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랙홀과 중성자별 간의 충돌이 처음으로 탐지됐다. 우주 중력파 검출을 연구하는 라이고-비르고(LIGO-Virgo) 네트워크 국제 과학자팀은 지난해 1월, 10일 간격으로 발생한 두 충돌-합병 사건을 분석해 ‘우주물리 저널 레터스’(The Astrophysical Journal Letters) 29일 자에 발표했다.
과학자들은 이 극단적인 사건들로 인해 발생한 중력파가 약 9억 광년에 걸친 여행 끝에 지구에 도달했으며, 두 경우 모두 파트너인 블랙홀이 중성자별 전체를 삼켰을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중력파란 움직이는 거대한 물체에 의해 생성되는 시공간의 일그러짐이 광속으로 파도처럼 전달되는, 중력의 주기적인 변화를 말한다. 아인슈타인의 일반상대성이론에 의해 예측됐으며, 2015년 9월 중력파가 처음 관찰된 뒤 여기에 결정적 기여를 한 미국 과학자 세 명이 2017년 노벨물리학상을 받은 바 있다.
중력파 측정 뒤 5년 동안 연구자들은 블랙홀 쌍과 중성자별 쌍이 합쳐짐으로써 발생하는 50개 이상의 중력파를 확인했다. 블랙홀이나 중성자별 모두 거대한 별들의 시신으로서, 블랙홀들은 중성자별들보다 더 크다.
블랙홀-중성자별 병합 사건을 묘사한 상상도. © Carl Knox, OzGrav/Swinburne
“누락된 쌍성 유형 발견”
이번 새로운 연구에서 과학자들은 블랙홀과 중성자별의 충돌이 모두 포함된 두 개의 희귀한 사건에서 중력파를 감지했다고 발표했다.
중력파는 미국 국립과학재단(NSF)의 레이저 간섭계 중력파 관측소(LIGO, 라이고)와 이탈리아의 비르고(Virgo) 검출기에 의해 감지됐다. 일본의 카그라(KAGRA) 검출기는 2020년에 LIGO-Virgo 네트워크에 합류했으나 이번 검출에서는 연결이 되지 않았다.
2020년 1월 5일에 발견된 첫 번째 병합(merger)은 우리 태양 질량의 약 9배에 달하는 블랙홀과 1.9배에 달하는 중성자별이 포함됐다. 이어 1월 15일 발견된 두 번째 병합에는 태양 질량의 여섯 배인 블랙홀과 1.5배인 중성자별이 포함됐다.
천문학자들은 지금까지 수십 년 동안 우리 은하 안에서 블랙홀을 공전하는 중성자별을 찾기 위해 노력했으나 아무것도 발견하지 못했다.
프랑스 국립과학연구센터(CNRS) 소속으로 니스 코뜨 다쥐르 관측소의 아스트리드 램버츠(Astrid Lamberts) 연구원은 “이번에 우리 은하 밖에서 중성자별-블랙홀 병합을 새롭게 발견해 누락된 쌍성(binary star) 유형을 찾아냈다”고 말하고, “마침내 이런 시스템들이 얼마나 많이 존재하는지, 얼마나 자주 병합이 되는지 그리고 우리 은하에서는 지금까지 왜 이런 사례를 보지 못했는지를 이해할 수 있게 됐다”라고 덧붙였다.
중성자별-블랙홀 쌍성 합병의 MAYA 협동 수치 상대성 시뮬레이션 동영상 일러스트. 중성자별의 붕괴를 보여준다. 동영상 캡처. © Deborah Ferguson (UT Austin), Bhavesh Khamesra (Georgia Tech), Karan Jani (Vanderbilt)
“엄격한 심사 거쳐 확인”
두 가지 중 첫 번째 이벤트인 GW200105는 라이고 리빙스턴과 비르고 감지기에 의해 관측됐다. 라이고 검출기에서는 강력한 신호가 나왔으나 비르고 검출기에서는 작은 신호와 잡음이 섞여 나왔다. 미국 워싱턴 핸포드에 위치한 또 다른 라이고 감지기는 일시적으로 오프라인 상태였다.
