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피질"에 대한 검색 결과 총 3 건 금요 포커스 이성규 객원기자 2021-05-07 인간에게 ‘던바의 수’는 없다? 기능성 섬유 고어텍스로 유명한 미국의 고어 사는 공장의 조직 단위를 150명으로 제한해 운영한다. 작고한 창업자 빌 고어는 이에 대해 “150명이 넘게 되면 일이 서툴러지는 것을 경험을 통해 알게 됐다”라고 밝힌 바 있다. 이 같은 여러 가지 경영 혁신으로 인해 고어 사는 경제잡지 포천으로부터 ‘일하기 좋은 100대 기업’에 매년 선정되고 있으며 1958년 설립 후 단 한 해도 적자를 기록한 적이 없는 글로벌 기업으로 성장했다. 왜 하필 모두 150명일까. 정답은 바로 그것이 ‘던바의 수(Dunbar's number)’이기 때문이다. 기초·응용과학 김병희 객원기자 2020-11-20 “기억의 핵심 원천 찾았다” 독일 연구팀이 기억의 주요 요소인 경험 의존성 ‘하향식(top-down)’ 정보의 핵심 원천을 확인해 '사이언스'지에 발표했다. 우리 이마 안쪽 뇌에 접혀져 있는 모습을 하고 있는 신피질(neocortex)은 인간 두뇌에서 가장 크고 가장 강력한 영역으로 알려진다. 운동이나 시각, 청각 등의 감각을 비롯해 고도의 정신작용을 관장한다. 기초·응용과학 심재율 객원기자 2017-06-19 인간 두뇌 신경회로는 11차원 두뇌 신피질의 신경세포는 최다 11차원의 복잡한 구조를 형성한다고 유럽 뇌과학자들이 발표했다. 대수기하학으로 두뇌에서 추출한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이다. 처음 페이지로 이동 이전 페이지로 이동 1 다음 페이지로 이동 마지막 페이지로 이동 처음 페이지로 이동 이전 페이지로 이동 1 다음 페이지로 이동 마지막 페이지로 이동
연재 보러가기 사이언스 타임즈에서만 볼 수 있는특별한 주제의 이야기들을 확인해보세요! 인기 뉴스 TOP 10 [과학이 밝혀낸 101가지 놀라운 사실들] 30세까지 살았던 개 그리고 38년을 넘게 산 고양이 [과학이 밝혀낸 101가지 놀라운 사실들] 우주에도 색깔이 있다? 물에 시끄럽게 빠지는 법에도 과학이 있다 3,500년 전 누군가는 사후세계를 위해 치즈를 준비했다? 식물은 어떻게 폭염에도 살아남나…유전자 조절 원리 밝혀 다시 돌아온 '오징어', 어획량은 늘었지만 남은 문제는? "섬 침입한 쥐 퇴치했더니…주변 산호초 생태계까지 회복" 배고플 때 포도당만 골라 인식하는 장∼뇌 회로 찾았다 사람-챗GPT 색깔 인지 비교해보니…'모방과 경험 차이 드러나" UNIST "친환경 암모니아 생산수율 5.6배 높이는 공정 개발" 속보 뉴스 "세상을 경쟁 정글로 보는 사람에겐 비열한 리더가 똑똑해 보여" 부산서 스마트폰 기반 온라인 동영상 2D·3D 호환 기술 첫선 "위험할 때만 대응" 효율적으로 반응하는 인공감각 신경계 개발 "대기오염·사회 불평등·정치 불안정도 노화 가속 요인" ETRI가 개발한 인공지능 기술 체험 플랫폼 공개 AI로 귀금속 성능 뛰어넘는 다원소 합금 수전해 촉매 설계 "사회적 고립·외로움, 노인 당뇨병 위험 30% 이상 높여" QUICK LINK 사이언스올 한국과학창의재단 과학기술연구기관 목록 사이언스타임즈 블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