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언스 릴레이 페어 김청한 객원기자 2020-03-13 먹고, 뛰고, 노래하고…수학과 함께 하는 하루 3월 14일만 되면 원주율을 외우고, 파이를 먹고, 노래를 부르는 것은 그만큼 파이가 인류에게 큰 의미를 지니고 있기 때문이기도 하다. 파이가 있음으로써 인류는 원과 구의 부피와 넓이 등을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게 됐다. 그릇, 바퀴, 기둥 등 문명과 원은 떼려야 뗄 수 없는 사이이기 때문에 파이는 수학에서 가장 중요한 상수 중 하나로 꼽히기도 한다. 사이언스 릴레이 페어 김청한 객원기자 2020-02-20 “천리안위성 2B호, 국내 위성 기술의 쾌거” 지난 19일 발사된 천리안2B호는 향후 약 10년간 3만 5786㎞ 정지궤도에 머물며 동아시아 지역 전반의 대기와 해양을 감시·측정할 예정이다. 사이언스타임즈는 국내 인공위성 연구의 산 증인인 윤용식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위성연구소장을 만나 천리안2B호 발사의 의의와 국내 위성기술의 현주소에 대해 들어 보았다. 처음 페이지로 이동 이전 페이지로 이동 1 다음 페이지로 이동 마지막 페이지로 이동 처음 페이지로 이동 이전 페이지로 이동 1 다음 페이지로 이동 마지막 페이지로 이동
연재 보러가기 사이언스 타임즈에서만 볼 수 있는특별한 주제의 이야기들을 확인해보세요! 인기 뉴스 TOP 10 ‘카페인 수혈’ 위해 마신 블랙커피, 수명을 늘린다 식사 시간만 바꿔도 운동 능력이 달라지는 비결, 지방에 있었다 "돼지-인간 신장 이식 거부반응, 10일 후 시작돼 33일 최고조" 철분 부족이 자궁 속 태아를 여성으로 바꾸다 [카자흐스탄 리포트 1] 카자흐스탄, KAIST 모델로 공과대 설립 추진 "기술 자립을 위한 전략" 명화 복원, AI로 3시간 만에 끝낸다 스위스는 어떻게 미리 산사태를 미리 막을까? 세계 최대 남반구 밤하늘 관측 망원경 첫 영상 공개 "여론 조작 막는다" AI 생성 한국어 댓글 탐지 기술 개발 한세기를 건너온 수수께끼, 한국 행성과학자 이연주 단장이 풀어낸다 속보 뉴스 "돼지-인간 신장 이식 거부반응, 10일 후 시작돼 33일 최고조" KAIST, 스스로 움직이는 세포로봇 개발…연료는 생체 부산물 다이빙으로 가장 큰 물보라를 일으키는 과학적 방법? AI로 8천개 이산화탄소 포집 소재 구조 중 100개 유망 후보 발굴 "뇌에 손상되면 범죄·폭력행동 위험 높아지는 부위 있다" "다람쥐·들쥐, 도시생활 125년만에 두개골·치열이 달라졌다" "깊은 수면, '유레카 순간'으로 이어질 가능성 높다" QUICK LINK 사이언스올 한국과학창의재단 과학기술연구기관 목록 사이언스타임즈 블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