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돌리"에 대한 검색 결과 총 1 건 보(건)의(학)도감 김민재 리포터 2022-03-04 세계 최초의 복제 양 돌리 탄생 후 25년 1996년 7월 5일 지금으로부터 대략 25년 전, 돌리(Dolly)라는 이름을 가진 ‘하얀’ 얼굴의 양이 태어났다. 이 양은 탄생만으로도 세상을 놀라게 했는데, 바로 6년생 양의 성체 체세포를 이용하여 복제된 최초의 동물이었기 때문이다. 영국 로슬린연구소(Roslin Institute)의 이언 윌머트(Prof. Sir Ian Wilmut) 교수와 노팅엄 대학의 케이스 캠벨(Prof. Keith Campbell) 교수 연구팀은 핀란드 양의 유선 체세포를 굶겨서 세포 활동을 정지시킨 후, 이를 다른 ‘검은’ 암양의 탈핵 난자에 이식하고 전기충격을 가하며 세포 재분열을 유발하였다. 처음 페이지로 이동 이전 페이지로 이동 1 다음 페이지로 이동 마지막 페이지로 이동 처음 페이지로 이동 이전 페이지로 이동 1 다음 페이지로 이동 마지막 페이지로 이동
연재 보러가기 사이언스 타임즈에서만 볼 수 있는특별한 주제의 이야기들을 확인해보세요! 인기 뉴스 TOP 10 호모 사피엔스의 생존 비밀은 ‘선크림’ “‘보노보노’는 불가사리 없으면 홍합 먹어요” 생태계 상호의존 확인 총기 사건, 총기 흔적 ‘빛’ 즉시 검출로 완전 범죄는 없다 "생성형 AI, 자유의지 가질 조건 충족…윤리 기준 마련해야" 나는 아무 생각이 없다 ‘마인드 블랭킹’ 때문이다 "AI의 과학논문 요약 믿을 수 없어…과도한 일반화 편향 많아" 스스로를 공격하는 자가면역질환 면역반응 완화 '스위치' 찾았다 나이 들수록 근육 줄어드는 이유 뇌에서 찾았다 영화와 TV 속 과학은 얼마나 정확할까? 부산대·서울대 공동연구팀, '입는 컴퓨터' 전자섬유 소재 개발 속보 뉴스 사람-AI 토론 능력 비교해보니…"GPT-4가 더 설득력 있어" "생쥐, 냄새 같은 화학적 신호로 낯선 상대 서열 감지" UNIST "초고속 펄스 레이저 없이도 생체 조직 깊숙이 촬영" 부산대 연구팀, 유전자 가위 부작용 예측 맞춤형 도구 개발 신생아의 빠른 심박도 재현 가능한 심혈관 모사 장치 개발 "허리둘레-키 비율, BMI보다 더 정확한 심부전 위험 예측 지표" "비만이 암세포 키우는 이유, '호르몬' 아닌 '지방산산화' 때문" QUICK LINK 사이언스올 한국과학창의재단 과학기술연구기관 목록 사이언스타임즈 블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