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연구진이 기존 회전식이 아닌 고정식 라이다 센서를 개발했다.
포항공대(포스텍)는 기계공학과·화학공학과 노준석 교수, 기계공학과 통합과정 김경태·김예슬·윤주영씨, 성균관대 생명물리학과 김인기 교수 연구팀이 공동으로 360도 전 영역을 볼 수 있는 고정형 라이다 센서를 개발했다고 19일 밝혔다.
빛을 쏴서 물체를 인식하는 라이다 센서는 자율주행 자동차가 주변 물체와 거리를 파악하고 주행 속도나 방향을 판단하도록 돕는 눈 역할을 한다.
현재 라이다 센서는 회전하는 방식이어서 전·후방을 동시에 파악하기 어렵다.
자율주행 자동차에 적용하려면 센서가 고속으로 회전해야 하므로 수명이 짧거나 고장이 잦다는 단점이 있다.
연구팀은 머리카락 두께 1천분의 1 크기에 불과한 초박형 평면 광학소자인 메타표면으로 센서를 만들어 초소형 센서를 구현했다.
메타표면을 이용하면 라이다 시야각을 대폭 넓힐 수 있고 물체를 입체적으로 인식할 수 있다.
연구팀은 메타표면을 구성하는 나노 구조체 설계와 주기적 배열 방식을 조절해 라이다 센서 시야 각도를 360도까지 넓히는 데 성공했다.
이번 연구 결과는 최근 국제학술지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스'에 실렸다.
노준석 교수는 "기존 메타표면 장치보다 고도화된 기술을 개발해 모든 각도에서 빛 전파를 조절할 수 있음을 입증했다"고 말했다.
- 연합뉴스
- 저작권자 2022-10-19 ⓒ ScienceTimes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