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드뉴스 제공 : 한국연구재단 NRIC전문연구정보중앙센터 [원문 보러 가기] NRIC전문연구정보중앙센터 저작권자 2023-02-06 ⓒ ScienceTimes 태그(Tag) #eSIM #IMEI #USIM #고유식별번호 #듀얼심 #반도체 #스마트폰 #연구정보중앙센터 #유심 #이심 관련기사 원자력硏, 우주방사선에 의한 오류 억제 반도체 기술 개발 원자력연·포항공대 공동 연구팀 ⓒ한국원자력연구원 제공 한국원자력연구원은 우주방사선에 의한 나노 반도체의 오류를 크게 줄일 수 있는 내방사화 기술을 개발했다고 6일 밝혔다. 우주방사선은 태양과 외부 은하 등에서 발생해 지구로 향하는 에너지가 높은 방사선이다. 인공위성이나 우주선 등에 사용되는 반도체는 양성자나 감 KIST "높은 광신호 효율 갖는 2차원 반도체 이미지센서 개발" KIST 연구팀, 높은 광신호 효율 갖는 2차원 반도체 이미지센서 개발 ⓒKIST 제공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은 차세대반도체연구소 양자기술연구단 황도경 책임연구원과 박민철 책임연구원 공동연구팀이 높은 광신호 효율을 갖춘 2차원 반도체 기반 이미지센서를 구현했다고 27일 밝혔다. 물체와 환경의 시각적 정보를 기록하고 처리해 모양 차세대 AI 반도체 통신 속도 11배 높였다 KAIST 연구팀이 제안한 PIM 연산장치 간 통신 개념도 ⓒKAIST 제공 국내외 공동 연구팀이 차세대 지능형반도체(Processing in Memory·PIM)의 통신 성능을 획기적으로 향상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했다. 한국과학기술원(KAIST) 김동준 교수팀은 미국 노스이스턴대학·보스턴대학, 스페인 무 '10억번 반복해 움직여도 끄떡없다' 차세대 반도체 소재 개발 무(無)응력 상전이 박막 기술 개념도 ⓒ손준우 교수 제공 10억 차례 이상 반복 구동해도 끄떡없는 차세대 반도체 소재가 개발됐다. 한국연구재단은 서울대 손준우 교수, 포항공대 최시영 교수 연구팀이 '상전이 바나듐 산화물 반도체'의 결정구조 상변이를 제어해 열화(소재가 외부·내부적 영향으로 화학·물리 화학연, 물로 반도체 고분자 소재 만드는 친환경 공정 개발 연구팀이 중합에 성공한 폴리이미드 용액 ⓒ한국화학연구원 제공 한국화학연구원 원종찬·김윤호·박종민 박사 연구팀은 물을 용매로 사용해 고성능의 폴리이미드를 합성하는 친환경 공정을 개발했다고 15일 밝혔다. 폴리이미드는 우수한 내열성과 기계적 강도를 갖춘 고분자 소재로 디스플레이, 반도체 등 첨단 산업 분야에서 폭넓게 방사선 기술로 반도체 성능 '업'…원자력연, 입자빔 기술 개발 입자빔 이용해 반도체 성능 높인 한국원자력연구원 연구팀 ⓒ한국원자력연구원 제공 한국원자력연구원 양성자과학연구단은 상용 실리콘 기판 반도체에 질소 입자빔을 주입해 반도체 성능을 높이는 기술을 개발했다고 10일 밝혔다. 반도체 소자 내 전하 이동 속도는 반도체 성능에 영향을 미치는 핵심 요소 중 하나다. 이론적으로 반도체 소재를 당기거 12대 국가전략기술·17대 탄소중립기술 전략지도 완성 우주항공 글로벌 기술수준지도 ⓒ과기정통부 제공 정부가 국가별 기술 수준 파악을 통해 국제협력 가이드라인으로 삼기 위해 마련해 온 12대 국가전략기술과 17대 탄소중립기술 전략지도를 완성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6일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 산하 글로벌 R&D 특별위원회를 열어 총 16개 기술 분야에 대한 '글로벌 R&D 반도체 플라스마공정 부품 수명 실시간 진단…"오염 방지" 반도체 플라스마 공정 부품 수명 실시간 측정시스템 ⓒ한국표준과학연구원 제공 한국표준과학연구원은 반도체 플라스마 공정에 쓰이는 부품 수명을 실시간으로 진단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했다고 25일 밝혔다. 플라스마는 고체, 액체, 기체를 넘어선 제4의 상태 물질이다. 반도체 소자 생산 공정에서 플라스마 공정 장비는 반도체 회로 패턴 중 필 휴대전화는 암을 유발하지 않는다 담배는 끊어도 휴대전화 금단 현상은 참을 수가 없다? 1분 1초라도 휴대전화가 없으면 불안해하는 이들이 있다. 주변에서는 이들이 휴대전화에 중독되거나 전자파에 지속적으로 노출되는 상황 등을 걱정한다. 휴대전화에서 파생되는 자극은 도파민을 치솟게 하면서 다른 중독과 마찬가지로 휴대전화(스마트폰) 중독을 유발한다. 이처럼 휴대전화는 ‘중독’을 유발할 수는 있 전자의 세계로 가는 문을 연 아고스티니, 크라우스, 루이리에 원자와 분자 내부 전자 세계를 탐구할 수 있는 새로운 방법과 도구를 고안한 물리학자들 2023년 노벨 물리학상은 원자와 분자 내부 전자 세계를 탐구할 수 있는 새로운 방법과 도구를 고안한 미국 콜럼버스 오하이오 주립대학교 피에르 아고스티니 (Prof. Pierre Agostini) 교수, 독일 가힝 막스 플랑크 양자 광학 연구소장 페렝크 크라우스 (Pro 목록으로
연재 보러가기 사이언스 타임즈에서만 볼 수 있는특별한 주제의 이야기들을 확인해보세요! 인기 뉴스 TOP 10 과학자들이 말하는 완벽한 삶은 달걀 조리법 유독 기억력 좋은 사람 뇌의 비밀 메뚜기 떼의 비밀을 밝히다: 과학자들이 집단 움직임의 코드를 해독하다 췌장암 조기 진단을 위한 새로운 검사법이 나온다 "미세플라스틱, 항생제 없어도 세균의 항균제 내성 증가시켜" "사지마비 남성, 동작 상상만으로 로봇팔 마음먹은 대로 제어" 아기 북극곰은 ‘엄마 껌딱지’ "고온 액체 방울, 차가운 표면에서 공처럼 튀는 현상 포착" 대전대, '롱 코비드' 환자 새로운 생체 지표 제시 구멍 뚫린 탄소 촉매로 친환경 과산화수소 생산 효율 높인다 속보 뉴스 한미 합작 우주망원경 '스피어엑스' 발사 성공…초기운영 돌입(종합) "수면의 질 나쁘면 음모론에 빠질 위험 커진다" UNIST "감염 원인균 99% 정확도로 빠르게 판별" 찰나에 일어나는 핫홀 2배 증폭시키는 기술 개발 부경대·한양대, 당기면 색 바뀌는 첨단 섬유 소재 개발 친환경 그린수소 이용한 암모니아 합성 촉매 개발…"성능 7배" "미세플라스틱, 항생제 없어도 세균의 항균제 내성 증가시켜" QUICK LINK 사이언스올 한국과학창의재단 과학기술연구기관 목록 사이언스타임즈 블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