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와 4차산업혁명 유성민 IT칼럼니스트 2020-03-23 코로나19로 교육 문화도 바뀌고 있다 많은 글로벌 명문 대학이 온라인 학위 과정을 운영하고 있다. 미국은 뉴욕시립대학, 펜실베니아주립대학 등이 온라인 과정을 개설했다. 영국은 요크대학, 버밍험대학, 노팅엄대학, 랑카스터대학, 맨체스터대학, 리버풀대학 등 수많은 명문대학이 이러한 과정을 개설했다 코로나19와 4차산업혁명 유성민 IT칼럼니스트 2020-03-19 AI로 전염병 예측…확산도 막는다 코로나19 확산 추이를 살펴보고 있으면 코로나19 발생 이전 빠른 예측과 발생 이후 빠른 조치를 했다면 하는 아쉬움이 든다. 인공지능(AI)을 활용하면 사전과 사후조치가 가능하다. 실제로 코로나19의 경우 AI가 질병 전문 기관보다 먼저 예측했다. 코로나19와 4차산업혁명 유성민 IT칼럼니스트 2020-03-18 로봇으로 코로나19에 대응하다 로봇은 두 가지 이유로 코로나19 대응에 효과적이다. 첫째는 부족한 인력을 보완할 수 있다. 코로나19 확진자 수는 가파르게 증가하고 있다. 문제는 확진자를 격리하는 것이 아니다. 잠재적 확진자를 찾아내는 것이다. 코로나19는 잠복기에도 전염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코로나19와 4차산업혁명 유성민 IT칼럼니스트 2020-03-17 코로나19로 인해 평범한 일상이 바뀌다 코로나19가 국가 전체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 이러한 이유로, 새로운 체계가 확산될 전망이다. 대기업을 비롯해 중소기업에서 벤처기업까지 재택근무가 확대되고 있다. 재택근무 관리 방안이 인사관리에 없었던 기업들은 이번에 새로 만들어 재택근무를 시행하고 있다. 상황은 교육도 마찬가지이다. 화상 강의 시행 권고가 대학 전체에 내려졌는데, 대학은 이를 준비하느라 분주하다. 대학교에 없었던 제도가 새로 만들어지고 있던 셈이다. 처음 페이지로 이동 이전 페이지로 이동 1 다음 페이지로 이동 마지막 페이지로 이동 처음 페이지로 이동 이전 페이지로 이동 1 다음 페이지로 이동 마지막 페이지로 이동
연재 보러가기 사이언스 타임즈에서만 볼 수 있는특별한 주제의 이야기들을 확인해보세요! 인기 뉴스 TOP 10 실명 위기의 노인들에게 찾아온 빛, 2mm 칩이 시력을 되살리다 파킨슨병, 증상이 나타나기 수십년전에 알 수 있다면 과학의 변곡점마다, 언제나 물리학이 있었다 2천 년 침묵 깬 ‘신들의 도시’, 테오티우아칸 문자 해독되다 [점자의 날 특집] 초소형 폭발로 만드는 점자 디스플레이 사각지대서 길 건너려는 보행자, AI가 예측해 사고 막는다 국내 연구진, 치매 발병 위험 예측하는 '유전자 점수' 개발 "진행암 환자, 임종 3개월 전부터 광범위항생제 사용 급증" 기후 위기에 강한 상권 AI로 찾는다…KAIST·MIT 공동 연구 "AI 똑똑해질수록 더 이기적 행동 경향 보여" 속보 뉴스 에너지연서 국내 첫 호라이즌유럽 컨소시엄 회의…태양전지 연구 켄텍, 세계 최고 수준 효율 알칼라인 수전해 전극 개발 한국-스위스, 장거리 대기권 양자통신 공동연구 착수 "차세대 리튬메탈전지 화재 위험↓"…고체 전해질 필름 개발 미세먼지에 노출된 면역세포 염증 반응 지속되는 과정 밝혀 LTE 핵심 네트워크 보안허점 규명…미인증 메시지로 통신 마비 "눈 망막 혈관 밀도 낮을수록 심혈관질환 위험 커져" QUICK LINK 사이언스올 한국과학창의재단 과학기술연구기관 목록 사이언스타임즈 블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