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가 공공행정 부문에 유비쿼터스 서비스를 결합시키기 위한 노력이 저조하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경기개발연구원 유영성 연구원은 17일 '유비쿼터스 지자체화를 통한 환경개선연구'에서 "경기도 공무원이나 산하단체 종사자들은 유비쿼터스를 대표할 만한 용어들에 대해서 전체적으로 거의 모르는 수준"이라고 밝혔다.
이번 설문조사는 지난 10월 경기도와 경기도내 31개 시군의 정보화 분야에 종사하는 IT 관련 전문 공무원 등 354명을 대상으로 1 대 1 면접조사 방식으로 이뤄졌다.
응답자들은 유비쿼터스 인지도와 관련, 무선인터넷이나 홈네트워크 등의 낮은 단계의 용어에서 u-시티, IPv6(한국형 차세대 인터넷주소체계) 같은 높은 단계의 용어까지 15개에 대해 조사한 결과 3점 만점에 1.8점으로 '약간 아는 정도(2.0)'를 밑돌았다.
또 주요 용어 인지경로는 신문이나 TV, 광고, 잡지가 42.8%, 인터넷 37.6%으로 전문서적.학교교육(5.7%)에 비해 현저히 떨어져 대부분 피상적이거나 낮은 수준의 전문성만 갖춘 것으로 드러났다.
이와 함께 유비쿼터스 서비스 도입 여부에 대해 '관심없음'이 24.7%, '계획없음' 21.3% 등으로 응답자의 46%는 부정적인 반응을 보인 반면, '계획수립 완료'와 '계획 수립중'은 각각 6.9%와 22.4%에 그친 것으로 집계됐다.
경기개발연구원 측은 ▲경기도 유비쿼터스 전략 기획단(가칭) 설립 ▲경기도 유비쿼터스 체험 단지 조성 ▲유비쿼터스 IT 연구단지 육성 등을 통해 관심과 지원을 집중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유 연구원은 "유비쿼터스 사회는 일반적으로 지능기반사회라고도 표현하며, 모든 사물이 지능화.네트워크화 하는 것으로서 개인 삶의 질과 기업의 생산성, 공공서비스의 향상을 이룰 수 있다"고 말했다.
(끝) <저작권자(c)연합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
- (수원=연합뉴스) 안용수 기자
- 저작권자 2006-12-17 ⓒ ScienceTimes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