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언스타임즈 로고

기초·응용과학
연합뉴스
2025-04-14

"대만서 발견된 호미닌 턱뼈 주인공은 데니소바인 남성" 국제 연구팀 "펑후해협서 발견된 턱뼈서 데니소바인 특유 단백질 검출"

  • 콘텐츠 폰트 사이즈 조절

    글자크기 설정

  • 프린트출력하기

최대 19만년 전 홍적세(Pleistocene)에 대만에 살았던 것으로 추정되는 호미닌(사람족)의 아래턱뼈 화석이 멸종한 조상 인류인 남성 데니소바인(Denisovan)의 것으로 밝혀졌다.

데니소바인으로 밝혀진 '펑후 1' 아래턱뼈 화석 ⓒChun-Hsiang Chang, Jay Chang 제공

데니소바인으로 밝혀진 '펑후 1' 아래턱뼈 화석 ⓒChun-Hsiang Chang, Jay Chang 제공

네덜란드 코펜하겐대·일본 종합연구대학원대학(SOKENDAI) 츠타야 다쿠미 교수가 이끄는 국제 연구팀은 11일 과학 저널 사이언스(Science)에서 대만과 중국 사이 펑후해협에서 발견된 호미닌 아래턱뼈 화석(Penghu 1)에 대한 고대 단백질체 분석에서 데니소바인 특유의 단백질 변이체 2개를 확인했다고 밝혔다.

연구팀은 이 발견은 데니소바인이 추운 시베리아 산맥에서 따뜻하고 습한 대만의 아열대 지역에 이르는 다양한 기후에 살았다는 것을 보여주는 직접적인 분자 증거라며 이는 수수께끼 같은 데니소바인 계통에 대한 새로운 통찰을 준다고 말했다.

최근 연구에서는 현생인류인 호모 사피엔스가 도착하기 전인 홍적세의 동아시아에 다양한 고대 인류 친척이 살았다는 사실이 밝혀졌으며, 그중 하나가 시베리아 데니소바 동굴의 화석에서 DNA를 통해 확인된 데니소바인이다.

데니소바인은 시베리아에서 티베트고원, 동남아시아, 호주 등 동아시아 전역에 분포한 것으로 추정되며 네안데르탈인 및 현생인류와 교배한 것으로 밝혀졌지만, 데니소바인의 유전적 증거가 확인된 화석은 시베리아와 티베트고원의 화석뿐이었다.

데니소바인 화석이 확인된 지역 위치와 '펑후 1' 화석 모습. 데니소바인 남성의 아래턱뼈로 확인된 펑후 1 화석이 발견된 대만 서부 펑후해협은 시베리아 데니소바 동굴에서 남동쪽으로 약 4천㎞ 떨어져 있다. ⓒScience / Takumi Tsutaya et al 제공

데니소바인 화석이 확인된 지역 위치와 '펑후 1' 화석 모습. 데니소바인 남성의 아래턱뼈로 확인된 펑후 1 화석이 발견된 대만 서부 펑후해협은 시베리아 데니소바 동굴에서 남동쪽으로 약 4천㎞ 떨어져 있다. ⓒScience / Takumi Tsutaya et al 제공

연구팀은 이 연구에서 대만 서부 해안에서 25㎞ 떨어진 펑후해협 수심 60~120m 해저에서 상업적 어업 과정에서 발견된 호미닌 아래턱뼈 화석 '펑후 1'을 고대 단백질체 분석법으로 조사했다.

화석이 발견된 곳은 해수면 높이가 낮았던 홍적세 동안에는 아시아 본토의 일부였던 곳이며, 펑후 1은 연대측정에서 19만~13만년 전 또는 7만~1만년 전에 살았던 조상 인류의 것으로 추정됐다.

고대 단백질체 분석을 통해 화석의 뼈와 치아 법랑질에서 단백질을 추출한 결과 단백질에 포함된 아미노산 일부인 아미노산 잔기(amino acid residues)가 4천241개 검출됐고, 이 중 2개는 데니소바인 남성 특유의 단백질 변이체로 확인됐다.

또 펑후 1 유골의 형태학적 분석 결과, 큰 어금니가 있는 견고한 턱 구조와 독특한 치아 뿌리 구조는 티베트고원 데니소바인 화석의 특징과 일치했으며, 이런 특징은 데니소바인 혈통 및 성별에 따른 특징일 수 있다고 연구팀은 설명했다.

연구팀은 펑후 1이 데니소바인 남성으로 확인된 것은 이들의 지리적 분포를 더욱 확장하는 것으로, 이들이 길고 추운 겨울이 있는 시베리아 대륙성 기후와 해발 고도 3천m 이상의 고지는 물론 따뜻하고 습한 저위도 기후에도 적응해 살았음을 보여준다고 말했다.

◆ 출처 : Science, Takumi Tsutaya et al., 'A male Denisovan mandible from Pleistocene Taiwan', www.science.org/doi/10.1126/science.ads3888

연합뉴스
저작권자 2025-04-14 ⓒ ScienceTimes

관련기사

목록으로
연재 보러가기 사이언스 타임즈에서만 볼 수 있는
특별한 주제의 이야기들을 확인해보세요!

인기 뉴스 TOP 10

속보 뉴스

ADD : 06130 서울특별시 강남구 테헤란로7길 22, 4~5층(역삼동, 과학기술회관 2관) 한국과학창의재단
TEL : (02)555 - 0701 / 시스템 문의 : (02) 6671 - 9304 / FAX : (02)555 - 2355
정기간행물 등록번호 : 서울아00340 / 등록일 : 2007년 3월 26일 / 발행인 : 정우성 / 편집인 : 윤승재 / 청소년보호책임자 : 윤승재
한국과학창의재단에서 운영하는 모든 사이트의 콘텐츠는 저작권의 보호를 받는 바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사이언스타임즈는 과학기술진흥기금 및 복권기금의 지원으로 우리나라의 과학기술 발전과 사회적 가치 증진에 기여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