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NA"에 대한 검색 결과 총 117 건 기초·응용과학 연합뉴스 2025-06-20 "하얼빈에서 발견된 고대 인류 두개골 주인공은 데니소바인" 2021년 신종 고대 인류로 추정된다는 연구 결과로 세계적인 관심을 끈 14만6천년 전 인류 화석 하얼빈 두개골(Harbin cranium)이 데니소바인 계통에 속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새로운 고대 인류 '호모 롱기'로 분류됐던 하얼빈 두개골 ⓒAFP=연합뉴스 자료사진 중국과학원 고척추동물 및 고인류학 연구소 푸차오메 신소재·신기술 연합뉴스 2025-06-11 KAIST, 원하는 RNA만 골라 변형시키는 유전자 가위 기술 개발 KAIST 연구팀, RNA 화학 변형시키는 유전자 가위 기술 개발 ⓒKAIST 제공 한국과학기술원(KAIST)은 생명과학과 허원도 교수 연구팀이 리보핵산(RNA) 유전자 가위(유전자 교정 기술)를 이용해 RNA를 화학적으로 변형시킬 수 있는 기술을 개발했다고 10일 밝혔다. RNA 유전자 가위는 코로나바이러스 등 바이러스의 RNA를 신소재·신기술 연합뉴스 2025-05-27 굶주린 세포의 DNA 복구 능력 이용해 유전자가위 정확도 높였다 자가포식 유도를 통한 유전자 정밀 편집 ⓒ한국화학연구원 제공 국내 연구진이 세포에 자가포식(세포가 자신의 일부를 분해해 에너지원으로 재활용하는 과정)을 유도하는 방법으로 유전자 정밀 편집의 효율을 높이는 데 성공했다. 한국화학연구원 남혜진 박사 연구팀은 서울대 의대 조동현·배상수 교수 연구팀과 공동으로 세포에 자가포식을 생명과학·의학 연합뉴스 2025-05-22 UNIST·IBS "DNA 연결고리 자르는 단백질 작동 방식 규명" LEM-3 단백질의 기능과 각 영역별 역할 ⓒ울산과학기술원 제공 우리 몸의 세포 분열 과정에서 DNA 연결고리가 사라지지 않으면 염색체가 비정상적으로 나뉘어져 유전적 문제가 발생할 수 있는데, 이 연결고리를 자르는 단백질의 작동 방식이 밝혀졌다. 울산과학기술원(UNIST) 의과학대학원 안톤 가트너 특훈교수와 기초과학연구원(IBS) 신소재·신기술 연합뉴스 2025-05-21 부산대 연구팀, 유전자 가위 부작용 예측 맞춤형 도구 개발 유전자 가위 부작용 예측하는 맞춤형 도구 알고리즘 개요도 ⓒ부산대 제공 부산대학교 연구팀이 유전자 가위의 부작용을 예측하는 맞춤형 도구 개발에 성공했다. 부산대학교 의생명융합공학부 박정빈 교수 연구팀은 강원대학교 생명과학과 김혜란 교수와 협력해 개인별 유전체 변이를 고려해 유전자 가위의 정확한 작용 위치와 잠재적 부작용 위치를 예측 기초·응용과학 연합뉴스 2025-05-20 치즈냥·삼색냥 털색깔 비밀은…고양이 애호가 日교수가 풀었다 삼색얼룩털 고양이와 사사키 히로유키 규슈대 교수. 2025년 5월 15일(현지시간) 생명과학 학술지 '커런트 바이올로지'에 고양이 털 색깔에 관한 유전학적 연구 결과를 담은 논문을 발표한 일본 규슈대 사사키 히로유키 교수가 삼색얼룩털 고양이를 어루만지고 있다. ⓒ사사키 히로유키 규수대 교수 제공 영어권에서 '진저 캣 생명과학·의학 연합뉴스 2025-03-05 "DNA·단백질 결합 지점, 더 효율적으로 찾는 기술 개발" 연구 내용 요약 ⓒNucleic Acids Research 매우 적은 시료로도 DNA와 단백질의 결합 지점을 정확하게 찾아낼 수 있는 기술을 국내 연구진이 개발했다. 