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막 조립 모습(A)과 조립된 박막을 기판으로 옮기는 기술(B) ⓒ울산과학기술원 제공 복잡한 공정이 필요한 박막 제조를 물과 기름을 이용해 1분 안에 완료할 수 있는 기술을 울산과학기술원(UNIST) 연구진이 개발했다. 17일 UNIST에 따르면 에너지화학공학과 구강희 교수팀은 물속에 분산된 기름방울로 촉매 박막 등을 제작할 수 있는 기술을 제시했다. 연합뉴스 저작권자 2025-03-19 ⓒ ScienceTimes 태그(Tag) #박막제조 #에너지저장장치 #유연전극 #촉매 관련기사 UNIST·생기연 "대기오염 질소산화물 효율적 제거 촉매 개발" 연료를 태우는 곳이면 어디서든 배출되는 대기오염물질인 질소산화물을 넓은 온도 범위에서 제거할 수 있는 촉매를 국내 연구진이 개발했다. 울산과학기술원(UNIST)은 신소재공학과 조승호 교수팀과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울산기술실용화본부 김홍대 박사팀이 섭씨 240∼400도에서 질소산화물을 제거할 수 있는 탈질(질소산화물 제거) 촉매를 개발했다고 17일 AI로 귀금속 성능 뛰어넘는 다원소 합금 수전해 촉매 설계 인공지능 기반 촉매 설계 연구 모식도 ⓒ강정구 교수와 KAIST 김지훈 학생 제공 한국연구재단은 한국과학기술원(KAIST) 신소재공학과 강정구 교수팀과 미국 캘리포니아 공대 윌리엄 고다드 교수팀이 공동으로 기존 귀금속 촉매의 성능을 뛰어넘는 수전해용 다원소 합금 촉매를 설계할 수 있는 머신러닝 알고리즘을 개발했다고 14일 밝혔다. 에너지연, 암모니아 분해 촉매기술 개발…"수소 생산 경제성↑" 촉매 합성 실험하는 연구팀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제공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은 수소연구단 구기영 박사 연구팀이 수소 생산 경제성을 획기적으로 높인 암모니아 분해 촉매 합성법을 개발했다고 3일 밝혔다. 암모니아(NH₃)는 수소(H₂)를 안전하고 효율적으로 저장·운송할 수 있는 친환경 에너지원으로 주목받고 있다. 암모니아 외부 수소 공급 없이 상온에서 자일리톨·자일론산 생산 자일리톨·자일론산 생산 공정 개발 KAIST 연구팀 ⓒKAIST 제공 한국화학연구원은 황영규·김지훈·오경렬 박사 연구팀이 외부에서 수소를 공급할 필요 없이 자일로스로부터 자일리톨·자일론산 등 화학원료를 생산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했다고 29일 밝혔다. 옥수수 심지, 자작나무 껍질 등 "이산화탄소를 메탄올로 바꾸는 고효율 구리 촉매 개발" 이산화탄소를 메탄올로 바꾸는 촉매를 국내 연구진이 제시했다. 26일 울산과학기술원(UNIST)은 에너지화학공학과 류정기 교수팀이 성균관대학교 김종순 교수팀, 연세대학교 손 알로이시우스 교수팀과 함께 이산화탄소를 메탄올로 바꾸는 구리 촉매를 개발했다고 밝혔다. 메탄올은 플라스틱, 합성 섬유 등의 원료다. 액체 상태로 저장·운반이 UNIST "1초에 100만번 일어나는 생체효소 분자 반응 포착" 1초에 100만번 일어나는 생체효소 분자의 반응과정을 울산과학기술원(UNIST) 연구진이 포착했다. 12일 UNIST에 따르면 물리학과 김채운 교수팀은 탄산탈수효소Ⅱ(Carbonic Anhydrase Ⅱ)가 이산화탄소를 탄산으로 바꾸는 반응을 원자 수준에서 추적하는 데 성공했다. 