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경전달물질"에 대한 검색 결과 총 10 건 생명과학·의학 김현정 리포터 2025-04-03 새의 노랫소리, 도파민과 ‘이것’의 이중주? ‘행복 호르몬’이라고 불리는 도파민은 단순히 쾌감을 주는 것 이상으로 뇌 속에서 훨씬 더 정교하고 복잡한 기능을 수행한다. 최근 듀크대학교 연구진이 국제 학술지 Nature에 발표한 연구에 따르면 외적 보상이 없는 자발적 학습에서도 도파민이 행동의 질을 세밀하게 추적하며, 학습을 유도하는 핵심 신경신호로 작용한다는 사실을 밝혀졌다. 특히 노래의 각 음절이 얼마나 성숙한지에 따라 도파민 분비량이 실시간으로 달라지는 현상이 확인되었으며, 이는 도파민이 ‘내재적 평가자’로서 기능함을 보여주었다. 생명과학·의학 김현정 리포터 2024-01-23 새해 운동 계획을 세웠다면 ‘짧고 굵게’ 새해를 맞이하여 사람들이 가장 많이 세우는 목표 중 하나는 ‘건강관리’다. 그리고 이것을 이루기 위해 규칙적인 운동, 금연, 다이어트 등 구체적인 계획과 행동 개선을 시작한다. 하지만 야심차게 세운 계획과 굳은 의지는 얼마 못 가 흐지부지되기 일쑤다. 오랫동안 몸에 밴 습관을 바꾸려고 새로운 행동을 시작하면 뇌는 기존의 기억과 다른 새 행동이 해롭다고 판단해 신경전달물질인 글루타메이트를 내보낸다. “그만해!”라는 강력한 메시지다. 그럼에도 올해 건강을 위해 작심삼일(作心三日)에서 벗어나겠다고 결심했다면 사이언스타임즈가 전하는 ‘과학적 꿀팁’을 눈여겨 보자. 첫 번째 꿀팁은 운동을 싫어하는 사람들을 위한 ‘짧고 굵은 운동의 효과’다. 오피니언 안전성평가연구소 백정엽 연구원 2023-12-07 신경세포보다 더 신경 써야 하는 세포, 신경교세포 보이지 않는 곳에서 선수와 팬들을 위해 여러 노력을 하는 '프런트'처럼, 우리 뇌에는 신경세포의 활동 및 작전 지시까지 수행하는 세포가 있다. 바로 '신경교세포'이다. 비유하자면 신경세포는 직접 경기를 뛰는 운동선수, 신경교세포는 프런트처럼 감독·단장·팬의 역할을 모두 수행하는 것이다. 낯설게만 들리는 그 이름, '신경교세포'. 주인공 그늘에 드리워져 빛을 보지 못했던 신경교세포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금요 포커스 이성규 객원기자 2021-12-10 식물인간 뇌가 에너지를 과소비하는 이유는? 인간의 뇌는 약 1,000억 개의 신경세포와 그것들을 연결하는 수백조 개의 시냅스를 가지고 있다. 이처럼 복잡한 구조와 강력한 성능 덕분에 뇌는 체중의 2%에 불과하지만, 몸 전체 에너지의 20%를 사용한다. 다른 기관에 비해 약 10배의 에너지를 더 많이 소비하는 셈이다. 생명과학·의학 심재율 객원기자 2020-12-09 소리 없이 찾아오는 유아 돌연사 원인 밝혀지나? 과학자들이 갓 태어난 생쥐가 태어나는 순간 생쥐의 뇌간에 있는 특정한 신경 전달물질의 스위치가 켜진다는 사실을 처음으로 발견하고, 연구결과를 네이처 저널에 발표했다. 버지니아 의과대학의 더글러스 베일리스 교수 연구팀은 이번 발견이 유아돌연사증후군에 대한 중요한 통찰력을 제공할 수 있다고 발표했다. 기초·응용과학 이강봉 객원기자 2019-07-26 동물이 하던 행동을 '포기'하는 이유는? 26일 ‘메디컬엑스프레스’ 지에 따르면 워싱턴 의대 연구팀이 통증감각 시스템 연구를 통해 사람을 비롯한 동물들이 하던 행동을 왜 포기하는지 그 원인을 밝혀내는데 성공했다. 논문은 논문은 ‘셀(Cell)’ 지 25일 자에 게재됐다. 