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명과학·의학 김현정 리포터 2025-08-11 ‘땀방울’은 실제 ‘땀 막’이었다? 뜨거운 여름, 피부 위에 맺힌 땀방울 ‘물방울’이 아닌, '물 막'이라는 사실이 밝혀졌다. 미국 연구진이 땀이 형성되고 퍼지는 과정을 미시적 수준에서 추적한 결과 땀은 모공에서 주기적으로 분비되어 얇은 막으로 확산된 뒤 비로소 방울로 축적된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이 과정에서 각질층과 피부 표면에 남은 염분, 미세한 모발 등이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점도 드러났다. 신소재·신기술 연합뉴스 2025-08-11 "접었다 폈다 자유자재로 가능" KAIST, 로봇 종이 개발 지우지재로 접힘 제어하는 로봇 시트 ⓒKAIST 제공 한국과학기술원(KAIST)은 기계공학과 김정·박인규 교수 공동 연구팀이 접었다 폈다 자유자재로 가능한 '로봇 시트'(robotic folding sheet) 기술을 개발했다고 6일 밝혔다. 접힘(folding)은 면과 접힘선(hinge)의 배열에 기반한 환경·에너지 연합뉴스 2025-08-11 지질연, 에너지 저장장치에 폐배터리 새활용 기술 개발 폐배터리 새활용 기술 모식도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제공 한국지질자원연구원은 폐배터리를 고전압 에너지 저장장치(ESS)에 활용할 수 있는 친환경 업사이클링(새활용) 기술을 개발했다고 6일 밝혔다. 지질연 한요셉 박사 연구팀은 폐 리튬이온배터리 양극재인 리튬망간산화물을 전기화학반응을 이용해 레독스 흐름 전지 기반 ESS에 활용할 수 있는 기초·응용과학 연합뉴스 2025-08-11 '인공태양' KSTAR, 핵융합 상용화 핵심 기술 확보 한국형 핵융합 연구로 KSTAR ⓒ한국핵융합에너지연구원 제공 한국과 미국이 '한국 인공태양'으로 불리는 초전도핵융합연구장치(KSTAR) 활용 공동연구를 통해 핵융합 에너지 상용화에 필요한 플라스마 운전 안정성을 키울 핵심 기술을 확보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한국핵융합에너지연구원과 미국 프린스턴플라스마물리연구소가 공동 신소재·신기술 연합뉴스 2025-08-11 청각의 시간차 잡아내는 ETRI 오디오 기술, 국제표준 반영 ETRI가 개발한 음원 위치 지연 기술 ⓒETRI 제공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은 자체 개발한 음원 위치 지연 기술이 국제표준화기구 '엠펙'(MPEG)의 'MPEG-I 몰입형 오디오(immersive audio)' 표준 최종안에 반영됐다고 6일 밝혔다. MPEG-I 몰입형 오디오는 청취자의 자유로운 신소재·신기술 연합뉴스 2025-08-11 '설탕만큼 달지만 저칼로리' 알룰로스 만드는 천연 미생물 찾아 마이크로박테리움 아라비노갈락타놀리티쿰(왼쪽)과 마이크로박테리움 파라옥시단스(오른쪽). ⓒ국립낙동강생물자원관 제공 과당을 알룰로스로 전환하는 미생물 균주를 찾아냈다고 국립낙동강생물자원관이 7일 밝혔다. 알룰로스는 설탕만큼 달지만, 열량은 10분의 1 수준이어서 최근 주목받는다. 현재 식품업체들은 대체로 알룰로스 생산력을 향상한 KFRM 푸름이야기 범부처재생의료기술개발사업단 2025-08-08 근감소증 줄기세포 치료제 개발 이야기 근감소증은 고령화로 인해 근육량과 근력이 감소하는 질병으로, 일상생활에 큰 지장을 초래하며 치료가 필요한 의학적 질환이다. 아직 승인된 치료제는 없고, 현재는 영양 관리와 운동 등 예방 중심의 관리가 권장된다. 