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C 리버사이드(UC Riverside) 대학 연구팀은 동물의 가계도에서 가장 먼저 출현한 좌우대칭동물(bilaterian)을 발견했다고 발표했다. 지질학자들은 동물의 초기 형태는 앞과 뒤, 혹은 좌우가 대칭을 이룬다고 보고 있다. 이 때문에 많은 과학자들이 가장 오래된 좌우대칭동물을 찾고 있었다.
호주에서 발견한 ‘이카리아 와리오티아’(Ikaria wariootia)라는 이름의 이 작고 지렁이 같은 생물은 좌우가 대칭된 모습을 가지고 있다. 그뿐만 아니라 양쪽 끝에 내장으로 연결된 개구부를 가진 유기체라고 UC리버사이드 대학 연구팀은 미국 국립과학원 회보(PNAS) 저널에 발표했다.
동물의 공통 조상으로 보이는 이카리아 와리오티아 복원도 © UCR
해면이나 해조류 같은 초기의 다세포 유기체는 다양한 모양을 가진다. 총체적으로 에디아카라 생물군(Ediacaran Biota)이라고 하는 이 집단은 복잡한 다세포 유기체의 가장 오래된 화석을 남겼다.
그러나 이들은 입이나 내장같이 대부분의 동물들이 가진 기본적 특징이 없다. 흔히 선캄브리아대 최후에 살았던 벌레인 디킨소니아(Dickinsonia)에 속하는 것으로, 과학자들은 이들이 오늘날의 동물들과 직접적인 관련이 없다고 판단하고 있다.
그러므로 동물의 발달에서 쌍방향 대칭은 매우 중요한 부분이다. 유기체가 대칭을 이뤄야 유기체는 원하는 대로 움직이는 신체를 구성할 수 있기 때문이다. 벌레부터 곤충, 공룡, 인간에 이르기까지 수많은 동물이 이와 같이 기본적인 좌우대칭 형태를 갖는다.
현대 동물의 유전학을 연구하는 진화생물학자들은 모든 좌우대칭동물 중 가장 오래된 조상은 초보적인 감각기관을 가지면서 동시에 아주 단순하고 작았을 것으로 예측했다. 아울러 그러한 동물의 화석을 식별하는 것은 불가능하지 않지만 어렵다고 생각해왔다.
3차원 레이저 스캔으로 형태 복원
그런데 이번에 UC리버사이드 대학 연구팀이 이 좌우대칭동물의 모습을 복원했다고 발표한 것이다. 지난 15년 동안, 과학자들은 남호주 닐페나(Nilpena)에 있는 5억 5500만 년 된 에디아카라 시대(Ediacaran Period)의 퇴적물에서 발견된 아주 작은 동굴의 화석이 좌우대칭동물의 흔적이라는 사실에 동의했다. 그렇지만 굴을 만든 생물의 흔적은 전혀 보이지 않아 과학자들은 추측만 하고 있을 뿐이었다.
UC 리버사이드에서 최근 박사학위를 마친 스콧 에반스(Scott Evans)와 메리 드로저(Mary Droser) 지질학 교수는 이 굴 중 일부에서 작은 타원형의 흔적을 복원했다. NASA의 도움을 받은 이들은 3차원 레이저 스캐너를 사용해서 동물의 공통 조상이라고 생각되는 벌레의 형태를 복원했다,
머리와 꼬리가 구별되게 보이는 이카리아 와리오티아의 3D 스캔 자료 © UCR
이들이 발견한 벌레는 머리와 꼬리가 뚜렷하고 희미하게 홈이 패인 원통형의 규칙적이고 일관된 모양을 지녔다. 길이는 2~7㎜에 너비는 1~2.5 ㎜로, 쌀알 크기와 모양은 굴을 만들기에 적합했다.
벌레같이 근육수축 운동으로 이동
UC 샌디에이고의 이안 휴즈(Ian Hughes)와 사우스 오스트레일리아 박물관의 제임스 겔링(James Gehling)을 포함한 연구팀은 이 동물의 이름에 원주민의 언어를 사용했다. 이들이 지은 속명인 이카라아는 아드냐마탄하(Adnyamathanha) 언어로 ‘만나는 장소’를 뜻한다.
이카리아의 굴은 다른 어떤 것보다 낮은 곳에 존재한다. 드로저 교수는 “이것이 이런 종류의 복잡성으로 가진 화석 중 가장 오래된 것임을 보여준다”고 말했다.
