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리스 존슨 영국 총리는 16일(현지 시각) 하원에서 향후 10년간 국방‧안보‧외교 전략을 통합 검토한 통합 리뷰(Integrated Review)를 발표했다.
골자는 오는 2030년까지 영국을 혁신 기반으로 한 ‘초강대국(superpower)’을 만들겠다는 것. 이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전략적 변화를 강조하고 있다.
한 국가의 힘이 보유하고 있는 힘은 탱크, 혹은 함선의 수가 아니라 ‘과학과 기술, 알고리즘의 품질’로 정의된다는 것. ‘글로벌 브리튼 시대(Global Britain era)’를 위해 새로 도입해야 할 혁신적인 전략 10가지를 제시하고 있다.
향후 10년간 국방‧안보‧외교 전략을 담고 있는 영국 정부의 통합 리뷰. AI-알고리즘, 유전자편집 등 새로운 차원의 전쟁 양상을 예측하면서 혁신 차원의 대응 방안을 제안하고 있다. ⓒ www.gov.uk
미래 전쟁은 AI-알고리즘 기술력이 좌우
영국 정부가 발표한 통합 리뷰(Integrated Review)에서는 미래 안보 위협에 대응하기 위해 국방을 현대화하는데 초점을 맞추고 있다.
이 과정에서 급격히 늘어날 것으로 예상되는 사이버 공격(cyber-attacks), 미래 새로운 패턴의 전쟁을 대비한 유전자편집부대(Gene-edited troops)의 창설 등을 건의하고 있다. 이 국방 리뷰는 혁신을 기반으로 한 현대전에 대한 대비를 철저히 해줄 것을 강조하고 있다.
17일 ‘BBC’는 통합 리뷰를 분석하면서 미래 전쟁에 대비한 내용을 지목했다.
특히 미래 전쟁 양상이 ‘AI-알고리즘’를 기반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관련 기술을 먼저 습득한 나라가 전쟁에서 군사적 우위를 점할 수 있다고 강조하고 있다.
알고리즘을 기반으로 하는 사이버 공격에 대비할 필요성이 있다며, 향후 4년간 안보용 AI 알고리즘을 구축하는데 향후 66억 파운드(한화 약 10조 3600억 원)의 국방 자금을 투입하겠다는 의도를 밝히고 있다.
리뷰에서는 국방력 강화를 위해 특히 과학기술 혁신을 강조하고 있다.
영국 정보기관 M16을 이끌었던 알렉스 영거(Alex Younger) 전 수장은 ‘BBC’와의 인터뷰를 통해 “기술 혁신을 통해 힘(국방력)을 키워나가야 한다.”고 말했다.
이 통합 검토본이 주목을 받는 것은 미국과 중국 간의 기술경쟁이 뜨거워지고 있는 가운데 발표됐기 때문이다. 관계자들은 두 나라 간의 치열한 경쟁 가운데 영국의 위치를 확인하고 있다는 점에서 중요한 의미를 두고 있다.
3월 들어 중국은 인공지능 (AI), 양자정보, 뇌과학, 반도체, 생명공학, 신경과학, 항공‧우주 등 7개 분야를 중심으로 연구비를 대폭 상향 조정하는 등의 내용을 담은 5개년 계획을 발표한 바 있다.
바이든 행정부 역시 미국의 우위를 유지하는 데 주력하고 있다. 구글의 전 최고경영자 에릭 슈미트가 이끄는 이번 달 보고서에 따르면 AI에서 중국에 뒤처질 경우의 보안 차원에서 큰 위험에 도달할 것이라는 점을 명시하고 있다.
유전자편집 부대 창설도 새로운 검토 사항
미‧중 두 나라는 실제로 중요한 첨단 과학기술 전 분야에 걸쳐 과거 사고방식을 뛰어넘는 새로운 차원의 기술경쟁을 벌이고 있다.
현재 전략적으로 활용될 수 있는 이미지 캡션 최신 컴퓨터 칩을 만드는데 총력을 기울이고 있는데 향후 이 기술을 어느 정도 확보하는지 그 여부가 양국의 국방력을 가름하는데 큰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된다.
이런 분위기 속에서 또 다른 강대국을 꿈꾸는 영국이 미래 ‘AI 알고리즘 전쟁’을 명시한 것은 중요한 의미를 담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존슨 총리가 발표한 리뷰에서는 예산 배분 권한을 지니고 있는 의회 측에 향후 AI-알고리즘 전쟁‘을 대비한 국가 차원의 사이버부대(National Cyber Force) 창설을 지원해줄 것을 제안하고 있다.
‘유전자편집 부대Gene-edited troops)’에 대한 내용 역시 주목받는 부분이다.
알려진 것처럼 지금은 유전자가위(CRISPER) 유전자편집 기술을 통해 공학적으로 생물학적 시스템 설계가 가능한 시대다.
리뷰에서는 이런 기술이 건강‧환경 문제를 넘어 안보에 큰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보고 있다. 중국이 병사들의 성과를 향상시키기 위해 유전자편집 기술을 적용하고 있다는 미 정보 관계자들의 발언을 인용하고 있다.
