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학으로 보는 환경과 에너지 이동헌 과학기술 칼럼니스트 2020-06-18 화학분산제의 두 얼굴 대량으로 살포된 화학분산제 코렉시트(Corexit)로 기름띠가 제거되었지만 동시에 환경과 인간 건강에 악영향을 끼쳤다는 연구 결과가 발표되기 시작했다. 미국 국립보건원(National Institutes of Health)은 멕시코만 원유 유출 사고 수습에 참여한 사람들이 화학분산제에 노출되어 기관지, 눈, 피부 건강에 문제가 발생하였다는 것을 발표하기도 했다. 과학으로 보는 환경과 에너지 이동헌 과학기술 칼럼니스트 2020-06-04 빨라지는 심해 바다의 기후 변화 속도 ‘심각’ 과학자들은 지구가 계속 따뜻해지고 있다고 경고한다. 미국 해양대기청(National Oceanic and Atmospheric Administration), 이하 NOAA)에 따르면 2020년 4월은 기상관측 이래 두 번째로 가장 따뜻한 4월이었다. 가장 따뜻한 4월은 불과 4년 전 2016년이었다. 물 위 세계가 따뜻해져가는 것처럼 물 아래 세상도 마찬가지다. 해수면 온도는 20세기 평균 온도보다 0.83도 높아 1880년 관측 이래 가장 더운 4월의 바다였다. 과학으로 보는 환경과 에너지 이동헌 과학기술 칼럼니스트 2020-05-21 달에서 살아가기 위해 필요한 과학기술 1969년 7월 20일 아폴로 11호와 함께 인간이 처음 달에 착륙한 이래, 달에서 살아가는 것은 더 이상 상상 속에 머무르지 않았다. 1972년 아폴로 17호를 마지막으로 유인 달 탐사 프로젝트를 중단했던 미국은 2024년까지 다시 인간을 달에 보내겠다고 2019년 발표했다. 과학으로 보는 환경과 에너지 이동헌 과학기술 칼럼니스트 2020-05-07 바다에 떠있는 원자력 발전소가 있다? 최근 러시아는 아카데믹 로모노소프(Akademik Lomonosov)라는 세계 최초의 부유식 원자력 발전소를 개발했다. 물 위에 띄울 수 있는 원자력 발전소다. 길이 144미터, 폭 30미터 크기의 선체에는 2개의 소형 모듈형 원자로가 설치되어 총 70MW의 전력을 생산할 수 있으며, 하루 24만 세제곱미터의 바닷물을 담수화할 수 있는 설비, 방사능 핵폐기물을 저장할 수 있는 시설이 갖추어져 있다. 과학으로 보는 환경과 에너지 이동헌 과학기술 칼럼니스트 2020-04-23 미래 바다의 미세플라스틱 주의보 음식에 들어있는 유해한 물질이 소화기관을 통해 인간의 몸에 흡수되는 것은 공포스러운 사실이다. 혈관 속으로 들어간 미세플라스틱은 염증, 장애 등 질병을 일으키고 체내에 축적될 수 있다. 처음 페이지로 이동 이전 페이지로 이동 1 다음 페이지로 이동 마지막 페이지로 이동 처음 페이지로 이동 이전 페이지로 이동 1 다음 페이지로 이동 마지막 페이지로 이동
연재 보러가기 사이언스 타임즈에서만 볼 수 있는특별한 주제의 이야기들을 확인해보세요! 인기 뉴스 TOP 10 딸부잣집, 아들부잣집. 우연이 아닐지도 몰라 거센 파도에도 ‘착’, 초강력 접착제 개발 새의 성염색체 균형을 유지하는 미스터리가 풀리다 무려 4천5백년전, 이집트인의 직업을 맞춰본다 생성형 AI 미래, 한국형 기술자립 전략을 묻다 우울증 환자의 뇌 분석해 스트레스 저항 유전자 밝혀 콜레라의 재출현: 분쟁 지역에서 급증하는 치명적 수인성 질병 "유인원도 사회적 지능 있다…마음속으로 동료 등 정보 추적" 무궁화 탄소흡수계수 개발…탄소흡수량 사철나무의 7배 "70세 전 청력손실 시 보청기 사용하면…치매 위험 61%↓" 속보 뉴스 "체온으로 전기 만들어 기기 작동"…UNIST, 새 전지 개발 알츠하이머의 두 원인단백질 서로 소통하며 독성 조절한다 GIST 공동연구팀 "북극 해빙 가속화, 에어로졸도 영향" '얽힌 빛'으로 초정밀·초고해상도 분산형 양자센서 첫 구현 UNIST "양자통신 기반기술에 활용 가능한 나노 광소자 개발" 발열 섬유 이용해 저전력으로 이산화탄소 포집…95% 회수 물위 달리는 소금쟁이 비밀 풀었다…초소형 로봇으로 구현 성공 QUICK LINK 사이언스올 한국과학창의재단 과학기술연구기관 목록 사이언스타임즈 블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