잠을 조금만 자게 할 뿐만 아니라 수면 부족에서 오는 기억력 감소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최초의 유전자가 발견됐다.
미국 샌프란시스코 캘리포니아대학(UCSF)의 잉후이 푸 신경학 교수팀은 이 같은 연구 결과를 국제학술지인 ‘사이언스 중개의학(Science Translational Medicine)’ 최신호(10월 16일 자)에 발표했다.
보통 사람들의 적절한 수면 시간은 7~9시간이다. 그런데 푸 교수팀은 매일 평균 5.5시간과 4.3시간밖에 자지 않는 아버지와 아들에게서 NPSR1 유전자의 돌연변이를 확인했다. 이 유전자는 수면을 조절하는 기능과 관련이 있다.
만성적으로 수면이 부족하게 되면 비만, 당뇨병, 심혈관질환, 우울증, 인지능력 결여 등에 시달릴 가능성이 높다. 하지만 보통 사람들보다 2~4시간이나 적게 자는 이들 부자는 수면 부족으로 인한 어떠한 부작용도 나타나지 않았다. 또한 그들은 평범한 사람보다 더 낙관적이며 멀티태스킹에 능숙한 것으로 알려졌다.
UCSF 연구진은 잠을 조금 자게 할 뿐만 아니라 수면 부족에서 오는 기억력 감소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최초의 유전자가 발견됐다고 밝혔다. ⓒ Image by congerdesign from Pixabay
연구진은 이들 부자의 유전자 염기서열을 조사한 결과, 뉴런 표면에 자리 잡고 있는 신호 단백질을 인코딩하는 NPSR1이라는 유전자에서 돌연변이가 나타났음을 알아차렸다. 이 같은 돌연변이는 400만명 중 1명도 안 되는 사람들에게서 일어나는 매우 희귀한 사례라고 연구진은 밝혔다.
푸 교수팀은 이 유전자의 기능을 이해하기 위해 유전자 조작으로 NPSR1 유전자에 돌연변이를 일으킨 생쥐들을 대상으로 일련의 실험을 실시했다. 그 결과 돌연변이를 가진 생쥐는 일반 쥐들보다 평균 71분 정도 잠을 덜 자는 데도 신체적으로는 더 활동적인 것으로 드러났다.
잠을 적게 자도 평상시 기억력 유지
연구진은 생쥐들에게 기억력 테스트도 실시했다. 특수 설계된 방에 쥐들을 넣고 몇 분 동안 새로운 환경을 탐색할 수 있게 한 다음 발에 전기 자극을 가해 약간의 충격을 준 것. 잠을 충분히 잔 보통 쥐들은 하루 후 그 방에 다시 돌아왔을 때 그 전기 충격을 기억해서 방을 더 천천히 탐색하는 행동을 보였다.
하지만 수면이 부족한 보통 쥐의 경우 전기 충격을 받은 지 하루 후 다시 그 방에 돌아왔을 때 전기 충격을 전혀 기억하지 못한 채 마음대로 돌아다녔다. 그런데 NPSR1 유전자에 돌연변이가 있는 생쥐들은 수면 부족에도 불구하고 전기 충격을 정확히 기억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잉후이 푸 교수는 “NPSR1은 짧은 수면을 촉진할 뿐만 아니라 수면 부족에서 오는 기억력 문제를 예방한다. 이것은 수면 부족의 많은 부작용들 중 하나에 대해 보호 효과를 발휘하는 최초의 유전자이다”라고 말했다.
연구진은 NPSR1 단백질이 세포 표면 수용체이므로 언젠가는 이 유전자를 활성화시키거나 방해하는 약물을 개발할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즉, 수면 장애 치료에 도움이 되거나 수면 부족과 관련된 특정한 인지적 결손을 예방할 수 있는 미래의 치료법을 개발할 수도 있다는 뜻이다.
이번에 연구 대상이 된 아버지와 아들은 자신들이 직접 연구진에게 연락을 취해 와 실험이 진행된 것으로 전해졌다. 푸 교수팀이 이전에 발표한 연구 결과를 봤기 때문이다.
푸 교수팀이 짧은 수면 유전자를 처음으로 발견한 것은 10년 전인 2009년이다. 당시 발견한 유전자는 DEC2인데, 이 유전자에 돌연변이가 생긴 사람은 하루 평균 6.25시간밖에 자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 후 푸 교수팀은 짧은 수면을 취하는 다른 유전자를 찾기 위한 연구에 나섰다. 짧은 수면을 취하는 이들이 모두 DEC2 유전자 변이를 갖고 있었던 것은 아니기 때문이었다.
세 번째 발견된 짧은 수면 관련 유전자
그러다 10년 만인 지난 8월에 두 번째 짧은 수면 유전자인 ‘ADRB1’을 발견했다. 이 유전자를 발견하는 데 10년이나 걸린 이유는 3대 연속 짧은 수면 체질을 타고난 한 가족을 그때야 발견했기 때문이다.
ADRB1 유전자에 돌연변이가 생긴 생쥐들은 보통 생쥐들에 비해 평균 55분 정도 잠을 적게 자는 것으로 밝혀졌다. ADRB1 유전자는 호흡이나 심장박동 등 생명유지 활동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뇌간의 배(背)측 뇌교 부위에서 발현도가 유난히 높게 나타났다.
