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언스타임즈 로고

기초·응용과학
권예슬 리포터
2025-09-02

‘제로’ 음료의 경고… 아동의 성조숙증 부른다 식품 속 인공 감미료가 사춘기 관련 호르몬 분비 촉발

  • 콘텐츠 폰트 사이즈 조절

    글자크기 설정

  • 프린트출력하기
체중 증가를 막기 위해 마시는 다이어트 음료가 오히려 건강에 독이 될 수 있음이 밝혀졌다. 일부 아동에게서 성조숙증을 유발할 수 있다는 연구결과가 나왔기 때문이다. ⒸGettyImages
체중 증가를 막기 위해 마시는 다이어트 음료가 오히려 건강에 독이 될 수 있음이 밝혀졌다. 일부 아동에게서 성조숙증을 유발할 수 있다는 연구결과가 나왔기 때문이다. ⒸGettyImages

요즘 애들은 참 빠르다는 표현을 많이 쓴다. 성장이 늦어도 걱정이지만, 너무 빨라도 걱정이다. 장난감, 학용품 등 환경호르몬에 둘러싸인 ‘요즘 아이들’ 중 비정상적으로 성장이 빠르게 진행하는 ‘성조숙증’을 겪는 경우가 많아지고 있다. 국민건강보험공단의 통계에 따르면 성조숙증 소아 청소년 환자는 2018년 10만 1,273명에서 2022년 17만 8,585명으로 급증했다.

주변 곳곳에 널린 환경호르몬 외에 간과하고 있는 또 다른 ‘적’이 최근 밝혀졌다. 식품과 음료에서 흔히 사용되는 인공 감미료가 아동들의 조기 사춘기 발병 위험을 높인다는 연구 결과다. 대만 타이베이 시립완팡병원과 타이베이의대 공동연구팀은 이 같은 연구 결과를 지난 7월 미국 샌프란시스코에서 열린 ‘2025 내분비학회 연례 학술대회(ENDO 2025)’에서 발표했다.

 

전 세계적으로 가장 널리 쓰이는 감미료의 배신

연구진은 아스파탐, 수크랄로스, 글리시리진, 각종 첨가당 섭취가 특정 유전적 특성을 가진 아동에서 조기 사춘기 위험을 유의미하게 증가시킨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아동들이 이 감미료를 많이 섭취할수록 중추성 성조숙증 위험도 높아졌다. 중추성 성조숙증은 8세 이전의 여아와 9세 이전의 남아에서 2차 성징이 나타나는 증상이다. 이 증상은 아동의 정서적 스트레스를 유발할 뿐만 아니라 향후 대사 및 생식 질환 위험 증가로 이어질 수 있다.

아스파탐은 전 세계적으로 널리 쓰이는 인공 감미료다. 2013년 세계보건기구(WHO)가 아스파탐을 발암물질로 분류하며 일부 다이어트 음료에서는 용량을 줄이거나, 성분이 빠지기도 했다. ⒸGettyImages
아스파탐은 전 세계적으로 널리 쓰이는 인공 감미료다. 2013년 세계보건기구(WHO)가 아스파탐을 발암물질로 분류하며 일부 다이어트 음료에서는 용량을 줄이거나, 성분이 빠지기도 했다. ⒸGettyImages

선행 연구에서 연구진은 일부 감미료는 호로몬과 장내 미생물에 직접 영향을 미쳐 조기 사춘기와 연결됨을 밝힌 바 있다. 가령, 인공 감미료인 아세설팜칼륨(Ace-K)은 뇌세포의 단맛 수용 경로를 활성화하는 동시에 스트레스 관련 분자를 증가시켜 사춘기 관련 호르몬의 분비를 유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감초의 주성분인 글리시리진은 장내 미생물의 균형을 바꾸고, 사춘기 개시에 관여하는 유전자의 활성을 억제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연구를 이끈 양칭 첸 대만 타이베이의대 가정의학과 교수는 “아이들이 먹고, 마시는 것이 그들의 발달에 강력한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알게 됐다”며 “이에 현대적인 식습관, 특히 감미료 섭취를 유전적 요인 및 조기 사춘기 발달과 연결하기 위한 대규모 실제 집단 연구를 계획했다”고 말했다.

 

남아와 여아에 영향 미치는 감미료가 달라

연구는 2018년 시작된 ‘대만 사춘기 종적 연구’를 활용했다. 청소년들의 감미료 섭취량을 설문지와 소별 표본 검사를 통해 평가했으며, 유전적 특성은 중추성 성조숙증과 관련된 19개 유전자로부터 도출된 다유전자 위험 점수를 사용해 산출했다. 조기 사춘기 여부는 의학적 검사, 호르몬 수치, 영상 검사를 기반으로 진단했다.

또 다른 인공감미료인 수크랄로스의 경우 남아와 여아 모두에서 조기 사춘기를 유발하는 것으로 확인됐다. ⒸGettyImages
또 다른 인공감미료인 수크랄로스의 경우 남아와 여아 모두에서 조기 사춘기를 유발하는 것으로 확인됐다. ⒸGettyImages

결과는 놀라웠다. 연구진은 1,407명 대만 청소년의 데이터를 분석했는데, 이중 무려 481명에서 중추성 성조숙증이 진단됐다. 성별에 따른 감미료의 영향도 달랐다. 남아에게는 수크랄로스 섭취가, 여아에게는 글리시리진, 수크랄로스, 첨가당 섭취가 중추성 성조숙증 위험 증가와 관련이 있었다.

첸 교수는 “유전적 위험 요인에 대한 선별 검사와 감미료 섭취 조절이 성조숙증과 그로 인한 장기적인 건강 위험을 예방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며 “가정과 의료진, 보건 당국에 직접적으로 의미가 있는 결과를 도출한 연구로 아동을 위한 새로운 식이 지침이나 위험 평가 도구 개발로 이어지길 기대한다”고 말했다.

권예슬 리포터
yskwon0417@gmail.com
저작권자 2025-09-02 ⓒ ScienceTimes

관련기사

목록으로
연재 보러가기 사이언스 타임즈에서만 볼 수 있는
특별한 주제의 이야기들을 확인해보세요!

인기 뉴스 TOP 10

속보 뉴스

ADD : 06130 서울특별시 강남구 테헤란로7길 22, 4~5층(역삼동, 과학기술회관 2관) 한국과학창의재단
TEL : (02)555 - 0701 / 시스템 문의 : (02) 6671 - 9304 / FAX : (02)555 - 2355
정기간행물 등록번호 : 서울아00340 / 등록일 : 2007년 3월 26일 / 발행인 : 정우성 / 편집인 : 차대길 / 청소년보호책임자 : 차대길
한국과학창의재단에서 운영하는 모든 사이트의 콘텐츠는 저작권의 보호를 받는 바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사이언스타임즈는 과학기술진흥기금 및 복권기금의 지원으로 우리나라의 과학기술 발전과 사회적 가치 증진에 기여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