이엔셀(주)은 탯줄 유래 중간엽 줄기세포를 활용한 치료제 EN001을 개발하고 있으며, 근육과 신경 재생에 효과를 확인하였다. EN001은 현재 근감소증 환자를 대상으로 임상 1상 시험을 준비 중이다. 이엔셀은 앞으로 다양한 근감소증 유형과 희귀 신경·근육질환에 대해서도 연구를 확대해 나갈 계획이다. 생명과학·의학 김민재 리포터 2025-08-08 아 스마트폰 그만해야하는데... 현대인들은 하루 평균 4시간 이상 스마트폰을 사용하며, 이는 중독 수준에 가까운 디지털 의존 현상으로 이어지고 있다. 스마트폰 중독은 우울감, 불안, 수면장애, 신체 통증 등 정신적·신체적 건강 문제를 유발하며, 특히 청소년에게 더 큰 영향을 미친다. 중독의 원인은 도파민 보상 시스템, 사회적 연결 욕구, 앱의 설계 방식 등과 관련이 깊다. 극복을 위해서는 물리적 거리 두기, 알림 최소화, 운동 대체, 마음 챙김, 인지행동치료 등의 과학적으로 검증된 방법들을 병행해야 한다. 무엇보다 꾸준한 실천과 환경 변화가 장기적 해결의 핵심이다. 생명과학·의학 연합뉴스 2025-08-08 "주 3회 감자튀김 먹으면 제2형 당뇨병 위험 20% 증가" 영양소가 풍부하지만 혈당지수(GI)가 높은 감자는 어떻게 먹는 게 좋을까? 감자튀김(프렌치프라이)을 일주일에 3번 먹으면 제2형 당뇨병 위험이 20% 증가하지만 삶거나 굽거나 으깬 감자는 당뇨병 위험 증가와 관련이 없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또 어떤 형태 감자든 통곡물로 대체하면 제2형 당뇨병 위험이 감소하는 반면, 대신 흰쌀을 섭취하면 당뇨병 생명과학·의학 연합뉴스 2025-08-08 "아빠보다 엄마 유전자가 자녀 체중에 미치는 영향 더 크다" 엄마의 유전자는 자녀에게 유전되지 않더라도 '유전적 양육'(genetic nurture) 과정을 통해 자녀의 체중에 영향을 미쳐 아빠보다 아이의 과체중이나 비만에 더 큰 역할을 한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임신 체중 ⓒ게티이미지뱅크 제공 영국 유니버시티칼리지런던(UCL) 리암 라이트 박사팀은 6일 과학 저널 플로스 유 처음 페이지로 이동 이전 페이지로 이동 1 2 3 4 5 6 7 8 9 10 다음 페이지로 이동 마지막 페이지로 이동 처음 페이지로 이동 이전 페이지로 이동 1 2 3 4 5 다음 페이지로 이동 마지막 페이지로 이동
연재 보러가기 사이언스 타임즈에서만 볼 수 있는특별한 주제의 이야기들을 확인해보세요! 인기 뉴스 TOP 10 너무 더운데 선크림까지 건강하게 발라야 한다고? 테드 드 무안 치즈가 꽃잎 모양으로 잘리는 이유 아프리카에서는 암 치료제 6개 중 1개가 불량품이다 문헌학자가 된 'AI', 고대 라틴어 비문 해독하다 국내 기술로 개발한 연료전지 추진 무인기 12시간 비행 성공 "은행잎 추출물, 경도인지장애 환자 치매 진행 늦춰준다" 아 스마트폰 그만해야하는데... 임신 중 염증이 태반 통해 아이에게 과도한 알레르기 일으킨다 KAIST·포스코홀딩스, 이차전지 양극 소재 탐색기간 '확 줄였다' 과기정통부, 한-캐나다 과학기술대회서 한인과학자와 소통 속보 뉴스 "접었다 폈다 자유자재로 가능" KAIST, 로봇 종이 개발 지질연, 에너지 저장장치에 폐배터리 새활용 기술 개발 '인공태양' KSTAR, 핵융합 상용화 핵심 기술 확보 청각의 시간차 잡아내는 ETRI 오디오 기술, 국제표준 반영 '설탕만큼 달지만 저칼로리' 알룰로스 만드는 천연 미생물 찾아 "주 3회 감자튀김 먹으면 제2형 당뇨병 위험 20% 증가" "아빠보다 엄마 유전자가 자녀 체중에 미치는 영향 더 크다" QUICK LINK 사이언스올 한국과학창의재단 과학기술연구기관 목록 사이언스타임즈 블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