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호상(오른쪽) 선임연구원·살라후딘 학생연구원 ⓒ재료연 제공 한국재료연구원(KIMS, 재료연)은 바이오·헬스재료연구본부 정호상 박사 연구팀이 혈액에 존재하는 극소량의 암세포 DNA를 고감도로 검출해 암 조기진단을 가능하게 하는 광학 기반 바이오센서를 개발했다고 13일 밝혔다. 암세포가 발생할 때는 혈액 속 DNA 표면에 작은 화학적 변화가 생긴다. 이를 메틸화(Methylation) 정도가 변화한다고 표현한다. 연합뉴스 저작권자 2025-05-14 ⓒ ScienceTimes 태그(Tag) #광학센서 #바이오센서 #암진단 #조기진단 관련기사 원자력의학원, 암 진단·수술 동시 가능 이중영상 플랫폼 개발 이용진 한국원자력의학원 박사 연구팀 ⓒ 한국원자력의학원 제공 한국원자력의학원은 이용진 박사 연구팀이 단국대 최진호 교수 연구팀과 공동으로 암을 진단하는 양전자방출단층촬영(PET)과 수술 중 실시간으로 암 부위를 볼 수 있는 근적외선형광영상촬영(NIRF)이 동시에 가능한 '엽산 수용체 표적형 이중 영상 나노플레이트'를 개발했 반려동물들에서 발견된 치매 병리 신호 고령화가 진행되면서 치매는 더 이상 남의 일이 아니다. Ⓒ Getty Images 치매는 더 이상 남의 일이 아니다. 우리나라도 고령화가 점차 진행되면서 65세 이상 인구 10명 중 1명꼴로 치매를 앓는 시대가 되었다. 기억력과 판단력 저하, 언어 사용의 어려움, 시간 및 장소 혼동과 같은 일상생활활의 어려움은 환자와 가족 모두의 삶을 소량 혈액으로 빠르고 정밀한 병원급 혈액검사 기술 개발 학술지 표지 논문 ⓒGIST 제공 병원에서 사용하는 대형장비 대신 소량의 혈액만으로도 빠르고 정밀하게 주요 혈액 지표를 확인할 수 있는 차세대 바이오센서 기술이 개발됐다. 광주과학기술원(GIST)은 3일 기계로봇공학과 양성 교수 연구팀이 적혈구 형태와 전기적 특성을 동시에 정밀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기존 임상 혈액검사 수준의 주요 그래핀으로 극미량의 독소도 감지…'햄버거병' 잡아낸다 생명연·성균관대 공동 연구팀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제공 성균관대 권오석 교수와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이무승 박사 공동 연구팀은 그래핀을 이용해 '용혈성요독증후군'(Hemolytic Uremic Syndrome)을 조기에 진단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했다고 9일 밝혔다. 일명 햄버거병으로 불리는 용혈성요독증후군은 '알츠하이머 조기에'…표준연, 초고감도 체외진단 플랫폼 개발 표준연이 개발한 SERS 기반 초고감도 다중 정량 검출 플랫폼 모식도 ⓒ표준연 제공 한국표준과학연구원(KRISS)은 분자의 고유한 광학 신호를 수억 배 이상 증폭해 체액 속 극미량의 알츠하이머병 생체지표(바이오마커)를 정확히 검출하고 정량화하는 진단 플랫폼을 개발했다고 30일 밝혔다. 알츠하이머병은 뇌 신경세포가 점차 손상되면서 기 암세포가 흘린 DNA 조각으로 췌장암을 조기에 진단하다 췌장암은 초기 증상이 거의 없어서 침묵의 암으로도 불린다 ⒸGetty Images 다양한 종류의 암 중에서도 췌장암은 조기 발견이 어렵고 진행 속도가 빠르며 치료가 쉽지 않은 대표적인 난치성 암이다. 