연구팀은 중력파의 특성을 감안해 이 신호가 태양 질량의 1.9배 정도인 조밀한 물체(후에 중성자별로 확인)와 블랙홀이 충돌해 발생했다고 추론했다. 이 합병은 9억 광년 떨어진 곳에서 일어났다.
독일 포츠담 막스플랑크 중력 물리학연구소(AEI) 천체물리 및 우주 상대성 분과 하랄드 파이퍼(Harald Pfeiffer) 분과장은 “비록 하나의 검출기에서만 강한 신호를 볼 수 있었지만 이는 단순한 검출기 노이즈가 아니라 실제 사실이라는 결론에 도달했다”라며, “이 신호는 모든 엄격한 품질 검사를 통과하고 제3자적 관측 실행에서 볼 수 있는 모든 노이즈 이벤트를 넘어섰다”라고 밝혔다.
이 신호는 하나의 검출기에서만 강력하게 나타났기 때문에 우주에서 합병이 일어난 위치는 아직 불확실하다. 대략 보름달 크기의 3만4,000배에 해당하는 지역 어딘가에 있을 것으로 추정된다.
“지구 10억 광년 이내에서 병합 사건 한 달에 한 번씩 발생”
천문학자들은 두 병합 사건이 중력파로 감지된 직후 경보를 받고 하늘에서 관련 섬광이 있었는지를 검색했으나 아무것도 발견하지 못했다.
이는 병합이 일어난 곳까지의 거리가 너무 멀기 때문에 놀라운 일은 아니다. 파장과 관계없이 병합에서 나오는 빛이 매우 어두워서 가장 강력한 망원경으로도 감지하기가 어렵다는 것.
두 중성자별이 충돌하는 이미지. © NASA
또한 블랙홀이 중성자별 전체를 삼켜버릴 만큼 크기 때문에 어떤 경우에도 이 합병으로 인해 빛의 쇼가 나타나지는 않았을 것으로 추정된다.
라이고 과학 협력 대변인인 패트릭 브레이디(Patrick Brady) 미국 위스컨신대(밀워키) 교수는 “이것은 블랙홀이 쿠키 몬스터와 같이 중성자별을 씹어서 조각 조각 흩날려버리는 사건이 아니다”라며, “그같이 흩날리는 것은 빛을 내는 것인데, 우리는 이들 경우에 그런 일이 일어났다고 생각지 않는다”라고 말했다.
이전에 라이고-비르고 네트워트는 두 개의 다른 중성자별-블랙홀 합병 후보를 발견한 바 있다. 2019년 8월 14일에 탐지된 GW190814라는 사건은 태양 질량 23배짜리 블랙홀과 태양 질량의 2.6배인 물체(가장 무거운 중성자별이거나 알려진 가장 가벼운 블랙홀로 추정)가 충돌한 것으로 보고 있다.
다른 후보는 2019년 4월 26일 탐지된 GW190426라는 이벤트로 중성자별-블랙홀 합병일 가능성이 있으나, 단순히 검출기의 노이즈 때문일 수도 있다.
이번에 중성자별과 합병되는 블랙홀로부터 두 가지 중력파를 확신 있게 관찰한 연구팀은 이를 기반으로 지구로부터 10억 광년 이내에서 이 같은 병합이 대략 한 달에 한 번 꼴로 일어난다고 추정하고 있다.
브레이디 교수는 “라이고와 비르고 및 카그라 탐지기 그룹은 2022년 여름에 시작될 예정인 다음 관측 실행을 위해 검출기를 개선하고 있다”라고 전했다.
