적당히 술을 마시는 것이 건강에 이로울까 해로울까? 지나친 술을 마시면 건강에 해롭다는 것은 상식이다. 그렇지만, 하루에 맥주 500㏄ 한 잔이나 와인 한 잔이면 혈액순환에 도움을 주지 않을까.
이렇게 적당한 음주는 도움이 되는지에 대해서는 정확히 구분하기 어렵다. 마시는 양의 기준을 정하기도 애매하고, 사람마나 조금씩 취향이나 건강상태가 다르기 때문이다.
영국 캠브리지 대학 연구팀은 알코올 섭취에 대한 영국기준을 잣대삼아 수십 만명을 대상으로 조사했더니 일반 상식과는 다른 결과가 나왔다. 음주는 모두 다 해롭다는 것이다.
영국 정부가 추천하는 알코올 권고량은 세계적으로 매우 낮은 편이지만, 이 권고량 이상으로 정기적으로 술을 마실 경우 수명이 수 년 단축될 수 있다. 영국 정부 권고량 이상 음주는 심장병이나 사망 또는 동맥류 질환과 연관되어 있다.
이 같은 연구결과는 ‘술도 적당히 마시면 심혈관 건강에 도움을 준다’고 많은 사람들이 생각하는 고정관념에 반대하는 것으로, 최근 영국 정부가 음주 권고량을 낮춘 것을 지지하는 것이다.
캠브리지 대학 연구팀은 19개국 60만 명을 대상으로 음주습관과 건강 사이의 관계를 비교했다. 연구팀은 나이, 흡연, 당뇨병 이력, 교육 및 직업등을 감안했다.
영국 정부의 음주 권고량은 매주 5번이다. 알코올로 따지면 100g이며, 알코올 농도 4%의 맥주라면 5파인트(1파인트는 568㏄)이며, 13% 농도의 포도주로 따지면 175ml 짜리 와인잔 5컵에 불과하다.
영국 캠브리지 연구팀 19개국 60만명 대상 조사
연구팀은 이 기준 이상으로 술을 마시면 수명이 낮아진다고 발표했다. 예를 들어 매 주 10번 이상 술을 마시면 수명이 1년 또는 2년이 낮아지며, 매 주 18번 이상 술을 마시면 수명이 4년에서 5년 낮아진다.
란셋(Lancet) 저널에 발표한 이 논문결과는 최근 영국 정부가 발표한 음주 권고량을 뒷받침하는 것이다. 영국 정부는 2016년에 음주 권고량을 더욱 낮췄다. 남녀 가리지 않고 매 주 알콜 14 유니트(unit) 이상을 마시지 말 것을 권고하고 있다. 이는 맥주 6 파인트나 와인 6잔에 해당하는 적은 양이다.
중요한 것은 음주 권고량이 최대 허용치를 규정한 것이지, 도달해야 할 목표를 정한 것은 아니다. 모든 술은 해롭지만, 그래도 마시려면 이 정도 이상 마시자 말라는 차선의 방법을 제시할 뿐이지, 권고량을 마시면 안전하다는 수치는 아니라고 전문가들은 경고했다.
연구팀은 동시에 알코올 섭취와 다양한 형태의 심혈관 질환 사이의 관계도 조사했다. 술을 마시면 심장병이나 뇌졸중 위험이 높아지고, 동맥류, 고혈압 등의 위험이 높아진다. 연구팀은 “술도 적게 마시면 좋은 점이 있다는 것을 보여주는 확실한 단서는 전혀 없었다”고 말했다. 아무리 적은 술도 건강에 나쁘다는 것이다.
이에 비해서 음주가 치명적이지 않은 심장발작은 약간 낮춰주는 효과는 보여줬지만, 이 역시 다른 부작용을 생각하면 권할 만한 것이 아니다.
연구자들은 “알코올 섭취와 다양한 심혈관 질병 사이의 여러 관계들은 알코올이 혈압을 높여주는 것과 관계가 있으며, ‘좋은 콜레스테롤’로도 불리는 ‘고밀도 지질 단백 콜레스테롤’ (HDL-C)을 높이는 요인과 연관이 있을지 모른다”고 말했다.
약간의 음주가 치명적이지 않은 심장질환의 위험을 낮춰주지만, 동시에 적당한 음주에 따라 발생하는 다른 몇 가지 중대한 심혈관질환의 위험이 높아지는 부작용과 함께 생각해야 한다. 음주가 심장질환에 다소 도움이 될지 모르지만, 다른 심혈관 질환에는 더 큰 해를 끼칠지 모른다는 말이다. 결국 모든 음주는 건강에 해롭다는 매우 강력한 메시지를 담고 있다.
그러나 이번 연구는 음주자들이 작접 작성한 보고서와 관찰자료를 바탕으로 한 것이다. 이번 연구가 원인과 결과에 대한 확실한 결론을 낸 것은 아니라고 밝혔다.
논문 주저자인 영국 캠브리지 대학의 안젤라 우드(Angela Wood)박사는 “만약 당신이 이미 알코올을 마시고 있다면, 술을 줄이는 것이 몇 가지 심혈관 위험을 낮추면서 오래 사는 방법”이라고 말했다.
