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 그림 ⓒ울산과학기술원 제공 고가의 초고속 펄스 레이저 대신 레이저 포인트와 같은 일반 광원으로도 생체 조직 내부를 뚜렷하게 촬영할 수 있는 기술을 울산과학기술원(UNIST) 연구진이 개발했다. UNIST 바이오메디컬공학과 박정훈·주진명 교수팀은 특수 나노 입자를 이용해 일반 연속파(CW) 레이저만으로 생체 조직 내부를 3차원으로 촬영할 수 있는 비선형 형광 현미경 기술을 개발했다고 19일 밝혔다. 연합뉴스 저작권자 2025-05-21 ⓒ ScienceTimes 태그(Tag) #나노입자 #레이저 #비선형형광현미경기술 #생체조직촬영 #형광현미경 관련기사 "MRI 대신 초음파"…부산대, AI 기반 3차원 영상 기술 개발 부산대, AI 기반 초음파 3차원 영상 기술 개발 ⓒ부산대 제공 부산대학교 연구진이 인공지능(AI)을 활용해 광음향(레이저)과 초음파 영상 데이터를 자기공명영상장치(MRI)처럼 정밀한 3차원 영상으로 바꾸는 기술을 개발했다. 부산대는 의생명융합공학부 김민우 교수 연구팀이 광음향 및 초음파(PAUS) 영상 기술을 결합해 AI를 기반으 KIST "인 고효율 회수·유해미생물 살균 수처리 소재 개발" KIST, 수처리 활용 성게 모양 나노 입자 개발 ⓒKIST 제공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은 물자원순환연구단 최재우·조경진 책임연구원 연구팀이 단시간에 인을 고효율로 회수하고 유해 미생물도 살균할 수 있는 수처리 신소재를 개발했다고 21일 밝혔다. 물이 하수처리장에서 정화될 때는 녹조를 유발하는 인과 총대장균군 같은 "'체온 반응해 항원 방출' 신개념 나노입자 결핵백신 효과 입증" 질병관리청 공공백신개발지원센터 ⓒ연합뉴스 자료사진 질병관리청은 신개념 입자인 '온도반응성 나노입자'를 활용한 결핵 백신이 기존 백신(BCG)보다 더 나은 예방 효과를 보였다고 1일 밝혔다. 온도반응성 나노입자란 상온에서는 입자 형태를 유지하고 체온에서는 그 형태를 변화해 항원(면역 반응을 유도해 항체를 형성하게 하는 KAIST, 중적외선 영역에서도 고성능 낼 수 있는 광소자 제작 중적외선 영역에서 고성능 브릴루앙 레이저 광원 구현 기술 개념도 ⓒKAIST 제공 한국과학기술원(KAIST) 이한석 교수팀은 호주국립대 최덕용 교수, 예일대 피터 라키치 교수, 한국원자력연구원 고광훈 박사, 중국 닝보대학교 롱핑 왕 교수 연구팀과 공동으로 중적외선 파장 대역에서 고성능 광원인 '브릴루앙 레이저'(Brillo 3D 디스플레이 선명히 구현…KIST, 고순도 발광 나노입자 개발 코어 다중쉘 구조 상향변환 나노입자 ⓒKIST 제공 3차원 디스플레이 구현에 필수적인 선명한 고순도 총천연색 발광이 가능한 새로운 구조의 나노입자가 개발됐다.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은 장효성 극한물성소재연구센터 책임연구원 연구팀이 중심 코어 입자를 여러 층 셸로 둘러싼 다층 구조 형태 나노입자를 개발해 적외선 파장으로도 단일 UNIST "은 나노입자 기반 은닉형 위조 방지 기술 개발" UNIST 연구진이 개발한 위조 방지 정보 ⓒ울산과학기술원 제공 은 나노입자를 이용한 '은닉형 위조 방지 기술'을 울산과학기술원(UNIST) 연구진이 개발했다. 26일 UNIST에 따르면 에너지화학공학과 이지석 교수팀은 은 나노입자가 포함된 고분자 구조체를 픽셀로 고해상도 발색 이미지를 제작, 은닉형 위조 방지 정보를 만드 휴머노이드 아닌 ‘머시노이드’, 나노가 만든다 ▲ 서울패션위크에 등장한 신-인류의 패션. 