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만화로 푸는 과학 궁금증] 지구 온난화와 지구 생태계의 변화
지구 온난화로 인한 기후 변화는 인류에게 가장 큰 골칫거리가 되었다. 이대로 지구 온난화가 계속되면 인류는 큰 대가를 계속 치러야 하고, 인류가 멸망할 수도 있다. 기후 변화는 인류뿐만 아니라 다른 생물들에게도 큰 영향을 주고 있다. 기후 변화가 지구 생물들에게 어떤 영향을 주고 있는지 살펴보자.
기후 변화와 생물의 대멸종
지구의 역사를 살펴보면, 지구에 생명체가 탄생한 후에 생물들이 다섯 차례 대멸종을 겪었다. 멸종 이유로 기후의 급변, 운석 충돌, 화산 대폭발 등이 추정되는데, 사실 운석 충돌과 화산 대폭발도 그로 인해 일어나는 기후의 급격한 변화가 생물 대멸종의 원인이라고 할 수 있다. 이같이 생물 대멸종은 기후 변화가 가장 중요한 요인이다. 따라서 지금과 같은 기후 변화도 지구 생물의 대규모 멸종을 부를 수 있다.
지구의 역사를 살펴보면, 생물 대멸종은 기후 변화가 가장 중요한 원인이었다. ⓒ윤상석
지구 온난화로 극지방의 얼음이 녹아 해수면이 상승하고 지역에 따라 집중 호우, 폭설, 한파, 폭염, 가뭄 등이 일어나면서 생물이 사는 환경을 위협하고 있다. 연구에 따르면, 지구 기온이 2도 상승하면, 생물 종의 약 15~40%가 멸종에 처할 수 있다고 한다.
사실, 기후 변화로 인한 생물의 멸종은 이미 시작되었다. 2010년에 발표된 유엔 생물다양성협약 보고서에 따르면, 기후 변화로 1970년~2006년 사이에 지구 생물 종의 약 31%가 사라졌다고 한다. 매년 25,000~50,000종의 생물이 멸종한 셈이다. 또한, 식물 종류의 68%가 멸종 위기에 처해 있고, 양서류 종류의 41%, 파충류 종류의 22%, 무척추동물 종류의 30%, 포유류 종류의 25%가 멸종 위기에 처해 있다고 한다.
지구 온난화와 식물 생태계의 변화
뉴스를 보면 우리나라 남부에서 주로 재배되던 과일이나 채소가 지구 온난화로 중부 지역으로 재배 지역을 옮겼다는 소식을 종종 들을 수 있다. 이 뉴스처럼 지구 온난화로 인해 지역별로 분포하는 식물의 종류가 달라지고 있다. 또한, 추운 지방이나 고산지대처럼 특별한 식물만 자라는 곳에서도 변화가 생기기 시작했다. 예를 들어 북극 툰드라 지역에서는 고유 식물종의 키가 커졌고 원래 그 지역에서 볼 수 없었던 식물 종류가 자라기 시작했다.
한편, 지구 온난화로 식물의 중요한 영양분인 질소를 얻을 수 있는 양이 줄어 식물들이 약해진다는 연구 보고가 있다. 땅에 식물의 잎 등이 떨어지면 미생물이 이를 분해하여 질소를 만들고, 그 질소를 식물이 흡수한다. 그런데 지구 온난화로 식물의 생장 기간이 길어지면서 미생물이 분해할 식물 잎 양이 줄어드는 반면에 식물이 필요로 하는 질소의 양이 증가했다. 결국, 식물들이 질소를 제대로 섭취하지 못해 체질이 약해졌다는 연구 결과이다.
또한, 지구 온난화로 인해 과거보다 식물의 꽃 피는 시기가 앞당겨지면서 여러 가지 문제가 일어나고 있다. 식물의 꽃 피는 시기가 달라지면 꽃가루를 옮기는 곤충들의 활동 주기와 맞지 않아 생태계에 큰 혼란이 일어날 수 있다. 기온 상승으로 꽃은 빨리 피었는데 벌이나 나비와 같은 곤충은 겨울잠에서 깨어나지 않으면, 곤충에 의한 꽃가루받이를 통해 수분을 하는 식물들은 번식이 어려워진다. 그런데 이 문제는 인간에게도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 인간이 재배하는 작물 가운데 약 3분의 1은 번식을 위해 곤충의 꽃가루받이가 필요하기 때문이다. 또한, 곤충의 꽃가루받이가 필요한 작물 중 약 80%가 꿀벌이 그 역할을 한다. 그런데 꿀벌은 2006년 이후 전 세계에서 그 수가 빠른 속도로 줄고 있다. 꿀벌이 사라지는 원인으로 농약, 초원의 감소, 곰팡이 등 여러 가지가 거론되고 있지만, 지구 온난화에 의한 기후 변화도 큰 역할을 하고 있음이 분명하다.
식물의 꽃 피는 시기가 달라지면 꽃가루를 옮기는 곤충들의 활동 주기와 맞지 않아 생태계에 큰 혼란이 일어날 수 있다. ⓒ윤상석
지구 온난화와 동물 생태계의 변화
지구 온난화로 직접 피해를 받는 경우는 극지방에 사는 동물들이다. 지구 온난화로 북극이나 남극의 얼음이 녹으면 이곳에 사는 동물들은 삶의 터전을 잃는다. 예를 들어 북극곰은 살아가는데 바다를 덮고 있는 얼음인 해빙이 꼭 필요하다. 북극곰은 해빙 위에 있는 바다표범이나 바다사자를 주로 잡아먹고, 해빙 위에서 짝짓기를 한다. 그리고 먼 거리를 이동할 때도 바다 위에 있는 해빙을 이용한다. 그래서 과학자들은 북극곰이 가까운 미래에 멸종하리라 전망하고 있다. 북극에 사는 바다표범도 해빙을 이용해 살아가므로 북극곰과 같은 운명에 처했다.
