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막 조립 모습(A)과 조립된 박막을 기판으로 옮기는 기술(B) ⓒ울산과학기술원 제공 복잡한 공정이 필요한 박막 제조를 물과 기름을 이용해 1분 안에 완료할 수 있는 기술을 울산과학기술원(UNIST) 연구진이 개발했다. 17일 UNIST에 따르면 에너지화학공학과 구강희 교수팀은 물속에 분산된 기름방울로 촉매 박막 등을 제작할 수 있는 기술을 제시했다. 연합뉴스 저작권자 2025-03-19 ⓒ ScienceTimes 태그(Tag) #박막제조 #에너지저장장치 #유연전극 #촉매 관련기사 3분 만에 질병 현장 진단…효소 모방 촉매 반응 38배 향상 산화효소 선택적 반응 및 바이오마커 검출 모식도 ⓒKAIST 제공 국내 연구진이 기존 효소 모방 촉매보다 수십배 이상 향상된 선택도와 단 3분 만에 육안으로 현장 진단(POCT) 결과를 확인할 수 있는 고감도 센서 플랫폼을 개발했다. 한국과학기술원(KAIST)은 생명화학공학과 이진우 교수팀이 서울대 한정우·가천대 김문일 UNIST·생기연 "대기오염 질소산화물 효율적 제거 촉매 개발" 연료를 태우는 곳이면 어디서든 배출되는 대기오염물질인 질소산화물을 넓은 온도 범위에서 제거할 수 있는 촉매를 국내 연구진이 개발했다. 울산과학기술원(UNIST)은 신소재공학과 조승호 교수팀과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울산기술실용화본부 김홍대 박사팀이 섭씨 240∼400도에서 질소산화물을 제거할 수 있는 탈질(질소산화물 제거) 촉매를 개발했다고 17일 AI로 귀금속 성능 뛰어넘는 다원소 합금 수전해 촉매 설계 인공지능 기반 촉매 설계 연구 모식도 ⓒ강정구 교수와 KAIST 김지훈 학생 제공 한국연구재단은 한국과학기술원(KAIST) 신소재공학과 강정구 교수팀과 미국 캘리포니아 공대 윌리엄 고다드 교수팀이 공동으로 기존 귀금속 촉매의 성능을 뛰어넘는 수전해용 다원소 합금 촉매를 설계할 수 있는 머신러닝 알고리즘을 개발했다고 14일 밝혔다. 에너지연, 암모니아 분해 촉매기술 개발…"수소 생산 경제성↑" 촉매 합성 실험하는 연구팀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제공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은 수소연구단 구기영 박사 연구팀이 수소 생산 경제성을 획기적으로 높인 암모니아 분해 촉매 합성법을 개발했다고 3일 밝혔다. 암모니아(NH₃)는 수소(H₂)를 안전하고 효율적으로 저장·운송할 수 있는 친환경 에너지원으로 주목받고 있다. 암모니아 외부 수소 공급 없이 상온에서 자일리톨·자일론산 생산 자일리톨·자일론산 생산 공정 개발 KAIST 연구팀 ⓒKAIST 제공 한국화학연구원은 황영규·김지훈·오경렬 박사 연구팀이 외부에서 수소를 공급할 필요 없이 자일로스로부터 자일리톨·자일론산 등 화학원료를 생산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했다고 29일 밝혔다. 옥수수 심지, 자작나무 껍질 등 "이산화탄소를 메탄올로 바꾸는 고효율 구리 촉매 개발" 이산화탄소를 메탄올로 바꾸는 촉매를 국내 연구진이 제시했다. 26일 울산과학기술원(UNIST)은 에너지화학공학과 류정기 교수팀이 성균관대학교 김종순 교수팀, 연세대학교 손 알로이시우스 교수팀과 함께 이산화탄소를 메탄올로 바꾸는 구리 촉매를 개발했다고 밝혔다. 