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차 산업혁명이 도래함에 따라 금융업계에도 로보어드바이저가 화제가 되고 있다. 전문가들은 인공지능을 활용해 서비스 하는 로보어드바이저가 금융시장에 위기이자 기회라고 말한다. 또 금융과 IT의 융합을 통한 금융서비스인 핀테크로 인해 고용시장에 큰 변화가 있을 것이라는 전망도 나왔다.
지난 1일 서울 여의도 콘래드호텔에서 열린 2016 한국자본시장컨퍼런스에서는 자본시장과 제4차 산업혁명을 주제로 행사가 진행됐다. 이 자리에 참석한 전문가들은 금융계에 인공지능 기술의 확대를 인정하면서도 인간의 영역을 대체할 것이라는 우려에 대해서는 경계했다.
'로보어드바이저'는 로봇 투자전문가라는 뜻으로, 인간 프라이빗 뱅커(PB) 대신 온라인 자산 관리 서비스를 해준다. 개인 맞춤형 서비스와 저렴한 수수료로 로봇이 인간 대신 자산을 관리해주는 시대가 올 것이라는 전망이 나오고 있다. 로보어드바이저의 경우 인간 펀드매니저보다 수수료가 적어 다양한 계층에서 로보어드바이저를 활용한 자산관리를 받을 수 있을 것이라는 전망이 지배적이다.
안동현 자본시장연구원장은 "이세돌과 알파고의 대국 이후 펀드매니저는 이세돌, 알파고는 로보어드바이저로 보고 대결 상대로 보는 시선이 많다"며 "이런 시선들로 인해 만약 로보어드바이저가 수익률이 안좋았을 때 제대로 커보지도 못하고 로보어드바이저가 사라져 버릴까 봐 걱정된다"고 우려했다.
또 "로보어드바이저는 수수료가 저렴해 활용도가 높은데, 국내는 이미 펀드매니저들의 수수료가 적어 인간 펀드매니저의 영역을 대체하고 활용될 지에 대해 의문이 든다"고 말했다.
박수용 서강대 교수는 "한 때 미국에서는 인공지능이 죽었다는 예측이 나오곤 했다. 그러나 글로벌 기업들의 과감한 투자로 이제는 실제 생활에서 사용할 수 있는 수준이 됐다"면서 "금융업계에서 인공지능을 활용하는 것도 마찬가지로 많은 투자가 이뤄져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 "로보어드바이저가 인간의 역할을 대신하는 것 보다는 현실에서는 비용이 비싸서 자산관리 서비스를 받지 못했던 사람들이 이용하기에 효과적인 서비스가 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반면, 삼성증권 이제훈 전무는 "펀드매니저보다 로보어드바이저가 어느 시점이 되면 분명히 수익을 더 낼 수 있을 것"이라며 "시기의 문제다. 포트폴리오를 운영할 수 있는 가능성이 있고 몇 년안에 가능할 것이라 본다"고 로보어드바이저가 펀드매니저의 역할을 대신할 것으로 전망했다.
로보어드바이저가 금융업계에 기회가 될 것이라는 전망도 나왔다.
미국의 대표적 핀테크 컨퍼런스 T3 창립자인 조엘 브루켄스타인 회장은 "금융회사가 로보어드바이저의 도입을 주저하면 뒤처지는 시대가 올 것"이라며 "기존 전통적인 자문사들이 하는 서비스보다 로보어드바이저 기술이 뛰어나 금융업계에 위협이 될 수는 있다. 그러나 로보어드바이저를 전략적으로 이용하면 비용을 줄일 수 있고 더 많은 고객과 접촉할 수 있기 때문에 기회가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로보어드바이저는 더 부가가치가 높은 분야에 집중을 하면 수익을 낼 수 있는 장점이 있다"면서도 "실제로 로보어드바이저를 내 방식대로 투자하게끔 복제할 수 있다면 직원을 고용하지 않고 로보어드바이저로만 회사를 운영하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 그렇지만 실제 알고리즘이 운용사의 투자철학과 일치하는 지에 대해 주의 깊에 점검해야 문제가 없을 것"이라고 조언했다.
핀테크의 중요성도 강조됐다.
마이크 포웰 톰슨로이터 전무는 "4차 산업혁명의 도래로 새로운 혁신 기술들이 나오고 있다"며 "금융과 기술이 융합되는 핀테크를 주목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또 "4차 산업혁명에서는 핀테크가 기회가 될 것이다. 자본시장 참여자들이 새로운 변화에 뛰어들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또 핀테크로 인해 고용에도 변화가 있을 것으로 전망했다.
포웰 전무는 "확실한 것은 핀테크가 고용에 영향을 끼칠 것이라는 것"이라며 "전산화, 디지털화로 인해 마진이 축소되고, 이런 구조로 가다보면 구조조정이 불가피 해진다"고 설명했다.
이어 "전통적인 조직내에 전통적 자리들은 분명히 타격을 받을 것"이라면서 "새로운 빅데이터, 데이터 베이스를 관리할 사람에 대한 수요는 계속 늘어날 것"이라고 덧붙였다.
- 김지혜 객원기자
- xxxxxxx777@nate.com
- 저작권자 2016-06-03 ⓒ ScienceTimes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