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열량"에 대한 검색 결과 총 5 건 생명과학·의학 연합뉴스 2024-11-29 "메뉴에 칼로리 표시하면 열량 섭취 줄까…결과는 '아니오'" 식당 메뉴에 열량(칼로리)을 의무적으로 표시하게 하면 열량 섭취가 줄어들까? 영국에서 그 효과를 분석한 결과 열량 표시가 칼로리 섭취에는 큰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음식점 메뉴 열량 표시 의무화(CG). 기사 내용과 직접 관련 없음. ⓒ연합뉴스TV 제공 영국 리버풀대 메건 폴든 박사팀은 26일 과학 저널 네이처 인간 생명과학·의학 김민재 리포터 2024-04-09 키스를 하면 살이 빠진다? 연인과의 키스는 낭만적이고 달콤하다. 연인과의 관계를 돈독하게 만듦은 물론, 생리학적으로 다양한 기능을 하고 있는 키스는 낭만을 떠올리기 이전에 키스 자체로도 이미 건강에 도움이 될 수 있다고 한다. 기본적으로 키스는 사람의 기분을 편하게 만들고 각종 호르몬의 분비를 돕는다. 때로는 면역력을 높여주기도 하며 심지어는 열량을 태워서 체중 감량에 조금이나마 도움을 줄 수 있다. 생명과학·의학 김민재 리포터 2024-03-26 가공식품은 과연 얼마나 건강에 해로울까? 일반적으로 가공식품은 건강에 해롭고, 과체중 및 비만의 원인이라고 생각되어진다. 그리고 이는 한편으로 사실이기도 하다. 예를 들면 햄버거나 피자 등 어떤 가공식품은 가공하지 않은 식품보다 열량이 4배 정도 더 높은 경우도 있다. 영양소도 한쪽으로 치우치거나 꼭 필요한 영양소가 부족할 가능성도 있다. 지난 2월 28일 영국 의학저널에 발표된 메타 연구에 따르면 초가공식품에 더 많이 노출될수록 건강상 불리한 결과, 특히 심장 대사나 일반적인 정신 장애 및 사망률의 위험이 높아진다고 한다. 기초·응용과학 김미경 리포터 2022-10-21 야식 먹으면 24시간 동안 배고프다 야식이 건강한 식습관이 아니라는 것은 상식으로 알려져 있음에도, 야식이 인체 대사 과정에 어떤 메커니즘으로 작용하는지는 규명되지 않았다. 연구 결과는 국제 학술지 ‘세포 대사(Cell Metabolism)’ 저널에 10월 4일자로 게재되었다. 기초·응용과학 이강봉 객원기자 2018-09-20 뇌에서 가장 많은 칼로리 소비한다 주말이 되면 많은 사람들이 소파에 누워 TV를 본다. 직장인에게 있어 이는 그동안 쌓인 피로를 푸는 매우 중요한 과정이다. 월요일이 돼 사무실에 출근하게 되면 상황이 급변한다. 기업에서 요구하는 여러 과제를 풀기위해 치열하게 정신활동을 이어가야 한다. 여기서 정신활동은 사물이나 현상 등을 느끼고, 생각하며, 판단하는 과정 등 인지활동을 이르는 말이다. 경우에 따라서는 뛰어난 창의성을 발휘해야 한다. 머리를 써야 하는 일이 하나 둘이 아니다. 궁금한 것은 이런 정신활동이 얼마나 많은 에너지를 소비하고 있느냐는 것이다. 회사에서의 업무가 일요일 소파에 누워 TV를 보는 것보다 더 많은 에너지를 소비하는지를 놓고 많은 사람들이 궁금증을 표명해왔다. 정답은 ‘그렇다’이다. 처음 페이지로 이동 이전 페이지로 이동 1 다음 페이지로 이동 마지막 페이지로 이동 처음 페이지로 이동 이전 페이지로 이동 1 다음 페이지로 이동 마지막 페이지로 이동
연재 보러가기 사이언스 타임즈에서만 볼 수 있는특별한 주제의 이야기들을 확인해보세요! 인기 뉴스 TOP 10 ‘카페인 수혈’ 위해 마신 블랙커피, 수명을 늘린다 철분 부족이 자궁 속 태아를 여성으로 바꾸다 우주 패권의 새로운 전장, 달 9천4백만 년 전 백악기, 조류 진화의 핵심 퍼즐 조각 발견되다 스위스는 어떻게 미리 산사태를 미리 막을까? 세계 최대 남반구 밤하늘 관측 망원경 첫 영상 공개 "여론 조작 막는다" AI 생성 한국어 댓글 탐지 기술 개발 한세기를 건너온 수수께끼, 한국 행성과학자 이연주 단장이 풀어낸다 "유전자 조작 박테리아, PET병에서 타이레놀 성분 만든다" 범고래도 도구 만든다…"다시마로 만든 도구로 서로 몸단장" 속보 뉴스 "돼지-인간 신장 이식 거부반응, 10일 후 시작돼 33일 최고조" KAIST, 스스로 움직이는 세포로봇 개발…연료는 생체 부산물 다이빙으로 가장 큰 물보라를 일으키는 과학적 방법? AI로 8천개 이산화탄소 포집 소재 구조 중 100개 유망 후보 발굴 "뇌에 손상되면 범죄·폭력행동 위험 높아지는 부위 있다" "다람쥐·들쥐, 도시생활 125년만에 두개골·치열이 달라졌다" "깊은 수면, '유레카 순간'으로 이어질 가능성 높다" QUICK LINK 사이언스올 한국과학창의재단 과학기술연구기관 목록 사이언스타임즈 블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