울산과학기술원(UNIST)은 에너지화학공학과 김동혁 교수팀과 고려대 생명과학부 이은진 교수팀이 기존보다 5천분의 1 수준으로 세포를 더 적게 쓰고도 DNA에서 특수 단 정보통신기술 권예슬 리포터 2024-10-29 DNA 컴퓨터 계의 ‘에니악’ 등장 자연이 생명체에 준 DNA라는 저장 장치를 활용하는 컴퓨터가 개발됐다. 데이터 쓰기, 저장, 삭제 등 DNA 컴퓨터에 모든 기능을 구현한 것은 최초다. 세계는 지금 김민재 리포터 2024-10-28 AI 알고리즘, 무려 16만 개의 새로운 RNA 바이러스를 발견하다 바야흐로 인공지능(AI: Artifical Intelligence)의 시대이다. 최근 모든 학문에 ‘AI’라는 단어가 붙고 있는 것과 더불어 올해 노벨 물리학상, 화학상은 AI와 융합된 분야에 시상되기도 했다. 그만큼 AI는 우리 생활에 상당히 밀접해 있는 듯 보인다. 여기에, 최근 우리와 매우 가까워진 또 하나의 단어가 있다. 바로 코로나 이후 등장해 우리 생활을 지배하기 시작한 ‘RNA 바이러스’이다. 신호우(Xin Hou) 박사가 이끄는 중국 및 호주 국제 연구진이 발표한 연구 결과에 따르면 이 두 가지 객체가 함께 어우러져 인류에 도움이 되는 결과를 내놓고 있다고 한다. 환경·에너지 김현정 리포터 2024-10-18 세균은 환경적 변화를 ‘기억’으로 대물림한다? 지구상에 존재하는 수많은 세균이 수십억 년 전부터 지금까지 무수한 환경 변화에 빠르게 적응하고 ‘제 살길’을 찾으며 존재할 수 있었던 비결은 무엇일까. 최근 노스웨스턴대학교, 텍사스 사우스웨스턴대학교 의료센터 공동 연구진이 이 미세하고도 단순한 생물체가 외부 환경의 물리적 특성을 어떻게 전달하고 유전하는지를 밝혀낸 연구결과가 Science Advances 저널에 발표됐다. 처음 페이지로 이동 이전 페이지로 이동 1 2 3 4 5 6 7 8 9 10 다음 페이지로 이동 마지막 페이지로 이동 처음 페이지로 이동 이전 페이지로 이동 1 2 3 4 5 다음 페이지로 이동 마지막 페이지로 이동
연재 보러가기 사이언스 타임즈에서만 볼 수 있는특별한 주제의 이야기들을 확인해보세요! 인기 뉴스 TOP 10 ‘카페인 수혈’ 위해 마신 블랙커피, 수명을 늘린다 식사 시간만 바꿔도 운동 능력이 달라지는 비결, 지방에 있었다 "돼지-인간 신장 이식 거부반응, 10일 후 시작돼 33일 최고조" [카자흐스탄 리포트 1] 카자흐스탄, KAIST 모델로 공과대 설립 추진 "기술 자립을 위한 전략" 명화 복원, AI로 3시간 만에 끝낸다 한세기를 건너온 수수께끼, 한국 행성과학자 이연주 단장이 풀어낸다 "다람쥐·들쥐, 도시생활 125년만에 두개골·치열이 달라졌다" 제임스웹, 110광년 밖 원시행성원반서 준목성급 외계행성 포착 [카자흐스탄 리포트 2] 카자흐스탄, 바이코누르 임대 수익 넘어 독자 우주기술로 '우주 강국' 도약 한국광학회와 물리학 속보 뉴스 뇌 특정 영역 신경 전기로 자극했더니…"수학 학습 향상 효과" '반감기 1천570만년' 방사성 요오드 제거 소재 AI로 찾았다 "초미세먼지 노출, 심근 섬유화 유발…심혈관 질환 위험 높여" 장내 미생물 이용해 악성 뇌종양 면역치료 효과 높인다 UNIST "파노라마 사진 1장으로 공간·사물 파악하는 AI 개발" "남극해, 2015년 이후 더 짜지고 있다…해빙 감소 가속 요인" "포유류 진화에서 가장 최근에 등장한 종은 노르웨이레밍" QUICK LINK 사이언스올 한국과학창의재단 과학기술연구기관 목록 사이언스타임즈 블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