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돌리"에 대한 검색 결과 총 1 건 보(건)의(학)도감 김민재 리포터 2022-03-04 세계 최초의 복제 양 돌리 탄생 후 25년 1996년 7월 5일 지금으로부터 대략 25년 전, 돌리(Dolly)라는 이름을 가진 ‘하얀’ 얼굴의 양이 태어났다. 이 양은 탄생만으로도 세상을 놀라게 했는데, 바로 6년생 양의 성체 체세포를 이용하여 복제된 최초의 동물이었기 때문이다. 영국 로슬린연구소(Roslin Institute)의 이언 윌머트(Prof. Sir Ian Wilmut) 교수와 노팅엄 대학의 케이스 캠벨(Prof. Keith Campbell) 교수 연구팀은 핀란드 양의 유선 체세포를 굶겨서 세포 활동을 정지시킨 후, 이를 다른 ‘검은’ 암양의 탈핵 난자에 이식하고 전기충격을 가하며 세포 재분열을 유발하였다. 처음 페이지로 이동 이전 페이지로 이동 1 다음 페이지로 이동 마지막 페이지로 이동 처음 페이지로 이동 이전 페이지로 이동 1 다음 페이지로 이동 마지막 페이지로 이동
연재 보러가기 사이언스 타임즈에서만 볼 수 있는특별한 주제의 이야기들을 확인해보세요! 인기 뉴스 TOP 10 [과학이 밝혀낸 101가지 놀라운 사실들] 30세까지 살았던 개 그리고 38년을 넘게 산 고양이 [과학이 밝혀낸 101가지 놀라운 사실들] 우주에도 색깔이 있다? 물에 시끄럽게 빠지는 법에도 과학이 있다 3,500년 전 누군가는 사후세계를 위해 치즈를 준비했다? 식물은 어떻게 폭염에도 살아남나…유전자 조절 원리 밝혀 다시 돌아온 '오징어', 어획량은 늘었지만 남은 문제는? "섬 침입한 쥐 퇴치했더니…주변 산호초 생태계까지 회복" 배고플 때 포도당만 골라 인식하는 장∼뇌 회로 찾았다 사람-챗GPT 색깔 인지 비교해보니…'모방과 경험 차이 드러나" UNIST "친환경 암모니아 생산수율 5.6배 높이는 공정 개발" 속보 뉴스 "세상을 경쟁 정글로 보는 사람에겐 비열한 리더가 똑똑해 보여" 부산서 스마트폰 기반 온라인 동영상 2D·3D 호환 기술 첫선 "위험할 때만 대응" 효율적으로 반응하는 인공감각 신경계 개발 "대기오염·사회 불평등·정치 불안정도 노화 가속 요인" ETRI가 개발한 인공지능 기술 체험 플랫폼 공개 AI로 귀금속 성능 뛰어넘는 다원소 합금 수전해 촉매 설계 "사회적 고립·외로움, 노인 당뇨병 위험 30% 이상 높여" QUICK LINK 사이언스올 한국과학창의재단 과학기술연구기관 목록 사이언스타임즈 블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