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NA"에 대한 검색 결과 총 23 건 기초·응용과학 권예슬 리포터 2024-12-31 Science가 선정한 2024년 10대 과학 이슈 최고 권위의 국제학술지 ‘사이언스(Science)’는 연말이 되면 매년 한해를 빛낸 과학 이슈(breakthrough of the year) 10선을 선정해 발표한다. 사이언스가 선정한 올해의 과학이슈 10가지를 소개한다. 세계는 지금 김민재 리포터 2024-10-28 AI 알고리즘, 무려 16만 개의 새로운 RNA 바이러스를 발견하다 바야흐로 인공지능(AI: Artifical Intelligence)의 시대이다. 최근 모든 학문에 ‘AI’라는 단어가 붙고 있는 것과 더불어 올해 노벨 물리학상, 화학상은 AI와 융합된 분야에 시상되기도 했다. 그만큼 AI는 우리 생활에 상당히 밀접해 있는 듯 보인다. 여기에, 최근 우리와 매우 가까워진 또 하나의 단어가 있다. 바로 코로나 이후 등장해 우리 생활을 지배하기 시작한 ‘RNA 바이러스’이다. 신호우(Xin Hou) 박사가 이끄는 중국 및 호주 국제 연구진이 발표한 연구 결과에 따르면 이 두 가지 객체가 함께 어우러져 인류에 도움이 되는 결과를 내놓고 있다고 한다. 항공·우주 이강봉 객원기자 2021-09-01 우주공간 유전자가위 실험으로 돌연변이 생성 NASA의 크리스티나 코흐(Christina Koch) 우주비행사는 국제우주정거장(ISS)에서 중요한 실험을 진행하고 있었다. 유전자 가위 기술을 활용해 지구에서 가져온 일반효모(general yeasts) DNA를 손상한 효모들 스스로 그 손상부위를 어떻게 복구하는지 관찰하는 실험이었다. 연구진은 원래 계획대로 유전자가위 기술을 통해 우주정거장 내에서 DNA 양쪽 가닥을 상당 수준 절단할 수 있었다. 또한 절단된 DNA 가닥들이 어떤 방식으로 원래 상태를 회복하는지 관찰할 수 있는지 그 방법을 찾아낼 수 있었다. 기초·응용과학 이성규 객원기자 2021-07-29 RNA 조작으로 식량위기 극복한다 최근 미국 시사주간지 ‘타임’은 “통상적으로 기근은 전쟁이나 자연재해에서 비롯되지만 현대 역사상 처음으로 오직 기후변화로 인해 발생한 곳이 있다”고 보도했다. 타임지가 지적한 곳은 바로 아프리카의 섬나라 마다가스카르다. 과학기술 사이언스타임즈 2021-05-03 코로나바이러스 증식 제어하는 단백질 찾았다 기초과학연구원(IBS)의 RNA 연구단 김빛내리 단장(서울대 생명과학부 교수)연구팀이 코로나바이러스 RNA에 직접 결합하여 증식을 제어하는 단백질들을 발견했다. 이번 연구로 작년 코로나19의 원인인 사스코로나바이러스-2(SARS-CoV-2)의 고해상도 유전자 지도에 이어 고해상도 단백질체 지도를 완성했다. 이로써 코로나19 치료제 개발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기초·응용과학 김병희 객원기자 2021-04-12 생명의 기원은 DNA와 유사한 XNA에서 시작됐다? 일본 나고야대 연구팀은 실험을 통해 초기 지구에 존재했을 수 있는 분자가 어떻게 결합해 DNA 전구체를 형성할 수 있었는지를 밝혀내고, 이 결과를 과학저널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즈’(Nature Communications) 5일 자에 발표했다. 연구팀은 이번 발견이 생명이 어떻게 시작됐는지를 시사할 뿐 아니라, 인공 생명과 생명공학 발전에도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고 있다. 만화로 푸는 과학 궁금증 윤상석 프리랜서 작가 2021-04-09 유전자는 어떻게 우리 몸의 모양과 기능을 만들어낼까? 소에서 태어난 송아지는 소의 몸을 갖고 사람에게서 태어난 아기는 사람의 몸을 갖는다. 또한, 자식은 부모의 모습을 닮는 건 너무나 당연한 이치이다. 이렇게 부모의 생김새나 특징이 자식에게 전해지는 현상을 유전이라고 하고, 그 유전 정보는 자식이 부모에게서 물려받은 유전자에 담겨있다. 기초·응용과학 이성규 객원기자 2020-12-30 지구 최초 생명체의 비밀 풀리나? 지구상에 처음 등장한 생명체의 기원은 전 세계 과학자들이 아직도 밝혀내지 못하고 있는 미스터리 중의 하나다. 그런데 지구상에서 최초의 생명이 어떻게 생겨났는지에 대해 놀랍도록 새로운 관점을 뒷받침하는 연구 결과가 발표됐다. 생명과학·의학 이강봉 객원기자 2020-10-21 코로나19가 ‘중증’으로 발전하는 원인? 에든버러 대학의 이번 연구 결과는 3번 염색체가 코로나19 증상과 관련이 있다는 내용을 뒷받침하고 있다. 조사 대상인 2200명의 환자 중 중증 환자 74%의 3번 염색체 영역에서 차이를 보이고 있었으며, 염색체를 구성하고 있는 수십 개의 유전자로 인해 심각한 증상을 보이고 있다는 사실을 확인하고 있다. 생명과학·의학 이강봉 객원기자 2020-05-21 백신개발 경쟁 더 뜨거워졌다 모더나가 초기 임상결과를 공개하면서 또 다른 백신 개발 사례들이 공개되고 있다. 21일 ‘뉴욕타임스’, ‘가디언’ 등 주요 언론에 따르면 모더나 외에도 다른 여러 곳에서 사람을 대상으로 임상시험을 실시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미국 바이오 기업인 이노비오(Inovio), 독일의 화이자(Pfizer)가 대표적인 경우다. 코로나19 백신 후보물질에 대한 초기 임상시험을 이미 시작했는데 현재 안전성을 확보하는데 집중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처음 페이지로 이동 이전 페이지로 이동 1 2 3 다음 페이지로 이동 마지막 페이지로 이동 처음 페이지로 이동 이전 페이지로 이동 1 2 3 다음 페이지로 이동 마지막 페이지로 이동
연재 보러가기 사이언스 타임즈에서만 볼 수 있는특별한 주제의 이야기들을 확인해보세요! 인기 뉴스 TOP 10 중국에서 확산 중인 새로운 호흡기 질환 AI, 위스키의 향을 해독하다... "전문가보다 정확한 판별력 입증" 기후변화가 대형 산불 위험을 키운다? 한국, ‘호라이즌 유럽’ 준회원국 참여 미국 전역 노로바이러스 확산... "초기 증상 나타나면 즉시 격리해야" 속보 뉴스 '민간주도' 누리호 4차 발사…'뉴 스페이스' 신호탄 쏜다 UNIST "북극 해빙 변화 1년 뒤까지 예측하는 AI 모델 개발" 꿀벌부채명나방서 플라스틱 분해 효소 배양 성공 실내 곰팡이 독소가 반려견 아토피 피부염 악화시킨다 부산대 연구팀 "AI로 비정형 파킨슨 증후군 진단…정확도 94%" "자폐 스펙트럼 장애 관련 X 염색체 유전자 변이 발견" "부모 간 폭력 목격한 아이, 장년기 심혈관 질환 위험 36%↑" QUICK LINK 사이언스올 한국과학창의재단 과학기술연구기관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