그는 “향상된 감도로 병합파를 하루에 한 번 이상 탐지하고 블랙홀과 중성자별을 구성하는 초고밀도 물질의 속성을 더욱 잘 측정하기를 기대하고 있다”라고 밝혔다.
(3927)
로그인후 이용 가능합니다.
울산과학기술원(UNIST)은 귀금속 수전해 촉매 대체재로 주목받고 있는 전이금속 칼코겐 화합물 소재의 촉매 효율을 크게 높일 수 있는 합성법을 개발했다고 5일 밝혔다. UNIST에 따르면 신소재공학과 박혜성 교수와 동국대 융합에너지신소재공학과 한영규 교수, 성균관대 신소재공학부 백정민 교수 공동연구팀은 고농도 바나듐 원자가 도핑된 몰리브덴 이황화물 박막 합성법을 개발했다. 공동연구팀은 전기 전도도 변화를 위해 첨가하는 도펀트 원자의 배열을 제어해 전이금속 칼코겐 화합물 기반 수전해 촉매 성능을 획기적으로 높였다.
힘줄과 혈관 같은 콜라겐에 기반한 섬유조직의 기능을 시각화하는 레이저 음향 이미지 분석 기술이 개발됐다.
리튬이온전지를 대체할 차세대 이차전지로 주목받는 마그네슘 전지를 일반 전해질에서도 구동할 수 있는 기술이 개발됐다.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은 에너지저장연구센터 이민아 선임연구원 연구팀이 부식성 첨가제가 없고 대량생산이 가능한 일반 전해질로도 마그네슘 전지를 고효율로 구동할 수 있는 마그네슘 금속 화학적 활성화 기술을 개발했다고 4일 밝혔다.
온실가스 배출량이 현재 수준을 유지할 경우 여름철에 북극해 얼음(海氷)이 완전히 사라지는 시기가 2030년대로 기존 예측보다 10년 앞당겨질 것이라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포스텍 민승기 교수·김연희 연구교수가 이끄는 국제연구팀은 7일 과학저널 '네이처 커뮤니케이션'(Nature Communications)에서 온실가스 배출 저감 노력과 상관 없이 2030~2050년 여름철에 북극의 해빙이 소멸할 수 있음을 확인했다고 밝혔다. 연구팀은 북극 해빙이 사라지는 시기가 기존 예상보다 10년 빨라질 것으로 전망됐다며 이는 인간 활동이 북극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고 가까운 미래에 계절적으로 얼음 없는 북극에 대비하고 적응하는 게 중요하다는 것을 보여준다고 말했다.
퇴행성 뇌 질환인 파킨슨병을 혈액 검사로 진단하는 방법이 일본 연구팀에 의해 개발됐다고 아사히신문이 6일 보도했다. 보도에 따르면 일본 준텐도(順天堂)대학 등 연구팀이 개발한 이 연구 성과는 최근 국제적인 의학 저널 '네이처 메디신'에 실렸다. 현재 파킨슨병을 진단하려면 CT 촬영 등을 해야 하지만, 이 연구팀이 개발한 혈액 검사 방식으로 간편하게 진단이 이뤄지면 질병의 조기 발견에도 도움이 될 것이라고 신문은 전했다.
농촌진흥청은 저온 플라스마를 처리한 땅콩 겉껍질에서 미백과 주름 개선에 효과가 있는 성분을 확인했다고 2일 밝혔다.
질병관리청은 C형간염을 치료할 경우 간암에 걸리거나 간암으로 사망할 위험성이 크게 줄어드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2일 밝혔다. 질병청이 분당서울대병원과 공동 수행하는 '한국 C형감염 코호트 연구'와 '국민건강보험공단 청구자료'를 토대로 분석한 결과, C형간염을 치료한 사람이 간암에 걸릴 확률이 치료하지 않은 사람보다 59%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간암으로 사망할 확률은 74%, 간경변 합병증에 걸릴 확률은 90% 줄어드는 것으로 밝혀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