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중에게 큰 인기를 얻지 못하는 스포츠 종목이라도 알고 보면 재미가 더해지는 경기가 있다. 아마 럭비도 그런 종목 중 하나일 터. 공을 쟁탈하기 위한 필드 위의 격렬한 힘겨루기, 앞으로는 공을 패스할 수 없는 규칙, 구기 종목이지만 다른 종목과는 다른 형태의 타원형 공 등 다소 생소한 구석이 많다. 이 유별나고 ‘어디로 튈지 모르는 럭비공’ 같은 럭비 경기는 스포츠과학적 접근을 통해 보면 다양한 역학 원리가 숨어져 있음을 알게 된다.
럭비 경기는 스포츠과학적 접근을 통해 보면 다양한 역학 원리가 숨어져 있음을 알게 된다. ⓒko.wikipedia.org
럭비는 영국의 럭비지방에서 처음 시작된 종목이다. 최초의 경기 룰이 1845년에 만들어졌다고 알려지니 무척 오래된 종목이기도 하다.
우리나라에 럭비가 처음 알려진 것은 1923년 조선체육회가 주최한 시범경기를 통해서다. 그리고 5년 후에 조선럭비축구협회가 발족되고 제1회 춘계리그전이 개최되었으나, 럭비가 도입된 이래 98년 만에 처음으로 진출한 2020 도쿄올림픽에서야 많은 사람에게 알려지게 되었다. 이제 경기력의 상승세와 대중의 관심을 얻게 된 지금, 럭비에 중요한 역학 ‘가속도’를 더해보면 어떨까.
럭비는 인체 운동의 법칙인 관성, 가속도, 작용·반작용의 법칙이 적용되는 대표적인 종목이다.
스크럼은 뉴턴의 제3법칙인 작용과 반작용의 원리가 적용된다. ⓒrugbytoday
럭비를 생각하면 선수들이 서로 얽혀서 힘겨루기를 하는 장면이다. 이 플레이는 스크럼이라고 하는데 한팀 선수들이 세 줄에 각각 3-4-1명이 서로의 팔을 엮은 채로 상대팀과 밀착하고 있다가 공을 자기편 뒤쪽으로 보내는 것.
스크럼을 짠 각 팀 선수들은 서로 미는 힘으로 충돌하게 되는데, 이때 뉴턴의 제3법칙인 작용과 반작용의 원리가 적용된다. 즉, 공에 더 가까이 접근하는 에너지양을 높이기 위해 건장한 체력의 선수를 배치하고, 최고의 힘을 끌어올려 평형을 유지하는 듯 보인다. 하지만 어느 한 쪽의 에너지가 동일하게 작용 되지 않으면 밀려나게 돼 있다. 럭비 선수들은 이 스크럼 싸움에서 밀리지 않아야 기세를 살려 경기를 운영할 수 있다고 말한다.
럭비는 도움닫기 없이 순간 최고속도로 달리는 힘이 필요하다. 즉, 오로지 선수의 무게와 속도에 의존하여 순간적인 운동에너지를 발휘해야 하는 것. 럭비 경기 시에 상대 진영 인골에 공을 지면에 두는 트라이를 성공하면 5점을 획득할 수 있기 때문이다. 주로 등 번호 11, 14번 선수가 트라이를 하는데 공을 뺏기지 않기 위해서는 매우 빠른 속도로 달려야 한다. 이때 뉴턴의 제2법칙인 가속도의 법칙이 적용된다. 럭비에서 가속도는 선수의 무게에 어떤 힘이 작용하여 발생한다.
일반적으로 경기 중에 통제 가능한 변수는 힘이기 때문에 가속도 목표치를 설정하고, 그것에 달성하기 위한 힘을 훈련한다. 2020 도쿄올림픽에 참가한 일본 럭비 대표팀은 시합 중에 달성해야 하는 고부하의 급가속을 2.5㎨으로 설정하고 훈련했다고 전해진다.
최근 스피드게이트(Speedgate)가 관심을 얻고 있다. 스피드게이트는 엔비디아(Nvidia)와 아카(AKQA)의 협업을 통해 AI가 만든 최초의 스포츠 종목이다.
엔비디아(Nvidia)와 아카(AKQA)가 협업해 개발한 스피드게이트(Speedgate) ⓒAKQA on Vimeo
AI는 애초에 배우기 쉽고, 안전하며 재미있고, 운동량이 많은 팀 스포츠 개발을 목표로 럭비, 하키, 축구, 크리켓 등 400여 종의 스포츠에서 7,000개가 넘는 규칙을 학습하였으며, 그 결과 기존의 종목과 유사하지만 약간의 변형이 가해진 천 개의 스포츠를 새롭게 만들어냈다. 이 중 스피드게이트는 ‘사람’이 하기에 적절한 운동으로 검증돼 차세대 AI 스포츠로 뽑혔다.
