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호상(오른쪽) 선임연구원·살라후딘 학생연구원 ⓒ재료연 제공 한국재료연구원(KIMS, 재료연)은 바이오·헬스재료연구본부 정호상 박사 연구팀이 혈액에 존재하는 극소량의 암세포 DNA를 고감도로 검출해 암 조기진단을 가능하게 하는 광학 기반 바이오센서를 개발했다고 13일 밝혔다. 암세포가 발생할 때는 혈액 속 DNA 표면에 작은 화학적 변화가 생긴다. 이를 메틸화(Methylation) 정도가 변화한다고 표현한다. 연합뉴스 저작권자 2025-05-14 ⓒ ScienceTimes 태그(Tag) #광학센서 #바이오센서 #암진단 #조기진단 관련기사 "자폐 조기에 진단"…사회적 상호작용 AI 기술 개발 자폐 조기 진단 위한 사회적 상호작용 AI 기술 개념도 ⓒETRI 제공 국내 연구진이 자폐스펙트럼장애(ASD)를 조기에 진단할 수 있는 인공지능(AI) 기술을 개발했다. 자폐스펙트럼장애는 사회적 상호작용과 의사소통 결여, 반복·과잉 행동, 지적·불안 장애 등 증상을 보이는 뇌 발달 장애다. 효과적인 인제대 연구팀, 스마트폰으로 치매·파킨슨병 조기진단 기술개발 인제대 연구팀 논문 ⓒ인제대 제공 인제대학교 연구팀이 스마트폰과 연동해 치매, 파킨슨병 등 퇴행성 뇌 질환을 조기에 진단할 수 있는 초고감도 바이오센서 기술을 개발해 눈길을 끈다. 이번 진단은 기존 검사보다 간편하고 저렴하면서도 정확도를 높여 병원 접근이 어려운 지역에서도 누구나 손쉽게 건강 상태를 확인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암 생존자, 영양·신체활동 지침 지키면 사망 위험 24% 감소" 미국암학회(ACS)가 권고하는 암 생존자를 위한 영양 및 신체활동 가이드라인(ACS Guideline for Diet and Physical Activity)을 지키면 암 생존자의 사망 위험을 24% 줄일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연합뉴스 제공 미국암학회(ACS)가 권고하는 암 생존자를 위한 영양 및 신체활동 가이드라인(ACS G 외계행성 찾는 중적외선 분석기술로 광학 센서 만든다 중적외선 포착 초소형 광학 센서 기술 개발한 KAIST 연구팀 ⓒKAIST 제공 한국과학기술원(KAIST) 전기·전자공학부 김상현 교수팀은 상온에서 안정적으로 동작하는 중적외선 분석기술을 개발했다고 27일 밝혔다. 초소형 광학 센서에 적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미국 항공우주국(NASA)의 제임스 웹 우주망원경(J 담도암 조기 진단 가능성 높였다…대규모 유전체 확보 담도암 발생 과정에서 나타나는 유전자 변이 ⓒ박영년 교수 제공 국내 연구진이 담도암 발병 과정을 알 수 있는 대규모 유전체를 확보했다. 한국연구재단은 연세대 의대 박영년·김상우 교수 연구팀이 담도암의 전암 병변(암으로 진행될 가능성이 높은 병변)으로부터 침윤성 담도암(1기 이상의 암)에 이르기까지 대규모의 유전체(생명체 췌장암 조기 진단을 위한 새로운 검사법이 나온다 췌장암: 가장 치명적인 암 췌장암은 진단 후 첫해에 환자 네 명 중 세 명이 사망하는 치명적인 질병이다. 또한, 진단 후 5년 생존율이 고작 6-14%에 불과한, 생존하기 가장 어려운 암으로 꼽힌다. 