논문 제목은 ‘A Paranigral VTA Nociceptin Circuit that Constrains Motivation for Reward’이다. 기초·응용과학 이강봉 객원기자 2018-04-06 항생제 남용, 조산아 해칠 수 있어 이전부터 실시해 온 조산아 항생제 투여 처방에 대해 강한 의문이 제기되고 있다. 플로리다 대학의 신생아학자 요세프 네우(Josef Neu) 교수는 “조산아에 대한 항생제 투입에 대해 많은 의사들이 득보다 실이 많다는 사실을 인식하기 시작했다.”고 말했다. 관련 연구결과도 발표되고 있다. 한 연구보고서는 세균에 감염된 조산아에게 항생제를 투입했다 하더라도 아기 건강에 필수적인 장내 마이크로바이옴(gut microbiome)을 제거하기 때문에 아기 건강을 오히려 해칠 수 있다고 주장하고 있다. 기초·응용과학 심재율 객원기자 2017-11-06 생각 통제하는 신경전달물질 'GABA' 쓸데없는 근심이나 걱정이 지나치면 강박장애나 PTSD 조현병 같은 정신질환으로 발전한다. 과학자들은 두뇌의 화학적 신경전달물질인 GABA가 이에 간여하는 것을 발견했다. 기초·응용과학 김병희 객원기자 2015-08-18 뇌 신호, 최초로 원자 수준 분석 뇌세포들 사이에 어떻게 전광석화 같은 신호가 오가는지에 대한 자세한 내용이 미국 과학자들에 의해 처음으로 밝혀졌다. 뇌세포들이 어떤 방식으로 이 신호들을 1000분의 1초 이하의 빠른 속도로 전달하는가를 더욱 정확히 알게 되면 여러 뇌 질환 치료제 연구에 새 물결이 일 것으로 예상된다. 생명과학·의학 이성규 객원편집위원 2012-11-20 장기 기억력을 증진시키는 비법 한 번만 외우면 머리에 쏙쏙 저장되는 뛰어난 기억력을 가질 수 있다면 얼마나 좋을까. 각종 시험에 시달려야 하는 학생들뿐만 아니라 가물가물 사라져가는 기억력 때문에 고민하는 이들에게도 그 같은 기억력 증진 비법은 귀가 솔깃해지는 정보일 것이다. 처음 페이지로 이동 이전 페이지로 이동 1 다음 페이지로 이동 마지막 페이지로 이동 처음 페이지로 이동 이전 페이지로 이동 1 다음 페이지로 이동 마지막 페이지로 이동
연재 보러가기 사이언스 타임즈에서만 볼 수 있는특별한 주제의 이야기들을 확인해보세요! 인기 뉴스 TOP 10 '소버린AI 시대'의 한국형 해답, 조선 고전에서 찾다 암세포가 흘린 DNA 조각으로 췌장암을 조기에 진단하다 더워도 너무 덥다, 방법이 없을까? [과학이 밝혀낸 101가지 놀라운 사실들] '새 차 냄새'는 200개 이상의 화학물질의 혼합물이다 AI와의 대화, 환경에 미치는 숨겨진 비용은? 휴가 다녀오니 ‘43일’이나 행복해 "실외 대기오염에 장기간 노출되면 치매 위험 커진다" ETRI "미디어 국제표준 특허 2천건·기술료 1천억원 돌파" "하나의 패킷만으로 통신 마비 가능" 스마트폰 보안 취약점 발견 부경대 연구팀, 이차전지 NCA 양극재 성능 저하 극복 기술 개발 속보 뉴스 "소지방·돼지기름, 종양 성장 촉진하고 면역은 약화시켜" '주사 한 번으로 치료'…고양이 갑상샘항진증 치료제 나온다 콩벌레 공생 천연 곰팡이 없이도 퇴행성 뇌질환 치료제 만든다 극지연구소, 5억년 전 고생물 정체 입증…"50년 논쟁 끝냈다" "해저 9천532m에서 화학반응으로 에너지 얻는 생물군집 발견" 위성·선박·드론 등 움직이는 환경 양자통신기술 세계 첫 개발 UNIST, 위기 상황에 강한 협력형 AI 훈련 기술 개발 QUICK LINK 사이언스올 한국과학창의재단 과학기술연구기관 목록 사이언스타임즈 블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