자유자재로 형태를 변형할 수 있는 스트레쳐블 디스플레이가 적용됐다. ©LG 디스플레이 “더 건강하고 편리한 삶을 위해 사람이 컴퓨터처럼 일상생활 속에서 편리하게 다양한 정보를 실시간으로 주고받는 기술 개발이 활발히 이뤄지고 있습니다. 이러한 혁신의 핵심에는 연성 소자가 있으며, 그 시작은 나 자기장이 ‘사랑의 묘약’으로…모성애도 조작 ▲ 없던 사랑의 감정도 생기게 한다는 ‘사랑의 묘약’처럼 자기장을 이용해 동물의 감정을 조작하고, 행동 변화도 유발할 수 있는 새로운 기술이 개발됐다. ⓒIBS 영화나 소설에 등장하는 ‘사랑의 묘약’, 이성의 관심을 끌 수 있다는 페로몬 향수 등 타인의 감정을 조절하기 위한 도구는 큰 관심을 얻는 소재다. 뇌에 자기장 자극을 가하는 아인슈타인이 세상을 바꾼 7가지 방법 앤드류 메이(Andrew May)는 영국 맨체스터 대학에서 천체 물리학 박사 학위를 취득한 과학 커뮤니케이터이다. 지난 30여 년 동안 유명 언론을 통해 우주적 관점의 글을 게재하며 사회적으로 큰 관심을 끌어왔는데 4일 ‘라이브 사이언스’에 ‘아인슈타인이 세상을 바꾼 7가지 방법(7 ways Einstein changed the world)’이란 제목 연료전지 성능과 내구성 한번에 잡았다 DGIST 샨무감 교수(좌), 맥스웰 치포아카 석사과정생(우) ⓒDGIST DGIST, 연료전지의 성능저하와 내구성 향상을 위한 새로운 합성법 제시 DGIST 에너지공학전공 상가라쥬 샨무감 (Sangaraju Shanmugam) 교수팀은 연료 전지에 사용되는 내피온(Nafion) 소재의 ‘고분자 전해질막(PEM)’*이 갖는 성능저하 및 열화* 문 목록으로
연재 보러가기 사이언스 타임즈에서만 볼 수 있는특별한 주제의 이야기들을 확인해보세요! 인기 뉴스 TOP 10 식사 시간만 바꿔도 운동 능력이 달라지는 비결, 지방에 있었다 "돼지-인간 신장 이식 거부반응, 10일 후 시작돼 33일 최고조" [카자흐스탄 리포트 1] 카자흐스탄, KAIST 모델로 공과대 설립 추진 "기술 자립을 위한 전략" 명화 복원, AI로 3시간 만에 끝낸다 아이를 낳으면 삶이 더 의미 있어지지만 만족스럽지는 않다? "다람쥐·들쥐, 도시생활 125년만에 두개골·치열이 달라졌다" 휴 다행이다, AI 예술은 아직 인간의 창의성을 따라잡지 못한다 [카자흐스탄 리포트 2] 카자흐스탄, 바이코누르 임대 수익 넘어 독자 우주기술로 '우주 강국' 도약 한국광학회와 물리학 "깊은 수면, '유레카 순간'으로 이어질 가능성 높다" 속보 뉴스 우주 수수께끼 '백색왜성의 이중폭발' 직접 증거 찾았다 "비흡연자 폐암 증가, 대기오염이 주요 원인일 수 있어" 에너지연, 암모니아 분해 촉매기술 개발…"수소 생산 경제성↑" 함정 수중방사소음 실시간 예측기술 개발…"은밀성 확보" 아주대·서울대·美퍼듀대 공동연구팀 "고정밀 전자피부 개발" 뇌 특정 영역 신경 전기로 자극했더니…"수학 학습 향상 효과" '반감기 1천570만년' 방사성 요오드 제거 소재 AI로 찾았다 QUICK LINK 사이언스올 한국과학창의재단 과학기술연구기관 목록 사이언스타임즈 블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