메탄올은 플라스틱, 합성 섬유 등의 원료다. 액체 상태로 저장·운반이 UNIST "1초에 100만번 일어나는 생체효소 분자 반응 포착" 1초에 100만번 일어나는 생체효소 분자의 반응과정을 울산과학기술원(UNIST) 연구진이 포착했다. 12일 UNIST에 따르면 물리학과 김채운 교수팀은 탄산탈수효소Ⅱ(Carbonic Anhydrase Ⅱ)가 이산화탄소를 탄산으로 바꾸는 반응을 원자 수준에서 추적하는 데 성공했다. 탄산탈수효소 Ⅱ는 이산화탄소를 물에 잘 녹는 탄산 이온으로 바꾸는 KAIST, 그린수소 생산 위한 수전해 촉매 수명 예측 지표 개발 수전해 촉매 운영 안정성 지수 모식도 ⓒKAIST 제공 한국과학기술원(KAIST)은 생명화학공학과 정동영 교수 연구팀이 수전해 장치의 촉매 수명을 예측할 수 있는 평가 지표를 처음으로 개발했다고 21일 밝혔다. 수전해 장치는 물을 전기분해 해 수소를 분리하는 장치이다. 태양력·풍력 등 재생에너지를 활용해 수전해 방 "백금 사용량 100분의 1" KAIST, 프로필렌 생산 촉매 개발 고효율 프로필렌 생산 촉매 개발한 KAIST 연구팀 ⓒKAIST 제공 한국과학기술원(KAIST)은 백금 사용량을 100분의 1로 줄인 프로필렌 생산용 촉매를 개발했다고 12일 밝혔다. 프로필렌은 플라스틱, 섬유, 자동차 부품, 전자제품 등에 쓰이는 석유화학 산업의 핵심 원료다. 프로판에서 수소를 떼어내는 프로판 탈수소화 공 "화재위험 없고 수명 늘린 저비용 이차전지 기술 개발" 화재위험 없고 수명 늘린 이차전지 기술 개발 ⓒ부산대 제공 국내 대학 연구팀이 화재위험이 없고 수명을 획기적으로 늘린 저비용 에너지저장장치(ESS) 기술을 개발했다. 부산대학교는 나노에너지공학과 박민준 교수 연구팀이 3D 프린터를 이용한 간단한 설계와 저렴한 아연·망간을 활용해 에너지저장장치 전지의 수명을 증가한 연구 목록으로
연재 보러가기 사이언스 타임즈에서만 볼 수 있는특별한 주제의 이야기들을 확인해보세요! 인기 뉴스 TOP 10 모닝커피의 마법? 카페인 ‘골든타임’ 아침으로 밝혀져 화성에서 드디어 35억년 전 생명체의 강력한 증거를 발견하다 없어진 눈을 통째로 다시 만드는 달팽이의 재생 능력 꿀벌 살리기 대작전 '버섯 살인마'의 완전범죄 시도? 아프리카 청년들이 외롭다? 도파민 터지는 ‘숏폼’, 우리의 집중력은 ‘47초’ "납 없는 실리콘 초음파 패치 개발…웨어러블 혈압계 등 적용" 암세포 DNA만 골라 제거한다…유전자 가위 기술 개발 폐PET 재활용해 CO₂잡는다…"고효율 포집 소재 기술 개발" 속보 뉴스 화성 퇴적암 분석해보니…"과거 생명체 서식 환경 가능성 시사" 스마트폰으로 자폐스펙트럼장애 선별…국내 연구진 AI 모델 개발 독성연 "BPA 대체물질에도 독성…예쁜꼬마선충 통해 규명" 조울증 치료제 왜 안 들을까…뇌 속 별세포의 대사 차이 밝혔다 김치서 찾은 유산균, 궤양성 대장염 증상 잡는다 독감은 왜 노인에게 더 치명적일까…"ApoD 단백질 증가 때문" UNIST, 기술이전 계약 자동 분석하는 AI 시스템 구축 QUICK LINK 사이언스올 한국과학창의재단 과학기술연구기관 목록 사이언스타임즈 블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