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란색꽃"에 대한 검색 결과 총 1 건 기초·응용과학 정승환 객원기자 2021-03-12 파란색 꽃이 희귀한 이유는? 파란색을 대표하는 자연을 꼽는다면 하늘과 바다. 하지만 식물의 세계에서 파란색은 흔치 않다. 최근 과학자들은 파란 꽃 색이 드문 원인을 해석하면서 식물종 유지를 위해 곤충이 선호하는 색을 이용하는 것으로 밝혔다. 이 리뷰 논문은 과학저널 ‘식물과학 프론티어(Frontiers in Plant Science)’에 수록됐다. 논문 주저자인 호주 멜버른 대학의 애드리안 다이어 박사는 “‘왜 자연에서 푸른색 꽃이 자주 관찰되지 않는지’라는 질문에서 출발해 원인을 해석하면서 꽃 색깔의 진화를 이해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파란색은 인간과 다른 동물의 시각 체계와 종의 번식이라는 이점을 얻기 위해 수분 매개자를 유혹하는 식물의 선택적 진화라는 결론이다. 처음 페이지로 이동 이전 페이지로 이동 1 다음 페이지로 이동 마지막 페이지로 이동 처음 페이지로 이동 이전 페이지로 이동 1 다음 페이지로 이동 마지막 페이지로 이동
연재 보러가기 사이언스 타임즈에서만 볼 수 있는특별한 주제의 이야기들을 확인해보세요! 인기 뉴스 TOP 10 호모 사피엔스의 생존 비밀은 ‘선크림’ “‘보노보노’는 불가사리 없으면 홍합 먹어요” 생태계 상호의존 확인 나는 아무 생각이 없다 ‘마인드 블랭킹’ 때문이다 영화와 TV 속 과학은 얼마나 정확할까? 폐배터리 고성능 배터리로 재활용…충·방전 효율 87% 첨단재생의료 치료제로 손상된 연골의 재생이 가능할까요? 직접 경험 않고도 공포 느끼는 뇌 기억 경로 찾았다 "달 앞면과 뒷면 쪽 내부 구조도 달라…비대칭성 증거 발견" "대사이상 지방간 발병·악화 유도하는 유전물질 첫 규명" 팬데믹 막는다…韓연구팀, 대규모 박쥐 인공장기 '오가노이드' 구축 속보 뉴스 "온난화 1.5℃로 억제해도 빙상 손실·해수면 급상승 못 막아" "임신 중 대기오염 노출, 자녀 천식 악화시켜…생쥐 연구 확인" "우리 아기 얼마나 먹나"…모유 수유량 실시간 측정 센서 나왔다 KAIST, 그린수소 생산 위한 수전해 촉매 수명 예측 지표 개발 UNIST·IBS "DNA 연결고리 자르는 단백질 작동 방식 규명" 사람-AI 토론 능력 비교해보니…"GPT-4가 더 설득력 있어" "생쥐, 냄새 같은 화학적 신호로 낯선 상대 서열 감지" QUICK LINK 사이언스올 한국과학창의재단 과학기술연구기관 목록 사이언스타임즈 블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