바위에 남아 있는 이카리아 와리오티아의 흔적 ©UCR
비교적 단순한 모양에도 불구하고 이카리아는 이 시기의 다른 화석에 비해 복잡했다. 그것은 이카리아가 잘 발달된 해저 모래의 얇은 층을 파고들면서 산소를 찾아가는 초보적인 감각 능력을 가졌음을 나타낸다.
굴은 또한 V자 형태를 띠고 있는데 이는 이카리아가 벌레처럼 몸 전체 근육을 수축시키면서 움직였음을 시사한다. 아키리아의 이동흔적은 이카리아가 아마도 입, 항문, 내장을 가지고 있었을 것이라는 것을 암시한다.
(4309)
로그인후 이용 가능합니다.
울산과학기술원(UNIST)은 나사 풀림 위험을 감지하거나 내·외부 물리적 변형 요인을 구분할 수 있는 지능형 금속 부품을 개발했다고 26일 밝혔다. UNIST에 따르면 기계공학과 정임두 교수 연구팀은 3D 프린팅 적층제조기술과 인공지능 기술을 이용해 '인지 가능한 스테인리스 금속 부품'을 개발하는 데 성공했다. 또 인공지능 기술과 증강현실 융합기술로 금속 부품 단위의 디지털 트윈(Digital Twin)을 구현했다.
원자력발전소의 배기가스나 산업체·병원 등에서 유출될 수 있는 극위험물질 '방사성 요오드'를 고습 환경에서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기술이 개발됐다. 한국화학연구원 황영규·홍도영 박사 연구팀은 현재 쓰이는 탄소계 흡착제보다 280배 높은 방사성 요오드 제거 성능을 보이는 다공성 흡착제를 개발했다고 26일 밝혔다.
절단된 신경을 수술용 봉합실 없이 홍합에서 추출한 단백질을 이용해 이어붙일 수 있는 기술이 나왔다. 포항공대(포스텍)는 화학공학과 차형준 교수·정호균 박사 연구팀과 이화여대 화공신소재공학과 주계일 교수, 가톨릭대 서울성모병원 성형외과 전영준 교수·이종원 교수·재활의학과 이종인 교수 연구팀이 공동으로 홍합접착단백질 기반 의료용 하이드로젤 접착제를 개발했다고 26일 밝혔다.
한국과학기술원(KAIST)은 물리학과 김용현 교수 연구팀이 수천 년 동안 해결되지 않은 난제 가운데 하나인 마찰전기 발생 원리를 규명했다고 26일 밝혔다. 연구팀은 두 물질을 마찰시킬 때 경계면에서 발생하는 열에 의해 전하가 이동할 수 있다는 아이디어를 바탕으로 마찰전기의 작동원리를 찾아냈다. 마찰전기와 관련한 가장 대표적인 두 가지 현상이 마찰열과 전기적 성질을 띠는 대전현상인데, 연구팀은 마찰전기를 '마찰열에 따른 대전현상'으로 설명하기 위해 미시적 열전효과(열과 전기의 상관 현상)에 주목했다.
한국의 첫 지구 관측용 민간 위성인 한글과컴퓨터(이하 한컴) 그룹의 '세종1호'(Sejong-1)가 한국 시간 26일 오전에 궤도에 안착하는 데 성공했다. 한컴에 따르면 세종1호는 발사 후 예정된 궤도에 안착했으며, 한국 시간으로 오전 11시 11분에 지상국과의 교신이 성공적으로 완료됨에 따라 궤도 진입의 성공이 확인됐다.
종양 내부에 발생하는 저산소증만 감지해 암을 진단할 수 있는 신개념 조영기술이 개발됐다.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KBSI) 바이오융합연구부 홍관수 박사 연구팀은 미국 텍사스대 세슬러 교수 연구팀과 공동으로 종양의 저산소증에 반응해 신호를 내는 감응성 바이모달(MRI·광학 혼합) 이미징 프로브를 개발했다고 25일 밝혔다.
인공지능(AI) 기술이 국가안보에도 중대한 영향을 미치는 상황에 우리나라가 대응해 필수적인 AI 기술을 중점 육성해야 한다는 제언이 나왔다. 24일 학계에 따르면 소프트웨어정책연구소가 최근 펴낸 '국가안보를 위한 인공지능과 3대 전략 기술'보고서는 우리 정부가 보호·육성해야 할 AI 기술로 ▲ 지능형 반도체 ▲ 자율무기 ▲ 생성적 적대 신경망(GAN) 등 3가지를 제시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