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굴"에 대한 검색 결과 총 7 건 기초·응용과학 연합뉴스 2025-08-13 "스페인 동굴서 5천600년 전 신석기 집단 식인행위 증거 발견" 스페인 아타푸에르카 산맥의 동굴에서 후기 신석기 시대인 5천600년 전 사람들이 집단으로 다른 사람들의 시신을 해체하고 먹었다는 것을 보여주는 유해가 무더기로 발견됐다. 뼈를 깨 골수를 추출한 흔적이 있는 유아 대퇴골 스페인 엘 미라도르(El Mirador) 동굴에서 발견된 유아 대퇴골로, 뼈를 깨뜨려 골수를 추출한 흔적이 있다. ⓒIPHES- 기초·응용과학 김현정 리포터 2025-02-06 세계에서 가장 오래된 3D 지도 발견? 프랑스 북부 파리 분지의 13,000년 전으로 거슬러 올라가는 3D 지도가 발견됐다. 국제학술지 옥스퍼드 고고학 저널에 발표된 연구결과에 따르면 바위 바닥 일부를 인위적으로 가공하여 해당 지역의 수계(水系)를 표시하고, 지형적 특징을 반영하도록 만든 것으로 보인다. 기초·응용과학 연합뉴스 2024-12-13 "이스라엘 동굴서 아시아 最古 구석기 제사의식 시설 발견" 네안데르탈인과 호모 사피엔스가 살았던 것으로 유명한 이스라엘 갈릴리의 마놋 동굴(Manot Cave)에서 아시아에서 가장 이른 3만5천여년 전 구석기인들의 공동 제사 의식 공간이 발견됐다. 마놋 동굴 안쪽 초기 현생인류의 제사 공간. 호모 사피엔스의 초기 거주지로 유명한 이스라엘 갈릴리의 마놋 동굴(Manot Cave)에서 아시아에서 가장 이른 기초·응용과학 권예슬 리포터 2022-10-28 5만 4,000년 전 살았던 네안데르탈인 가족의 모습 현생 인류의 친척으로 여겨지는 네안데르탈인이 최초로 가족 단위의 모습을 드러냈다. 이 연구에는 2022년 노벨 생리의학상 수상자가 교신저자로 참여했다. 유럽과 시베리아 등에 살던 네안데르탈인은 현생 인류(호모 사피엔스)의 친척 인류다. 20~30만 년 전 유라시아에 퍼져 살았지만, 약 4만 년 전 홀연히 자취를 감췄다. 오늘날 아시아인과 유럽인은 네안데르탈인 유전자를 1~2%가량 갖고 있다. 금요 포커스 이성규 객원기자 2020-07-24 미주 대륙 인류 진출 수수께끼 풀리나 아메리카 대륙에 처음 진출한 호모 사피엔스의 정체는 약 1만 5000년 전에 시베리아에서 알래스카로 건너온 한 무리의 동아시아인이라는 것이 통설이다. 당시는 극심한 빙하기로서 시베리아와 북미 지역이 모두 두꺼운 얼음으로 덮여 있었고 해수면도 낮아서 시베리아와 알래스카는 베링기아라고 하는 초원으로 연결돼 있었다. (중국=베이징) 임지연 통신원 2018-11-13 척박한 환경에 적응한 진화의 흔적 중국에서 지금껏 발견되지 않았던 미꾸라지들이 보고돼 학계의 많은 관심을 모으고 있다. 중국과학원 쿤밍동물연구소(이하 중과원)는 최근 중국 고원지대에 서식하는 4종의 신종 미꾸라지를 발견했다고 발표했다. 2011-10-16 10만년전 물감 제조 현장 발견 남아프리카공화국의 한 동굴 유적지에서 물감과 이를 만드는 데 사용된 10만년 전의 도구들이 발견됐다고 BBC 뉴스과 라이브사이언스 닷컴이 13일 보도했다.남아공과 프랑스 고고학 연구진은 최고(最古)의 현생인류 유적으로 유명한 블롬보스 동굴(Blombos Cave)에서 지난 2008년 발굴된 유물들을 3년간 분석한 결과 물감과 물감 재료인 황토 및 가공 도구 처음 페이지로 이동 이전 페이지로 이동 1 다음 페이지로 이동 마지막 페이지로 이동 처음 페이지로 이동 이전 페이지로 이동 1 다음 페이지로 이동 마지막 페이지로 이동
연재 보러가기 사이언스 타임즈에서만 볼 수 있는특별한 주제의 이야기들을 확인해보세요! 인기 뉴스 TOP 10 [30th BIFF 특집] 꿈 잃은 세상에서 ‘기억’을 되찾다 스스로 조립하고 회복하는 로봇의 진화 샤가스병이 도대체 뭐길래? 미국 내 풍토병으로 분류되다 아프리카 대륙, 우주청을 공식 출범 시키다 DGIST "사람처럼 불필요한 정보 망각기능 있는 AI기술 개발" "양자컴은 지금도 유용하다"…KIST, 하이브리드 해법 "기후변화로 해빙 붕괴…심해 격리 탄소 줄어 온난화 가속" 과학기술 우수 석박사 유학생, 졸업만 하면 '거주자격' 준다 AI·로봇으로 그린 화학 반응 지도…새 물질 발굴 길 열었다 UNIST, 수명 3배 늘린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 개발 속보 뉴스 ETRI, 차세대 휴머노이드 브레인 개발 착수 공기 중 습기로 전기 만드는 기술 개발…무선 이어폰도 구동 생명연 "단백질 기능 조절 효소 'ATE1'이 유방암 종양 촉진" "움직이는 AI시대 시작"…피지컬AI 글로벌 얼라이언스 출범 과천과학관, 우주주간 기념 '대중매체 속 우주조약' 콘서트 달 궤도선 다누리, 저궤도 마치고 동결궤도로 진입 한국로봇산업진흥원, 국내 첫 휴머노이드 실증작업 착수 QUICK LINK 사이언스올 한국과학창의재단 과학기술연구기관 목록 사이언스타임즈 블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