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리포터의 투명망토 과연 현실화 될까? 포항공과대학교 김진곤 교수님과 함께하는 피플인사이언스! 사이언스프렌즈 저작권자 2021-05-25 ⓒ ScienceTimes 태그(Tag) #POSTECH #김진곤 #사이언스프렌즈 #피플인사이언스 #화학공학 관련기사 자연계의 가장 강력한 결합은 어떻게 끊어질까 ▲ 탄화수소 속 탄소와 수소의 결합은 자연계의 가장 강력한 결합 중 하나로 꼽힌다. 현대 화학자들은 이 결합을 끊어내 탄화수소로부터 유용한 화학물질을 합성하려는 연구에 몰두하고 있다. ⓒGettyImages 1900년대 초, 독일의 화학자들은 대기 중의 질소와 수소로부터 비료의 주성분인 암모니아를 대량으로 생산하는 방법을 개발했다. 두 과학자는 식량난 버려지는 나무의 놀라운 변신 카드뉴스 제공 : 한국연구재단 NRIC전문연구정보중앙센터 [원문 보러 가기] 대중이 과학을 하는 문화로, 민간주도의 과학문화 6월 27일, 제11회 과학문화 혁신 포럼이 개최되었다. 과학문화 혁신 포럼은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한국과학창의재단 주관으로 열리며, 현장 의견 수렴과 아이디어 발굴을 통해 과학문화 활동을 추진하고 활성화하기 위한 자리이다. 이번 과학문화 혁신 포럼의 주제는 ‘민간 주도 행사를 통한 과학문화 생태계 구축’이다. 오후 2시 경부터 1시간 40여 분간 유튜브 채 [신학기 인터뷰] ‘과제량의 보존법칙 들어보셨나요?’ 포스텍 LIFE 포항공과대학교는 대한민국의 4년제 사립대학 중 하나로, 과학기술 분야의 연구중심 대학을 표방하며 과학기술 연구와 교육을 목적으로 설립됐다. 대한민국의 5대 과학기술원에 포함되는 곳은 아니지만, 과학 분야의 최고를 자랑하는 대학으로 꼽힌다. 오늘은 포항공과대학(이하 포스텍)의 재학생 신혜수 씨(기계공학과 20학번)를 만나봤다. 포항공과대학교 전경 ⓒ 신 여성 과학자들, 소외감 심각 지난 2015년 12월 15일, UN 총회는 매년 2월 11일을 ‘세계 여성 과학자의 날(International Day of Women and Girls in Science)’로 제정했다. 그리고 일요일인 11일 세 번째 기념일을 맞아 UN이 성명서를 발표했다. 안토니오 구테레스 (António Guterres) 사무총장은 “지난 15년 동안의 노력 목록으로
연재 보러가기 사이언스 타임즈에서만 볼 수 있는특별한 주제의 이야기들을 확인해보세요! 인기 뉴스 TOP 10 ‘카페인 수혈’ 위해 마신 블랙커피, 수명을 늘린다 철분 부족이 자궁 속 태아를 여성으로 바꾸다 스위스는 어떻게 미리 산사태를 미리 막을까? 세계 최대 남반구 밤하늘 관측 망원경 첫 영상 공개 "여론 조작 막는다" AI 생성 한국어 댓글 탐지 기술 개발 한세기를 건너온 수수께끼, 한국 행성과학자 이연주 단장이 풀어낸다 "유전자 조작 박테리아, PET병에서 타이레놀 성분 만든다" UNIST "저품질 영상 해상도·프레임 동시에 개선하는 AI 개발" 범고래도 도구 만든다…"다시마로 만든 도구로 서로 몸단장" UNIST "그린수소 생산 인공나뭇잎 모듈 개발…상용화 가능성↑" 속보 뉴스 "돼지-인간 신장 이식 거부반응, 10일 후 시작돼 33일 최고조" KAIST, 스스로 움직이는 세포로봇 개발…연료는 생체 부산물 다이빙으로 가장 큰 물보라를 일으키는 과학적 방법? AI로 8천개 이산화탄소 포집 소재 구조 중 100개 유망 후보 발굴 "뇌에 손상되면 범죄·폭력행동 위험 높아지는 부위 있다" "다람쥐·들쥐, 도시생활 125년만에 두개골·치열이 달라졌다" "깊은 수면, '유레카 순간'으로 이어질 가능성 높다" QUICK LINK 사이언스올 한국과학창의재단 과학기술연구기관 목록 사이언스타임즈 블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