통계청이 발표한 최근 자료에 따르면 2023년 우리나라의 전체 암 사망 원인 중 췌장암은 5위를 차지하였으며, 5년 생존율은 16.5%에 "자폐 조기에 진단"…사회적 상호작용 AI 기술 개발 자폐 조기 진단 위한 사회적 상호작용 AI 기술 개념도 ⓒETRI 제공 국내 연구진이 자폐스펙트럼장애(ASD)를 조기에 진단할 수 있는 인공지능(AI) 기술을 개발했다. 자폐스펙트럼장애는 사회적 상호작용과 의사소통 결여, 반복·과잉 행동, 지적·불안 장애 등 증상을 보이는 뇌 발달 장애다. 효과적인 인제대 연구팀, 스마트폰으로 치매·파킨슨병 조기진단 기술개발 인제대 연구팀 논문 ⓒ인제대 제공 인제대학교 연구팀이 스마트폰과 연동해 치매, 파킨슨병 등 퇴행성 뇌 질환을 조기에 진단할 수 있는 초고감도 바이오센서 기술을 개발해 눈길을 끈다. 이번 진단은 기존 검사보다 간편하고 저렴하면서도 정확도를 높여 병원 접근이 어려운 지역에서도 누구나 손쉽게 건강 상태를 확인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암 생존자, 영양·신체활동 지침 지키면 사망 위험 24% 감소" 미국암학회(ACS)가 권고하는 암 생존자를 위한 영양 및 신체활동 가이드라인(ACS Guideline for Diet and Physical Activity)을 지키면 암 생존자의 사망 위험을 24% 줄일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연합뉴스 제공 미국암학회(ACS)가 권고하는 암 생존자를 위한 영양 및 신체활동 가이드라인(ACS G 외계행성 찾는 중적외선 분석기술로 광학 센서 만든다 중적외선 포착 초소형 광학 센서 기술 개발한 KAIST 연구팀 ⓒKAIST 제공 한국과학기술원(KAIST) 전기·전자공학부 김상현 교수팀은 상온에서 안정적으로 동작하는 중적외선 분석기술을 개발했다고 27일 밝혔다. 초소형 광학 센서에 적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미국 항공우주국(NASA)의 제임스 웹 우주망원경(J 목록으로
연재 보러가기 사이언스 타임즈에서만 볼 수 있는특별한 주제의 이야기들을 확인해보세요! 인기 뉴스 TOP 10 침팬지도 힘들땐 모여서 음주를 한다 아폴로 13호를 무사히 귀환시킨 우주비행사, 달에 영원히 잠들다 [2025노벨상] 분자로 지은 '아파트'가 세상을 바꾼다 [2025노벨상] 면역계의 '브레이크' 발견이 가져온 의학 혁명 건강한 미토콘드리아를 활용한 재생 치료, 세포 속 에너지로 힘줄을 살리다. 한국 연구진, 노벨상 이론 뒤집어…"우주는 가속팽창하지 않아" "신생아에 치명적인 장 천공 조기에 찾는 AI 모델 개발" 수면 중 성장호르몬이 분비되는 뇌 회로 제시 하늘 아래 ‘같은 색’, 있다? 없다? 전기연, 욕창 예방 돕는 나노소재 기반 무선 센서 플랫폼 개발 속보 뉴스 코레일·샬롬엔지니어링, 열차 전방 장애물 감지 장치 개발 우주청, ADEX 2025 첫 참여…우주항공관서 한국 기술 선보인다 KAIST, 브랜드 상품 판매 수익으로 학생 연구 지원 원자력의학원, 암 진단·수술 동시 가능 이중영상 플랫폼 개발 너무 빨리 먹으면 비만 위험 증가…먹는 속도 측정 AI 개발 "150만년 전 파란트로푸스의 손뼈에 인류·고릴라 특징 공존" 낙동강생물자원관, 과수 탄저병 막는 담수 미생물 발견 QUICK LINK 사이언스올 한국과학창의재단 과학기술연구기관 목록 사이언스타임즈 블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