우드 박사는 “음주가 치명적이지 않은 심근경색의 위험을 다소 낮춰주는 것과 연관 있지만, 다른 심각하고 치명적인 심혈관 질환의 위험을 높여주는 것과 균형을 이뤄 생각해야 한다”고 말했다.
권고량은 한계치일 뿐, 더욱 낮춰야
영국 심장재단(British Heart Foundation)의 영양사인 빅토리아 테일러(Victoria Taylor)는 “이번 연구가 음주 권고량을 영국보다 높게 정한 다른 나라 국가들에게 경각심을 줄 것이며, 영국의 정부 권고량을 더욱 강화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테일러는 “영국의 많은 사람들이 권고량 이상으로 정기적으로 술을 마신다. 알코올 권고량은 한계라고 생각해야지, 도달해야 할 목표로 여겨서는 안 되므로 이 보다 훨씬 적게 마시려고 노력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번 연구의 공동저자인 미국 듀크대학의 댄 블레이저(Dan Blazer) 박사는 “의사와 건강관리자들은 이번 연구내용에 주의를 기울이고 환자들에게 전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블레이저 박사는 “이번 연구는 안전하다고 생각했던 알코올 섭취량이 실제로는 수명을 단축하면서 몇 가지 심각한 건강문제와 관계가 있음을 보여준다”고 말했다.
이번 조사에 참가한 사람 중 약 절반은 매 주 안전한 한계인 100g이상의 알코올을 마신다고 답변했는데 이는 영국이나 캐나다 스웨덴에서 추천한 한계치에 유사한 것이다.
이에 비해서 미국의 음주 권고량은 매 주 196g으로 이는 와인 11잔에 해당하며 영국 권고량의 2배 가까이 된다. 이탈리아 포르투갈 스페인도 권고량이 150g으로 높다.
(8360)
로그인후 이용 가능합니다.
몸집이 크고 순종인 수컷 반려견이 몸집이 작은 잡종견보다 더 어린 나이에 암 진단을 받는 경우가 많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미국 캘리포니아주 라호이아의 액체생검업체 펫디엑스(PetDx)의 질 라팔코 박사팀은 2일 과학저널 '플로스 원'(PLOS ONE)에서 암에 걸린 개 3천452마리의 암 진단 중간 나이를 분석, 이런 결론을 얻었다고 밝혔다.
액체 상태의 물과 가장 흡사한 새로운 형태의 얼음이 발견돼 학계에 보고됐다. 액체 상태의 물이 고체로 바뀐 얼음은 다 같은 것이 아니라 결정 형태가 밝혀진 것만 20종에 달한다. 여기에다 분자가 일정하지 않아 밀도로 따지는 비정질얼음도 두 가지나 있는데, 물과 밀도가 거의 똑같은 얼음이 추가된 것이다.
허블 우주망원경이 태양과 같은 별이 연료를 모두 소진하고 핵만 남은 백색왜성의 질량을 처음으로 직접 측정해내는 성과를 냈다. 미국 항공우주국(NASA)에 따르면 샌타크루즈 캘리포니아대학의 천문학자 피터 맥길 박사가 이끄는 연구팀은 허블 망원경을 이용해 백색왜성 LAWD 37의 질량을 측정한 결과를 영국 '왕립 천문학회 월보'(MNRAS)에 발표했다.
전남대가 참여한 공동연구팀이 고정밀 바이오센서, 차세대 디스플레이용 투명 전극 등에 적용할 수 있는 전도성 고분자 물질의 내구성을 향상하는 기술을 개발했다고 1일 밝혔다. 전남대 고분자융합소재공학부 윤창훈 교수 연구팀과 충북대 전자공학부 강문희 교수는 공동연구를 통해 800 S/cm 이상 높은 전기 전도도를 갖는 전도성 고분자(PEDOT:PSS) 물질의 물에 대한 내구성을 개선할 메커니즘을 발견했다.
중성자별끼리 충돌해 초강력 폭발을 일으키며 금을 생성하는 '킬로노바'(Kilonova)의 모든 조건을 갖추고 이를 준비 중인 쌍성계가 처음으로 관측됐다. 이런 쌍성계는 1천억개가 넘는 우리 은하 별 중에서도 열 손가락 안에 꼽을 정도로 극히 드문 것으로 제시됐다.
한국과학기술원(KAIST) 바이오및뇌공학과 조광현 교수 연구팀은 폐암 세포의 성질을 변환시켜 전이를 막고 약물 저항성을 제거하는 기술을 개발했다고 30일 밝혔다. 연구팀은 폐암 세포를 전이시킬 능력이 없는 상피세포가 전이 가능한 중간엽세포로 변하는 '천이 과정'(EMT)에서 나타나는 다양한 암세포 상태를 수학모델로 만들었다.
중성자별끼리 충돌해 초강력 폭발을 일으키며 금을 생성하는 '킬로노바'(Kilonova)의 모든 조건을 갖추고 이를 준비 중인 쌍성계가 처음으로 관측됐다. 이런 쌍성계는 1천억개가 넘는 우리 은하 별 중에서도 열 손가락 안에 꼽을 정도로 극히 드문 것으로 제시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