경기는 6명이 한 팀을 구성하여 공을 패스하거나 발로 차면서 진행한다. 경기의 방법도 그렇고, 공 모양도 럭비나 미식축구에서 사용하는 것과 유사하다. 추후 스피드게이트 전용 공을 개발할 예정이지만 아직까지는 연습용 럭비공이 필드를 빠르게 누빈다.
개발사는 이 스포츠를 일회성 이벤트가 아닌 조만간 아마추어 리그를 운영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그 계획이 성사된다면 AI가 학습한 데이터 중 스포츠과학적 데이터는 무엇이며, 어떤 역학적 에너지를 활용하여야 이 종목의 경기력을 향상할 수 있는지가 과제로 남게 된다.
더불어서 AI가 개발한 스포츠 종목이라 할지라도 “One for All, All for One”의 정신과 “노사이드 정신”은 변하지 않기를 바란다.
(1367)
로그인후 이용 가능합니다.
/ 울산시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 한국전파진흥협회 ‘비면허 주파수 활용 해상통신 서비스 실증’ 공모에 한국전자통신연구원과 울산정보산업진흥원이 주관기관으로 최종 선정됐다고 31일 밝혔다. 해양 기자재 판로개척을 위한 이 사업은 울산의 전기추진체계 지능형 선박인 울산태화호를 활용한다. 해상에서는 광대역 해상통신 서비스를 실증하고 선박에서는 정보통신기술(ICT) 융합 지능형 안전 서비스 실증을 하게 된다. 4월부터 11월까지 진행되며 세부 과제별 주관기관인
/ 국가연구개발사업에 대한 기업 참여를 늘리고자 규모와 위험이 큰 초기 기초연구에 대한 정부 지원 연구개발비를 늘리는 방안을 검토하기로 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30일 오후 서울 광화문에서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 제48회 운영위원회를 열고 이런 내용의 ‘2023년도 국가연구개발 행정제도 개선 기본지침’을 심의·의결했다고 밝혔다. 기본지침은 국가연구개발 제도개선 기본 방향을 제시하는 기준 역할을 한다. 지침에는 양자 등 새로운
/ 허위·불성실 정보보호 공시를 당국이 검증하거나 수정을 요청할 수 있는 법적 근거가 마련됐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30일 정보보호산업진흥법 개정안이 국회 본회의를 통과했다고 밝혔다. 정보보호 공시제는 기업 등이 정보보호에 투자하는 비용과 인력 등 현황을 공개하는 제도로 의무 공시가 도입된 지난해 이행률은 99.5%였다. 개정안 통과로 정보보호 공시 내용을 검증하고 공시 내용이 사실과 다른
/ 2030 세대가 가장 선호하는 벚꽃놀이 장소는 서울숲, 도산공원, 뚝섬유원지로 파악됐다. SK텔레콤은 AI(인공지능)가 전처리한 모바일 데이터를 학습해 통계화한 유동 인구를 측정·분석한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고 31일 밝혔다. 이번 조사는 SKT 빅데이터 분석 플랫폼인 ‘지오비전퍼즐’을 기반으로, 지난해 벚꽃 시즌(2022년 4월 9~17일) 서울과 수도권내 관광명소 방문자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다. 이번 조사는 벚꽃 시즌
/ “드론을 활용하면 80만평이나 되는 공사 현장도 한눈에 볼 수 있고, 촬영 영상을 3차원 입체 도면으로 만들면 정확한 공정관리도 가능합니다.” 지난 29일 오전 7시 40분 부산도시공사 4층 강당에서 드론 전문가인 송근목 씨엘파트너 대표가 ‘건설 현장의 드론 활용 방안과 드론관제시스템’을 주제로 특강을 했다. 부산도시공사의 스마트기술 학습모임(스마트 BOOK 모닝) 회원인 임직원 30여
/ 이산화탄소로부터 바이오 플라스틱을 생산하는 기술의 효율을 국내 연구진이 20배로 높였다. 한국과학기술원(KAIST)은 생명화학공학과 이현주 교수와 이상엽 특훈교수 연구팀이 높은 효율로 이산화탄소로부터 바이오 플라스틱을 생산할 수 있도록 전기화학적 이산화탄소 전환과 미생물 기반 바이오 전환을 연계한 하이브리드 시스템을 개발했다고 30일 밝혔다. 연구팀은 전기화학 전환반응이 일어나는 전해조에서 이산화탄소가 탄소 1개로 이뤄진 포름산으로
/ 통신사, 방송사 등 기간통신사업자에 한정됐던 정부의 재난 예방·훈련·대응·복구 관리가 이용자 1천만 명 이상 플랫폼 사업자나 매출·운영 규모가 일정 수준 이상인 데이터센터 등으로 확대된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지난해 10월 SK C&C 판교 데이터센터 화재에 따른 카카오·네이버 서비스 장애 후속 조치로 이런 내용을 담은 디지털 서비스 안정성 강화 방안을 30일 발표했다. 방송통신발전기본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