북극곰은 해빙 위에서 사냥을 하고 짝짓기도 한다. ⓒ윤상석
기후 변화는 철새와 같이 장거리 이동을 하는 동물의 생존에 큰 영향을 준다. 이 동물들은 먹이를 구하고 번식과 휴식을 위해 다양한 서식지가 필요한데, 기후 변화로 인한 서식지 환경의 변화는 큰 위협이 된다.
기후 변화는 육상 동물뿐 아니라 해양 동물에도 큰 영향을 끼치고 있다. 지구 온난화로 바다 표면 바닷물 온도가 높아지면서 바다 식물성 플랑크톤이 줄어들고 있다. 지난 100년간 바다 식물성 플랑크톤이 약 40%가 줄었다고 한다. 그런데 바다 식물성 플랑크톤은 바다에 사는 초식동물의 먹이가 되어 해양 생태계를 유지하는 근간이 되므로, 지구 온난화는 바다 생태계를 뿌리째 흔들고 있다고 할 수 있다.
또한, 지구 온난화로 바닷물 온도가 상승하면 산호가 열 스트레스를 받아 죽는 백화 현상이 일어난다. 그리고 바닷물 온도 상승으로 인해 바다에 녹는 이산화탄소의 양이 늘어나면 바닷물이 산성화되면서 산호의 골격이 부식된다. 따라서 지구 온난화는 산호초 황폐화를 초래하고 있다. 산호초는 바닷속의 다양한 생물 종이 사는 중요한 서식지인데, 산호초가 사라지면 바닷속 생태계에 큰 위협이 된다.
(30642)
로그인후 이용 가능합니다.
서울대 연구진이 차세대 리튬금속 배터리 전해질 성능을 높일 수 있는 유기-물리화학적 성질을 최초로 발견했다. 서울대는 임종우 자연과학대 화학부 교수 연구진이 불소를 제거한 유기분자로 리튬금속음극 안정성을 대폭 향상해 1천500회 이상 충·방전 사이클을 구동하는 데 성공했다고 8일 밝혔다.
울산과학기술원(UNIST)은 그린수소 생산 기술로 불리는 물 전기분해의 효율을 높이는 전극 코팅 기술을 개발했다고 8일 밝혔다. UNIST에 따르면 에너지화학공학과 류정기 교수 연구팀은 전극 표면에 수화젤(Hydrogel)을 코팅해 물 전기분해의 성능을 높이는 기술을 개발했다. 물 전기분해는 물에 담긴 전극에 전류를 흘려 물을 산소와 수소로 분해하는 기술이다.
비타민K는 몸 안에 축적되는 지용성 비타민 가운데 하나다. 비타민K는 식물에서 주로 합성되는 K1(필로퀴논)과 장(腸) 박테리아가 만드는 K2(메나퀴논) 두 종류가 있다. 비타민K는 혈액의 응고와 뼈의 생성에 관여한다. 따라서 비타민K가 부족하면 지혈 장애나 뼈 손실이 올 수 있고, 너무 많으면 혈전 위험이 커진다.
국제천문연맹(IAU, 이하 '연맹')은 외계행성계 20개의 이름을 짓는 국제공모전을 8일 연다고 밝혔다. 연맹은 이날 오전 연맹 총회가 열리고 있는 부산 벡스코(BEXCO)에서 언론브리핑을 열고 국제공모전 'NameExoWorlds 2022'(외계행성 이름짓기 공모전)을 소개했다. 연맹은 이 공모전을 통해 태양계 밖에 있는 항성(별)과 그 항성을 공전하는 행성으로 구성된 외계행성계 20개의 이름을 정할 예정이다.
염증(inflammation)은 손상된 신체 조직을 치유하고 외부로부터 들어온 해로운 물질을 제거하기 위해 체내에서 자연적으로 나타나는 생물학적 반응이다. 한마디로 염증은 면역 반응에 의한 염증 유발 물질의 분비를 일컫는 말이다. 만성 염증은 심장 판막과 뇌세포를 손상하면 심장병과 뇌졸중이 나타난다. 또 인슐린 저항을 촉진해 당뇨병 위험을 증가시키고 암까지도 일으킬 수 있다. 비타민D의 결핍이 만성 염증과 직접적인 연관이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최근 170여년 사이 학자들의 연구대상이 된 500여 건의 이상기후 현상을 분석해보니 전체의 71%가량에서 인간이 영향을 미친 사실이 확인됐다고 영국 일간 가디언이 4일(현지시간) 보도했다. 이 매체는 영국의 기후 정보 웹사이트 '카본 브리프'(Carbon Brief)가 수집한 1850년부터 올해 5월 사이의 이상기후 현상 504건에 대한 연구 보고서 400여개를 분석한 결과 이 같은 결론이 도출됐다고 전했다. 인간 활동의 영향으로 발생 확률이 높아지거나 기후변동의 폭이 커진 사례가 전체의 3분의 2에 육박했다는 것이다.
5일(한국시간) 미국에서 발사된 한국의 첫 달 탐사 궤도선 '다누리'(KPLO·Korea Pathfinder Lunar Orbiter)는 우주인터넷 실험과 달 착륙 후보지 탐색을 위한 관측 등 임무를 맡는다. 임무 수행은 다누리가 달 상공 100km 궤도에 올해 말 성공적으로 진입한 후부터 이뤄질 예정이며, 기간은 내년(2023년) 초부터 말까지 1년간으로 계획돼 있다. 다만 남은 연료의 양에 따라 단축되거나 연장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