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송창현 KIST 미래전략팀 연구원"에 대한 검색 결과 총 3 건 찾기 내용 지우기 기초·응용과학 송창현 KIST 미래전략팀 연구원 2022-02-16 노벨과학상에 관한 사소한 사실들 매해 10월 초가 되면 전 세계인의 이목은 노벨과학상이 발표되는 스웨덴 스톡홀름에 집중된다. 올해도 과학기술을 통해 인류 문명을 발전시킨 연구자들에게 노벨과학상 수상의 영예가 돌아갔다. 노벨화학상은 비대칭 유기촉매반응 분야를 개척한 독일 막스플랑크 연구소의 베냐민 리스트(Benjamin List)와 미국 프린스턴대학교의 데이비드 맥밀런(David MacMillan)이 수상하였고, 노벨생리의학상은 온도와 촉각에 관여하는 수용체를 발견한 미국 캘리포니아대학교의 데이비드 줄리어스(David Julius)와 미국 스크립스연구소의 아뎀 파타푸티언(Ardem Patapoutian)에게 주어졌다. 과학기술 송창현 KIST 미래전략팀 연구원 2021-11-08 시대가 요구하는 공공 R&D의 다양한 지향점들 근래에 들어 에너지원의 확보 및 질병 치료, 기후변화에의 대응 등 인간의 삶과 직결된 많은 문제들의 근본적인 해결책으로서 과학기술이 각광을 받게 되면서, 공공의 재원으로 수행되는 R&D에 대해서도 다양한 역할들이 요구되기 시작했다. 비단 연구 결과물과 활용처의 다양성만 요구되는 것이 아니다. 투자 규모가 커지고 다양한 이해관계자들이 등장함에 따라, 공공 R&D가 어떤 특성의 연구를 수행해야 하는가에 대해서도 의견이 분분하다. 오피니언 송창현 KIST 미래전략팀 연구원 2020-11-25 과학기술에 대한 편견과 대담한 거짓말 거대한 사기극의 전말이 드러난 후 사태가 진정되고 나면, 어떻게 그렇게 얼토당토않은 짓으로 수많은 사람들을 속일 수 있었나 쓴웃음을 짓게 된다. 하지만 이런 일은 언제든지 다시 일어날 수 있다. 전 세계 자본시장의 최정점에 있는 실리콘밸리의 투자자들도, 오랜 경험을 가진 국가기관도, 최고의 권위를 자랑하는 학술지도 속았다. 처음 페이지로 이동 이전 페이지로 이동 1 다음 페이지로 이동 마지막 페이지로 이동 처음 페이지로 이동 이전 페이지로 이동 1 다음 페이지로 이동 마지막 페이지로 이동
연재 보러가기 사이언스 타임즈에서만 볼 수 있는특별한 주제의 이야기들을 확인해보세요! 인기 뉴스 TOP 10 화성에서 드디어 35억년 전 생명체의 강력한 증거를 발견하다 초파리의 특이한 선물 공세 비밀을 풀다 동물들은 지진을 예측할 수 있을까 해수담수화의 환경 딜레마 스마트폰으로 자폐스펙트럼장애 선별…국내 연구진 AI 모델 개발 화성 퇴적암 분석해보니…"과거 생명체 서식 환경 가능성 시사" 만성통증 치료의 패러다임 전환: 근거 기반 의학에서 정밀 의료로 조울증 치료제 왜 안 들을까…뇌 속 별세포의 대사 차이 밝혔다 김치서 찾은 유산균, 궤양성 대장염 증상 잡는다 독성연 "BPA 대체물질에도 독성…예쁜꼬마선충 통해 규명" 속보 뉴스 "사람 근육의 30배 능력"…UNIST, 변형 자유로운 인공근육 개발 KISTI·서울대, 천체 자체 중력 빠르게 계산하는 기술 개발 원자력연, 엘리베이터용 와이어로프 안전성 검사 장치 개발 과기한림원, 18·29일 AI방산·AI기초과학 주제 토론회 과총, 18일 국가전략기술 체계 고도화 오픈포럼 "알츠하이머병 유전자 있으면 뇌 속 별세포 면역기억↓" "척수 별세포의 억제성 신경전달물질이 손상된 척수 회복 방해" QUICK LINK 사이언스올 한국과학창의재단 과학기술연구기관 목록 사이언스타임즈 블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