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황화몰리브덴 적용한 차세대 무음극 전고체 전지 그림 ⓒ한국화학연구원 제공 한국화학연구원은 화재 위험이 없는 차세대 무음극 전고체 전지의 수명을 획기적으로 높일 수 있는 기술을 개발했다고 1일 밝혔다. 전(全)고체 전지는 액체 전해질을 쓰는 기존 리튬이온 배터리와 달리 고체 전해질을 사용하기 때문에 온도 변화에 따른 화재 위험이 적으며, 에너지 밀도를 높일 수 있어 차세대 배터리로 주목받고 있다. 연합뉴스 저작권자 2025-06-03 ⓒ ScienceTimes 태그(Tag) #무음극전고체 #이황화몰리브덴 #전고체 #전지수명 #전해질 관련기사 친환경 수소 생산 위한 고체산화물 전해전지 10분 만에 만든다 KAIST 연구팀, 고체산화물 연료전지 초고속 제조 성공 ⓒ KAIST 제공 한국과학기술원(KAIST)은 기계공학과 이강택 교수 연구팀이 그린수소(이산화탄소 배출 없이 만들어내는 친환경 수소)를 생산할 수 있는 고체산화물 전해전지를 10분 만에 초고속으로 제조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했다고 28일 밝혔다. 전극과 전해질이 모두 고체로 차세대 전고체 전지용 얇고 유연한 고체 전해질막 개발 고체 전해질막 품질 점검하는 ETRI 연구팀 ⓒ ETRI 제공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은 차세대 전고체 전지용 얇고 유연한 고체 전해질막을 개발했다고 23일 밝혔다. 전(全)고체 전지는 액체 전해질을 쓰는 기존 리튬이온 배터리와 달리 고체 전해질을 사용하기 때문에 온도 변화에 따른 화재 위험이 적으며, 에너지 밀도를 높일 수 있 UNIST, 폭발 없는 대용량 ESS '흐름 전지' 수명 향상 기술 개발 철-크롬계 흐름 전지 모식도 ⓒUNIST 제공 울산과학기술원(UNIST)은 폭발 없는 대용량 전기 저장장치(ESS)인 '철-크롬계 흐름 전지'의 수명을 늘릴 수 있는 기술을 개발했다고 29일 밝혔다. 흐름 전지는 일반적인 배터리와 달리 전극 물질이 물에 녹아 있는 전해액 형태로 있다. 휘발성 전해질이 아닌 물을 KIST, 웨어러블 배터리 한계 극복…성능·내구성 동시 개선 소량 첨가제 섞어 이온전도도 높인 고분자 전해질 개발 ⓒKIST 제공 착용형(웨어러블) 전자기기에 쓰이는 섬유형 에너지 저장장치의 성능을 소량의 첨가제만으로도 늘리는 기술이 개발됐다.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은 전북분원 기능성복합소재연구센터 김남동 책임연구원과 주용호 선임연구원 연구팀이 한국과학기술원(KAIST) 이진우 교수 연 성능·안정성 만족 전해질 개발…"전고체 배터리 상용화 도움" 고분자 소재 모식도 ⓒ포항공대 제공 국내 연구진이 높은 안정성을 유지하면서 빠른 이온 이동 속도를 보이는 고분자 전해질 소재를 개발했다. 이 소재를 사용하면 고성능 전고체 배터리를 상용화하는 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포항공대(POSTECH)는 화학공학과 박문정 교수 연구팀이 차세대 이차전지에 사용할 수 있는 고체 고분자 KAIST·경상대, 차세대 리튬금속전지 수명 높인 전해질 개발 국제 학술지에 실린 KAIST·경상국립대 연구팀의 연구 성과 ⓒ한국연구재단 제공 한국연구재단은 한국과학기술원(KAIST) 이진우·최남순 교수, 경상국립대 이태경 교수 공동 연구팀이 리튬금속전지의 짧은 수명 문제를 개선한 전해질을 개발했다고 10일 밝혔다. 