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성욱"에 대한 검색 결과 총 2 건 찾기 내용 지우기 오피니언 홍성욱 2022-11-02 보기 좋은 과학이 먹기도 좋다 2014년에 개봉했던 영화 [인터스텔라]에서, 주인공 일행은 우주선을 타고 인류가 새로 살 수 있을 만한 행성을 찾으러 나선다. 그중 한 행성에 거의 다 왔을 때, 그 행성계의 중심에 있는 “가르강튀아”라는 거대 블랙홀이 영화 화면 전체를 뒤덮는다. 황금색의 두꺼운 원반과 그 중앙을 길쭉하게 가로지르는 선까지. 이전까지 사람들이 그려오던 블랙홀의 모습과는 너무나도 달랐다. 인터뷰 홍성욱 서울대학교 생명과학부 교수(과학기술사 전공) 2015-01-23 과학의 대중화와 균형감 과학의 대중화는 과학자 사회와 시민 사회의 관계를 튼튼하게 만듦으로써 우리가 살아가는 이 사회를 더 건강한 것으로 만들고, 동시에 과학이라는 나무에 지속적인 자양분과 수분을 공급하는 행위이다. 그렇기 때문에 과학의 대중화에 대한 사회의 관심은 점점 더 커지고 있다. 처음 페이지로 이동 이전 페이지로 이동 1 다음 페이지로 이동 마지막 페이지로 이동 처음 페이지로 이동 이전 페이지로 이동 1 다음 페이지로 이동 마지막 페이지로 이동
연재 보러가기 사이언스 타임즈에서만 볼 수 있는특별한 주제의 이야기들을 확인해보세요! 인기 뉴스 TOP 10 ‘소변’ 버리지 마세요, ‘토마토’에 양보하세요 싱크홀 위험 지역 알려주는 ‘땅속 백과사전’, 지질도 어린 시절 환경이 뇌 속 ‘하얀 길’ 바꾼다 가톨릭 교회와 과학의 공존: 2천년 역사 속 갈등과 협력의 여정 지방 소멸 위기, 과학이 지역을 돕는 방법 "복잡한 장면에서 핵심만 찾아낸다" 뇌처럼 분석하는 AI 추상화 앞에서 당신의 뇌는 어떻게 작동하는가? 크리스퍼 유전자가위 오류 줄인 고효율 유전자 편집 기술 개발 "온난화로 급격한 '기온 반전' 증가…저소득 국가 더 위험" 아주대 "'슈퍼커패시터' 성능 개선하는 친환경 첨가제 개발' 속보 뉴스 성능·안정성 만족 전해질 개발…"전고체 배터리 상용화 도움" 과학기술위성 1호로 태양에서 가장 가까운 분자구름 찾았다 "자폐 조기에 진단"…사회적 상호작용 AI 기술 개발 백신 1·2차 접종은 어느 팔에?…"같은 팔에 맞으면 더 효과적" "페르시아고양이-퍼그 비슷한 머리 형태는 수렴진화 한 것" "친환경 수소, 더 안정적이고 경제적으로 생산한다" 나일론만큼 튼튼한 생분해 어망 개발…1년 내 92% 분해 QUICK LINK 사이언스올 한국과학창의재단 과학기술연구기관 목록 사이언스타임즈 블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