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마트폰으로 몸속 면역세포를 보는 기술을 국내 연구진이 개발해 화제가 되고 있다.한국생명공학연구원(원장 정혁)은 24일 정봉현 박사 연구팀이 스마트폰·스마트패드로 몸속 세포의 움직임 등을 관찰할 수 있는 차세대 바이오이미징 시스템을 개발했다고 밝혔다. 교육과학기술부(장관 이주호)와 한국연구재단(이사장 오세정)에서 지원하는 미래유망 융합기술 파이오니어사업을 통해 개발된 이 기술은 (주)유바이오메드에 이전돼 상업화에도 성공한 상태다.
생명공학, 물리, 화학, 기계, 전자 등 다양한 분야의 융합기술인 바이오이미징(Bioimaging)은 몸속 세포 또는 분자 수준에서 일어나는 현상들을 영상을 통해 직접 확인할 수 있도록 해주는 기술이다. 이를 활용하면 생명현상들을 정량화해 분석하는 것도 가능하다.
특히 이번에 개발된 스마트폰·스마트패드기반 바이오이미징 시스템은 스마트폰/스마트패드로 손쉽게 원격 제어가 가능하며, 연구자가 어디에 있어도 실험 장비내의 영상을 실시간으로 확인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이런 장점을 바탕으로 원격진단·치료, 생명현상 규명, 질병 진단 및 치료, 신약개발, 줄기세포 연구 등 바이오의약 분야에 광범위한 활용이 가능해 많은 기대를 모으고 있다.
고감도 생체친화성 나노프로브 개발정봉현 박사 연구팀은 몸속 세포의 움직임을 관찰할 수 있는 고감도 생체친화성 나노프로브를 개발해 암치료에 사용될 수 있는 면역세포 내에 넣었다. 나노프로브(nano probe)란 세포와 결합해 영상신호를 내는 나노크기의 물질로 생체 내 세포의 움직임을 관찰하기 위한 신호를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연구팀은 나노프로브로부터 면역세포가 생체 내에서 움직여 암세포에 접근하는 영상을 얻을 수 있었으며, 같은 데이터를 실험장비와 멀리 떨어져있는 위치에서 스마트폰·스마트패드로 동시에 얻을 수 있었다.
연구팀은 이번 연구에서 사용한 나노프로브에 관한 기술을 국내외 특허출원했다. 연구 결과는 미국화학회지(Journal of the American Chemical Society) 등에 게재됐다.
세계시장 선도할 바이오 의약 분야 원천기술
현재 바이오이미징은 신약개발, 질병진단 등에 필수적인 핵심기술로 자리잡아 선진국의 다국적 기업들이 관련 첨단 장비들을 지속적으로 개발하고 있다. 하지만 이는 모두 고가의 장비라는 단점이 있다.
이에 비해 이번에 개발된 스마트폰·스마트패드 기반 모바일 바이오이미징 시스템은 저가이면서도 장비가 소형화 돼 바이오 의약 분야에서 세계시장을 선도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정봉현 박사팀은 향후 모바일 환경에서 바이오분석 연구 및 질병진단을 수행하는 기술을 지속적으로 개발할 예정이다.
- 김청한 기자
- chkim@kofac.or.kr
- 저작권자 2011-05-25 ⓒ ScienceTimes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