리튬금속전지는 음극재에 흑연 대신 리튬금속을 사용하는 전기차용 리튬배터리 급속충전 시간 30분→15분으로 줄였다 한국과학기술원(KAIST)은 최남순·홍승범 교수 공동 연구팀이 리튬이온 배터리의 리튬이온 이동을 극대화할 수 있는 새로운 전해질 용매 '아이소부티로니트릴'(isoBN)를 개발했다고 17일 밝혔다. 전기차 등에 쓰이는 리튬이온 배터리는 크게 양극과 음극, 액체 전해질로 구성된다. 기존 전해질 용매로 쓰이는 에틸렌 카보네이 전고체 배터리, 어디까지 알고 있니? 스마트폰 안의 작은 리튬 이온 배터리 손에 들고 있는 스마트폰, 넷플릭스 볼 때 안성맞춤인 태블릿, 일할 때 이용하는 노트북, 손목에 차고 있는 스마트 워치까지 모두 단 한 가지 공통점이 있다. 바로 '배터리'를 가지고 있는 제품들이라는 점이다. 특히 리튬 이온 충전식 배터리는 한 번에 최소 몇 시간에서 최대 며칠 동안 사용할 수 있는 배터리로 이를 통해 여러분은 몸에 열이 날 때 어떻게 하시나요? 우리는 살아가며 열이 나는 경우를 마주할 때가 꽤 있다. 그 예로 초기 감기 증상일 때, 백신을 접종했을 때 등이 있다. 이처럼 열이 나면 우리는 어떠한 약을 복용해야 할까. 발열은 바이러스나 박테리아 감염, 열사병, 열사병, 일광 화상 등에서 흔히 보이는 증상이다. 우리 몸은 질병이나 감염증에 노출되면, 그에 대항하기 위해 체온을 올린다. 이는 뇌의 ‘두 머리’ 합친 차세대 컴퓨터 칩 나왔다 전자공학 분야에 새로운 돌파구가 열렸다. 스위스 로잔 연뱡공대(EPFL) 나노 전자공학 및 구조 연구소(LANES) 공학자들이 더 작고 빠르며 에너지 효율이 높은 차세대 전자회로 개발에 성공했다. 이에 따라 산업 전반과 현대인의 생활 곳곳에 확산되고 있는 인공지능 시스템 발전에 새로운 디딤돌이 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이들 연구팀은 처음으 목록으로
연재 보러가기 사이언스 타임즈에서만 볼 수 있는특별한 주제의 이야기들을 확인해보세요! 인기 뉴스 TOP 10 마다가스카르 여우원숭이, 한 번 아닌 여러 번 ‘폭발했다’ 100만년 전 중국 두개골 발견, 인류 진화 타임라인을 최소 50만년 앞당기나 스트레스받으면 코가 차가워진다 자식 양육에 더 힘쓰는 성(性)이 오래 산다 3만 년 동안 숨겨졌던 ‘그 색깔’의 비밀 스티로폼 용기서 나온 미세플라스틱, 폐 손상 일으킨다 한수원 "저선량방사선, 퇴행성 관절염 치료 효과 입증" 엄마가 먹은 미세플라스틱, 모유로 전달돼 아이 면역체계 교란 전기연, 중전압 하이브리드 직류차단기 개발…전력망 안정 기여 "비만약 세마글루티드, 감량 효과 관계 없이 심장 보호" 속보 뉴스 "노화된 뇌의 기억력 저하 되돌릴 수 있다…쥐 실험 확인" 친환경 수소 생산 위한 고체산화물 전해전지 10분 만에 만든다 UNIST, 폐배터리서 니켈ㆍ코발트 99% 순도 추출 기술 개발 '연구산업도 AI 시대' 과기정통부, 국제연구산업컨벤션 개최 초고압에서 새로운 얼음 찾았다…얼음의 21번째 결정상 발견 한국형 인공태양 '케이스타' 올해 플라스마 실험 시작 국제과학관심포지엄서 'AI 시대 과학관 역할' 공동합의문 채택 QUICK LINK 사이언스올 한국과학창의재단 과학기술연구기관 목록 사이언스타임즈 블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