췌장암 퇴치의 가장 큰 장벽은 종양을 조기에 발견하고 제거할 방법을 찾는 것이다. ©Getty Images 췌장암 퇴치 혈액 몇방울로 폐암 조기 발견…국내 연구진, 진단 기술 개발 폐암 조기 진단 기술을 개발한 UNIST 연구진 ⓒ울산과학기술원 제공 몇 방울의 혈액으로 폐암을 조기에 발견할 수 있는 진단 기술을 국내 연구진이 개발했다. 울산과학기술원(UNIST)의 조윤경 바이오메디컬공학과 교수팀은 전처리하지 않은 극미량의 혈장(혈액에서 혈구가 가라앉은 노란 액체)으로도 암 돌연변이를 진단할 수 있는 기술 LG AI연구원, AWS 칩 기반 AI 모델 개발…암 진단시간 대폭 단축 엑사원패스를 통해 조직 병리 이미지를 분석 및 시각화해 세포 내 잠재적 유전적 변이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다. 색상 변화는 세포의 잠재적 유전적 변화나 이상을 나타내는 중요한 단서를 제공할 수 있다. ⓒLG AI연구원·AWS 제공 아마존웹서비스(AWS)는 3일(현지시간)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 열리는 'AWS 리인벤트( 유방암의 조기 발견 및 검진에도 인공지능이 활용된다 인공지능 기반 예후 검사 덕분에 화학요법을 피하다 전 세계에서 매년 200만 명 이상의 여성이 유방암으로 인해 고통받고 있다. 하지만 인도와 파키스탄에서는 인공 지능을 통한 유방암의 조기 진단이나 위험 예측을 시도하며 이를 대비하고 있다. 당시 31살의 사라(가명)는 결혼 직후 임신을 희망하고 있었다. 하지만 그녀는 듣고 싶지 않았던 유방암을 진단받 세포 언어 해독해 질병 치료 미세한 칩에 실험실 기능을 탑재한 랩온어칩(lab-on-a-chip) 기술이 인체 세포가 어떻게 소통하는지를 밝혀줌으로써 암과 여러 자가면역질환에 대한 새로운 치료법을 제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호주와 스위스 연구팀이 개발한 이 기술은 개별 세포들이 어떻게 행동하는지에 대한 전례 없는 통찰력을 제공해 주는 성과로, 세포들의 행동은 이전에 생각했 목록으로
연재 보러가기 사이언스 타임즈에서만 볼 수 있는특별한 주제의 이야기들을 확인해보세요! 인기 뉴스 TOP 10 ‘카페인 수혈’ 위해 마신 블랙커피, 수명을 늘린다 철분 부족이 자궁 속 태아를 여성으로 바꾸다 스위스는 어떻게 미리 산사태를 미리 막을까? 세계 최대 남반구 밤하늘 관측 망원경 첫 영상 공개 "여론 조작 막는다" AI 생성 한국어 댓글 탐지 기술 개발 한세기를 건너온 수수께끼, 한국 행성과학자 이연주 단장이 풀어낸다 "유전자 조작 박테리아, PET병에서 타이레놀 성분 만든다" 명화 복원, AI로 3시간 만에 끝낸다 UNIST "저품질 영상 해상도·프레임 동시에 개선하는 AI 개발" 범고래도 도구 만든다…"다시마로 만든 도구로 서로 몸단장" 속보 뉴스 "돼지-인간 신장 이식 거부반응, 10일 후 시작돼 33일 최고조" KAIST, 스스로 움직이는 세포로봇 개발…연료는 생체 부산물 다이빙으로 가장 큰 물보라를 일으키는 과학적 방법? AI로 8천개 이산화탄소 포집 소재 구조 중 100개 유망 후보 발굴 "뇌에 손상되면 범죄·폭력행동 위험 높아지는 부위 있다" "다람쥐·들쥐, 도시생활 125년만에 두개골·치열이 달라졌다" "깊은 수면, '유레카 순간'으로 이어질 가능성 높다" QUICK LINK 사이언스올 한국과학창의재단 과학기술연구기관 목록 사이언스타임즈 블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