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언스타임즈 로고

신소재·신기술
연합뉴스
2025-04-24

아주대 "'슈퍼커패시터' 성능 개선하는 친환경 첨가제 개발'

  • 콘텐츠 폰트 사이즈 조절

    글자크기 설정

  • 프린트출력하기

아주대학교는 본교 연구팀이 차세대 에너지 저장 기술 중 하나인 '슈퍼커패시터'(supercapacitor)의 성능을 개선할 수 있는 친환경 첨가제를 개발했다고 22일 밝혔다.

연구 개요도 ⓒ아주대 제공

연구 개요도 ⓒ아주대 제공

고성능의 에너지 저장 기술로 분류되는 슈퍼커패시터는 리튬을 사용하지 않아 환경친화적이고 대규모의 전기 에너지를 저장할 수 있어 산업계와 학계의 주목을 받고 있다.

기존의 배터리가 화학반응을 통해 에너지를 저장하는 것과 달리 슈퍼커패시터는 전극과 전해질 계면에서의 표면 제어 반응을 통해 에너지 저장이 이뤄진다.

이로 인해 슈퍼커패시터의 성능 향상을 위해서는 전극과 전해질 계면의 안정성을 확보하는 게 중요한데 시간이 지날수록 계면에 부반응 부산물이 누적돼 성능이 저하된다는 한계가 있었다.

윤태광 아주대 응용화학과·대학원 분자과학기술학과 연구팀은 기존 슈퍼커패시터 시스템의 전극과 전해질 계면의 불안정성 문제를 해결하고자 천연고무 추출 물질인 콘다고구검과 미역 추출물인 알긴산나트륨을 활용한 KS(gum kondagogu/sodium alginate) 첨가제를 개발했다고 밝혔다.

이 첨가제는 수계 전해질(물을 용매로 사용하는 전해질 시스템)에서 뛰어난 용해도를 보여 이온 전도도를 개선하고 성능을 향상한다고 연구팀은 설명했다.

연구팀은 계면의 황산 기반 전해질에 KS 첨가제를 추가한 결과 3만회의 충·방전 후 용량 유지율이 기존 58%에서 93%로 향상됐다고 부연했다.

윤 교수는 "이번 연구는 슈퍼커패시터의 전극과 전해질 계면의 안정성을 획기적으로 개선해 새로운 에너지 저장 기술을 개발했다는 데 의의가 있다"며 "특히 KS 첨가제는 천연 다당류 기반의 바이오 고분자로 재활용이 가능하며 가격이 낮아 대량 생산 및 공정 확대에 용이하다"고 말했다.

이번 연구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 한국연구재단 등의 지원을 받아 진행됐다.

연구 결과는 국제 학술지 '에너지 스토리지 머터리얼즈'(Energy Storage Materials) 이달 호 온라인판에 게재됐다.

연합뉴스
저작권자 2025-04-24 ⓒ ScienceTimes

관련기사

목록으로
연재 보러가기 사이언스 타임즈에서만 볼 수 있는
특별한 주제의 이야기들을 확인해보세요!

인기 뉴스 TOP 10

속보 뉴스

ADD : 06130 서울특별시 강남구 테헤란로7길 22, 4~5층(역삼동, 과학기술회관 2관) 한국과학창의재단
TEL : (02)555 - 0701 / 시스템 문의 : (02) 6671 - 9304 / FAX : (02)555 - 2355
정기간행물 등록번호 : 서울아00340 / 등록일 : 2007년 3월 26일 / 발행인 : 정우성 / 편집인 : 윤승재 / 청소년보호책임자 : 윤승재
한국과학창의재단에서 운영하는 모든 사이트의 콘텐츠는 저작권의 보호를 받는 바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사이언스타임즈는 과학기술진흥기금 및 복권기금의 지원으로 우리나라의 과학기술 발전과 사회적 가치 증진에 기여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