탄산탈수효소 Ⅱ는 이산화탄소를 물에 잘 녹는 탄산 이온으로 바꾸는 KAIST, 그린수소 생산 위한 수전해 촉매 수명 예측 지표 개발 수전해 촉매 운영 안정성 지수 모식도 ⓒKAIST 제공 한국과학기술원(KAIST)은 생명화학공학과 정동영 교수 연구팀이 수전해 장치의 촉매 수명을 예측할 수 있는 평가 지표를 처음으로 개발했다고 21일 밝혔다. 수전해 장치는 물을 전기분해 해 수소를 분리하는 장치이다. 태양력·풍력 등 재생에너지를 활용해 수전해 방 "백금 사용량 100분의 1" KAIST, 프로필렌 생산 촉매 개발 고효율 프로필렌 생산 촉매 개발한 KAIST 연구팀 ⓒKAIST 제공 한국과학기술원(KAIST)은 백금 사용량을 100분의 1로 줄인 프로필렌 생산용 촉매를 개발했다고 12일 밝혔다. 프로필렌은 플라스틱, 섬유, 자동차 부품, 전자제품 등에 쓰이는 석유화학 산업의 핵심 원료다. 프로판에서 수소를 떼어내는 프로판 탈수소화 공 "화재위험 없고 수명 늘린 저비용 이차전지 기술 개발" 화재위험 없고 수명 늘린 이차전지 기술 개발 ⓒ부산대 제공 국내 대학 연구팀이 화재위험이 없고 수명을 획기적으로 늘린 저비용 에너지저장장치(ESS) 기술을 개발했다. 부산대학교는 나노에너지공학과 박민준 교수 연구팀이 3D 프린터를 이용한 간단한 설계와 저렴한 아연·망간을 활용해 에너지저장장치 전지의 수명을 증가한 연구 구멍 뚫린 탄소 촉매로 친환경 과산화수소 생산 효율 높인다 붕소를 도핑한 다공성 탄소 촉매 ⓒKIST 제공 생산에 많은 에너지를 쓰고 환경 오염도 일으키는 과산화수소를 친환경적이면서도 낮은 에너지로 생산할 수 있는 촉매가 개발됐다.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은 극한물성소재연구센터 김종민 책임연구원과 계산과학연구센터 한상수 책임연구원 연구팀이 이재우 한국과학기술원(KAIST) 교수, 문준희 목록으로
연재 보러가기 사이언스 타임즈에서만 볼 수 있는특별한 주제의 이야기들을 확인해보세요! 인기 뉴스 TOP 10 [과학이 밝혀낸 101가지 놀라운 사실들] 구름 한 덩이의 무게는 약 1000톤? 모기 침에서 발견된 새로운 바이러스 감염 경로 '소버린AI 시대'의 한국형 해답, 조선 고전에서 찾다 암세포가 흘린 DNA 조각으로 췌장암을 조기에 진단하다 더워도 너무 덥다, 방법이 없을까? AI와의 대화, 환경에 미치는 숨겨진 비용은? [과학이 밝혀낸 101가지 놀라운 사실들] '새 차 냄새'는 200개 이상의 화학물질의 혼합물이다 "코로나19 대유행 기간, 뇌 노화 속도도 빨라졌다" 거미 고향은 바다?…거미 뇌구조 가진 해양 절지동물 화석 발견 "사진 한 장으로 반려견 3D 아바타 만든다"…UNIST, AI기술 개발 속보 뉴스 '시간이 약?' 안 통하는 PTSD…공포 기억 계속되는 이유 찾았다 UNIST, 폭발 없는 대용량 ESS '흐름 전지' 수명 향상 기술 개발 '더 나은 내일 하루' 불규칙한 수면 습관 '한방에' "스마트폰으로 장내 대장균 제어해 질병 진단·치료한다" "간암 60% 원인은 예방 가능한 요인…비만 관련 간암 증가" 부경대 연구팀, 이차전지 NCA 양극재 성능 저하 극복 기술 개발 '외계 생명체 증거'라던 논문, 15년 만에 철회 QUICK LINK 사이언스올 한국과학창의재단 과학기술연구기관 목록 사이언스타임즈 블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