뇌간의 기능 중 하나가 수면 및 각성 상태를 조절하는 것인데, ADRB1 돌연변이가 나타난 생쥐는 수면 단계에서 각성을 촉진하는 뉴런이 더 쉽게 활성화되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번에 발표된 NPSR1 유전자는 푸 교수팀이 발견한 세 번째 짧은 수면 관련 유전자다. 잉후이 푸 교수는 “현재 이 분야는 훨씬 빠르게 발전하고 있으며, 이제서야 유전자가 잠을 잘 자게 하는 데 얼마나 중요한 역할을 하는지 알기 시작했다고”고 전했다.
미국 과학매체 ‘사이언티픽 아메리칸’의 보도에 의하면, 푸 교수팀은 이 유전자들의 배후 메커니즘을 계속 연구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또한 연구진은 앞으로 약 10개의 유전자를 찾을 수 있으며, 그렇게 되면 언젠가는 수면의 비밀에 대한 전체적인 윤곽을 알 수 있게 될 것이라고 밝혔다.
(8807)
로그인후 이용 가능합니다.
울산과학기술원(UNIST)과 이화여대 연구진이 뇌졸중으로 인한 뇌 손상을 완화하는 새로운 면역세포를 발견했다. 4일 UNIST에 따르면 생명과학과 박성호 교수와 이화여대 오구택 교수 공동 연구팀은 뇌졸중으로 인한 손상을 막는 신종 미세아교세포(Microglia)를 발견하고 세포 발생 원리를 규명했다. 미세아교세포는 원래 뇌를 비롯한 중추신경계에만 분포하면서 병원균, 죽은 세포 등을 먹어 치우는 면역 담당 세포로 알려져 있다.
한국의 첫 달 탐사 궤도선 '다누리'(KPLO·Korea Pathfinder Lunar Orbiter)가 한국시간 5일 오전 8시 8분(미국 동부시간 4일 오후 7시 8분)께 우주로 발사됐다. 다누리는 발사 40여분간에 걸쳐 1단 분리, 페어링 분리, 2단 분리 등을 마치고 우주공간에 놓였으며, 발사 후 초기 과정이 순조롭게 진행된 것으로 보인다. 다누리가 발사 이후 궤적 진입부터 올해 말 목표궤도 안착까지 까다로운 항행 과정을 성공적으로 마무리한다면, 우리나라는 달 탐사선을 보내는 세계 7번째 나라가 되면서 우주 강국의 지위를 굳히게 된다.
바이러스는 인간뿐 아니라 박테리아도 공격한다. 실제로 박테리아에 감염하는 박테리오파지(bacteriophageㆍ약칭 '파지')는 여러 유형이 있다. 수십억 년 동안 바이러스와 박테리아는 생존을 위한 진화적 '군비 경쟁'(arms race)을 벌여 왔다. 이 과정에서 양쪽 모두에 수많은 혁신적 진화와 반대 적응(counter-adaptation)이 일어났다.
1970년대 이후로 주춤했던 달 탐사에 다시 전 세계가 뛰어들고 있다. 우리나라는 최초의 인공위성인 우리별 1호를 1992년 발사한 뒤 30년을 숨 가쁘게 달려 5일 첫 달 탐사선 '다누리'를 발사하면서 달 탐사 열풍에 가세했다. 미국과 러시아 등 우주 선진국과 비교하면 늦은 출발이었지만, 이번 다누리 발사를 계기로 달 탐사에 성공한 세계 7번째 나라가 되면서 우주 강국으로 거듭날 수 있을지 주목된다.
태양광 패널이 제대로 펼쳐지지 않아 임무 수행 차질이 우려됐던 미국의 목성 궤도 소행성 탐사선 '루시'가 반년여만에 문제를 해결하고 첫 지구 근접비행을 준비 중인 것으로 발표됐다. 미국 항공우주국(NASA)에 따르면 문제가 됐던 루시호의 태양광 패널은 완전하게 펼쳐진 것은 아니지만 과학 임무를 계획대로 수행할 만큼 충분히 안정적이다.
섭식장애(eating disorder)는 빠르면 9살부터 나타날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섭식장애는 거식증(anorexia nervosa)과 폭식증(bulimia nervosa)이 대표적인 유형이다. 거식증은 살찌는 것이 너무나 무서워 먹는 것을 거부하거나 두려워하는 병적인 섭식장애로 자신이 비만이 아닌데도 비만이라고 생각한다. 먹은 뒤 인위적으로 토하는 등의 행동을 하기도 한다.
한국의 첫 달 탐사선 '다누리'(KPLO·Korea Pathfinder Lunar Orbiter)가 내일 우주로 향한다. 4일 과학기술정보통신부(과기정통부)와 한국항공우주연구원(항우연)에 따르면 다누리는 한국시간 5일 오전 8시 8분(미국 동부시간 4일 오후 7시 8분)께 미국 플로리다주 케이프커내버럴 우주군 기지에서 스페이스X사의 팰콘9 발사체에 실려 발사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