임정호 교수팀은 위성 관측망의 결측 구간을 보완해 해수면 온도 데이터를 1시간 단위, 2㎞ 공간 해상도로 재구성할 수 있는 AI 복원 모델을 개발했다고 스스로 전자 수준 정보 배워 물성 예측하는 AI…"정확도 2배↑" 스스로 전자 수준 정보를 학습해 물성을 예측할 수 있는 인공지능(AI) 기술이 개발됐다. 한국화학연구원 나경석 선임연구원과 한국과학기술원(KAIST) 박찬영 교수 공동 연구팀은 고비용의 양자역학 계산 없이도 분자의 전자 수준 정보에 기반해 물성을 정밀하게 예측할 수 있는 '자기지도 확산 모델 기반 분자 표현학습 기술'을 개발했다고 15일 KAIST, '21종 반응물 동시분석' AI 신약 발굴기술 개발 KAIST 김현우 교수 연구팀 ⓒKAIST 제공 한국과학기술원(KAIST)은 21종의 반응물을 동시에 정밀 분석할 수 있는 인공지능(AI) 기반 신약 발굴 기술을 개발했다고 16일 밝혔다. 임산부의 입덧 완화를 위해 개발된 '탈리도마이드'는 광학 이성질체(동일한 화학식을 갖지만 배치가 달라 광학 활성이 다른 화합물) 목록으로
연재 보러가기 사이언스 타임즈에서만 볼 수 있는특별한 주제의 이야기들을 확인해보세요! 인기 뉴스 TOP 10 식사 시간만 바꿔도 운동 능력이 달라지는 비결, 지방에 있었다 "돼지-인간 신장 이식 거부반응, 10일 후 시작돼 33일 최고조" [카자흐스탄 리포트 1] 카자흐스탄, KAIST 모델로 공과대 설립 추진 "기술 자립을 위한 전략" 명화 복원, AI로 3시간 만에 끝낸다 아이를 낳으면 삶이 더 의미 있어지지만 만족스럽지는 않다? "다람쥐·들쥐, 도시생활 125년만에 두개골·치열이 달라졌다" 휴 다행이다, AI 예술은 아직 인간의 창의성을 따라잡지 못한다 [카자흐스탄 리포트 2] 카자흐스탄, 바이코누르 임대 수익 넘어 독자 우주기술로 '우주 강국' 도약 한국광학회와 물리학 "깊은 수면, '유레카 순간'으로 이어질 가능성 높다" 속보 뉴스 우주 수수께끼 '백색왜성의 이중폭발' 직접 증거 찾았다 "비흡연자 폐암 증가, 대기오염이 주요 원인일 수 있어" 에너지연, 암모니아 분해 촉매기술 개발…"수소 생산 경제성↑" 함정 수중방사소음 실시간 예측기술 개발…"은밀성 확보" 아주대·서울대·美퍼듀대 공동연구팀 "고정밀 전자피부 개발" 뇌 특정 영역 신경 전기로 자극했더니…"수학 학습 향상 효과" '반감기 1천570만년' 방사성 요오드 제거 소재 AI로 찾았다 QUICK LINK 사이언스올 한국과학창의재단 과학기술연구기관 목록 사이언스타임즈 블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