유전자편집 기술 개발에 있어 우위를 점하고 있는 영국 역시 관련 기술을 안보 부문에 활용해 재편되고 있는 국제 안보 구도에 대응해나갈 것을 요청하고 있다.
양자 컴퓨팅(quantum computing) 역시 기대하는 분야다.
영국이 글로벌 리더로 부상 할 수 있는 좋은 위치에 있다는 것. 양자 컴퓨터를 놓고 벌이는 미‧중간의 경쟁에서 연구 인프라가 갖춰진 영국이 참여할 경우 관련 분야 발전에 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예상했다.
알려진 것처럼 영국은 2차 세계 대전 중에 세계 최초로 세미 프로그래밍 가능한 컴퓨터를 만든 나라다.
그러나 이후 컴퓨터 강국이 되지 못한 것은 미국처럼 정부‧민간이 참여하는 막대한 투자가 병행되지 않았기 때문이다. 리뷰는 미국의 실리콘 밸리는 민‧관이 협력해 안보 관련 프로젝트를 수행한 대표적인 결과물이라고 보았다.
영국 역시 기업과 대학 등과 협의를 통해 방위 및 안보 관련 프로젝트를 수행 할 수 있는지에 대한 검토를 진행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6311)
로그인후 이용 가능합니다.
지구 지각 160㎞ 아래에 암석이 부분적으로 녹아있는 지금까지 알려지지 않았던 새로운 층이 존재하는 것으로 학계에 보고됐다. 미국 오스틴 텍사스대학과 CNN 등에 따르면 이 대학 '잭슨 지구과학대학원'의 화쥔린 박사가 이끄는 연구팀은 지구 전체에 걸쳐 이런 층이 존재한다는 점을 밝힌 연구 결과를 과학저널 '네이처 지구과학'(Nature Geoscience) 최신호(6일자)에 발표했다.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은 피부가 늘어나고 줄어드는 양과 방향을 정확히 측정해 재활 치료 등에 활용할 수 있는 센서를 개발했다고 8일 밝혔다. 연구진은 3개의 센서를 서로 다른 방향으로 인접 배치해 이들에서 나오는 신호의 조합으로 특정 부위 신축 방향과 변형량을 동시에 뽑아냈다.
멸종 인류인 네안데르탈인이 살던 선사시대 동굴에서 현대인도 즐겨 먹는 것과 같은 종의 게 껍데기가 무더기로 나와 9만 년 전에 이미 게 맛을 알고 즐겼던 것으로 제시됐다. CNN 등 외신에 따르면 '카탈루냐 인류고생물학 및 사회진화연구소'의 마리아나 나바이스 박사가 이끄는 연구팀은 리스본 인근 피게이라 브라바 동굴에서 발굴된 게 껍데기를 분석한 연구 결과를 과학 저널 '환경 고고학 프런티어스'(Frontiers in Environmental Archaeology)에 발표했다.
지스트(광주과학기술원)는 신소재공학부 권인찬 교수 연구팀이 산업 폐기물 속에 포함된 수소를 이용해 폐기물 속 이산화탄소를 연료전지의 원료인 '개미산(포름산)'으로 쉽게 전환하는 효소를 발굴했다고 8일 밝혔다. 지스트에 따르면 기후 온난화에 영향을 미치는 산업 폐가스를 유용한 화학연료로 전환하는 연구에서 핵심은 산업 폐가스에 포함된 다른 가스에 영향을 받지 않고 전기와 같은 별도의 에너지 공급이 필요 없는 공정을 개발하는 것이다.
우주에서 한반도와 주변 해역을 감시할 초소형위성 체계 개발이 본격화한다. 정부는 초소형위성 체계 개발을 위해 참여 부처, 개발기관, 소요기관 간 추진 계획을 공유하는 회의를 9일 대전에서 개최했다고 밝혔다. 초소형위성 체계 개발사업은 국가 우주자산을 효율적으로 활용하기 위해 국방부 및 방위사업청, 과학기술정보통신부, 해양경찰청, 국가정보원 등 다부처 협력사업으로 추진한다.
분당서울대병원 신경외과 정한길·김택균 교수, 신경과 윤창호 교수 공동 연구팀은 두경부(머리와 목 부분)의 X-선 영상을 이용해 수면무호흡증을 진단하는 인공지능(AI) 모델을 개발했다고 7일 밝혔다. 수면무호흡증은 자는 동안 호흡이 일시적으로 멈추거나 호흡량이 줄어드는 상태를 말한다. 이런 상태가 장기간 지속되면 고혈압, 심근경색, 뇌졸중 등의 심뇌혈관 질환이 발생할 위험이 크게 높아진다.
한국재료연구원은 배터리 핵심 소재 리튬이온으로 차세대 뉴로모픽 반도체 소자를 세계 최초로 구현했다고 8일 밝혔다. 뉴로모픽 반도체 소자는 인간 뇌를 모사해 전력 소모를 줄이면서 고효율로 인공지능을 수행할 수 있는 새로운 반도체 소자다. 재료연구원 나노표면재료연구본부 김용훈·권정대 박사 연구팀이 이 기술을 개발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