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럽우주국의 2025 어젠다. 2022년 우주 정상회담(Space summit)을 개최할 예정이다. ©ESA
지난 4월 7일 ‘유럽우주국 (European Space Agency, ESA)’은 1시간가량 온라인 프레스 브리핑의 형식으로 ‘유럽우주국 2025 어젠다’를 발표했다.
유럽우주국은?
유럽우주국은 유럽의 여러 나라들이 공동으로 설립한 우주개발기구로, 1975년 설립 당시에는 가입국이 10개국이었고, 현재는 22개국이 있다. 유럽 연합(European Union)과는 별개의 독자적인 기구로, 유럽 연합은 파트너로서 함께 하고 있다. 한국 항공우주연구원(이하 항우연)이나 미국 항공우주국(NASA, 이하 나사), 중국 국가항천국(CNSA) 등과 같은 기능을 하는 우주기구이다.
유럽우주국이 보유한 우주 발사체로는 15회 연속 발사에 성공한 주요 발사체인 아리안 5와, 중형 운반 로켓이자 유인 우주선으로 사용 가능하다고 알려진 소유스, 경량 적재물 발사체 베가 등이 있다. 1990년대에는 미국의 나사와 활발한 협력으로 태양 조사를 위한 무인 탐사기 율리시스를 발사하고 토성의 위성 타이탄 표면에 탐사선을 착륙시키기도 했으며, 2005년에는 금성 탐사선 비너스 익스프레스를 발사하기도 했다. 2025년까지는 화성에 유인 우주선을 착륙시킨다는 계획을 발표하기도 했다.
새로 임명된 조세프 아쉬바허(Josef Aschbacher) 유럽우주국 청장의 발표로 진행된 이번 브리핑은 미리 배포한 17페이지가량의 자료를 바탕으로 했다. 먼저, 2035년까지의 밑그림을 요약하고, 2025년까지 단기 어젠다로 유럽우주국의 우선순위에 어떤 계획들이 있는지 소개하고, 이어 기자들의 질문에 답하는 형식으로 진행되었다.
ⓒ게티이미지뱅크
유럽이 그리는 2035년
유럽우주국이 그리는 2035년은 배포 자료의 1페이지 반에 걸쳐 있는 두 친구의 통화 내용에 나타나 있다. 2035년 우주인 오로라는 달로 가는 다섯 번째 미션을 수행하는 중이다. 지구에서 출발해 우주로 나가는 중에 우주선 안에서 지구에 있는 가장 친한 친구 레오와 통화를 하는 것이다. 레오는 오로라가 ‘포보스(phobos) 미션’에 참여한다는 소식을 들었다고, 인사를 건넨다. 포보스는 화성을 돌고 있는 두 개의 달 중 하나다.
유럽우주국은 2035년까지 지구의 달에 탐사를 다녀오고, 가능하면 화성으로도 탐사를 보낼 계획을 가지고 있다. 태양계 밖에 위치한 여러 외계행성들의 위치 파악을 마치고, 이 중에 지구와 비슷한 대기 조건을 가지고 있는 행성들도 몇 개 있기를 기대하고 있다. 최근 우주 연구에서 큰 기대를 모으고 있는 분야 중 하나가 지구와 비슷한 환경을 가진 행성들을 파악하고 개척하는 일로, 이는 미래에 우리 인류가 지구 바깥으로 확장할 수 있다는 의미가 있다. 화성 탐사는 그 일환으로 태양계 내의 가장 가깝고 가능성이 있는 행성에 대한 시도다.
2025년까지의 계획
이 같은 밑그림 위에, 현재 유럽우주국은 2025년까지 유럽 연합과의 관계를 더 강화하고, 상업화와 안전⋅보안 문제, 운영 중인 프로그램들의 문제 해결, 유럽우주국 내부 혁신 등의 다섯 가지 현안을 우선순위로 두고 노력하겠다고 발표했다. 유럽 연합은 유럽우주국의 중요한 파트너로서 2021년 기준 1년 예산의 26퍼센트를 기여했다. 유럽우주국과 유럽 연합은 이 같은 공조를 더 강화시키기 위한 양자 간의 합의안(Financial Framework Partnership Agreement, FFPA)을 곧 체결할 계획이다.
상업화 문제에 대해 설명으로 왼쪽 그래프에 유럽에서 사기업들의 투자가 미국에 비해 크게 낮은 것을 보여준다. ©ESA
상업화 문제는 미국에서 스페이스 X와 블루 오리진으로 대표되는 실리콘밸리를 중심으로 하는 사기업의 우주 개발을 유럽 내에서도 적극 장려하기 위한 방안을 말한다. 실리콘밸리식 접근을 유럽에 그대로 적용하는 것은 문화적으로나 법적 환경을 고려할 때 불가능하지만, 재능을 고루 지지하고, 벤처 기업을 지지할 파트너십을 끌어내고, 속도와 효율을 높여 고무적인 환경을 만들 수 있을 거라고 강조한다.
이를 위해 유럽우주국은 미국 나사의 ⅕ 수준인 현재의 예산을 더 확대할 필요가 있다고 설명했다. 이와 더불어 2022년에 개최될 ‘우주 정상회담(Space summit)’에서 유럽의 가입국 수장들과 유럽 연합의 지도부가 우주 정책과 관련해 추구하는 것과 우선순위가 적극적으로 논의되도록 의제로 정할 것이라고 했다. 항공연이나 나사 등과 달리, 특정 정부에 소속되지 않은 만큼 정책 결정 과정이 가입국들 사이의 다양한 이익을 대표하는 방식으로 합의하는 유럽우주국의 특징인 셈이다.
더불어, 아쉬바허 청장은 미국의 투자은행 모건스탠리를 인용해 우주의 경제 가치는 현재 3,500억 달러로 추정되며, 2040년까지 1조 달러까지 증가할 수 있는 만큼 경제적 측면에서 우주가 가진 잠재력 역시 우주 정상회담에서 논의될 필요가 있다고도 밝혔다. 오는 회담에서 향후 10~15년간 유럽우주국의 방향이 결정될 전망이다.
(1326)
로그인후 이용 가능합니다.
지구 지각 160㎞ 아래에 암석이 부분적으로 녹아있는 지금까지 알려지지 않았던 새로운 층이 존재하는 것으로 학계에 보고됐다. 미국 오스틴 텍사스대학과 CNN 등에 따르면 이 대학 '잭슨 지구과학대학원'의 화쥔린 박사가 이끄는 연구팀은 지구 전체에 걸쳐 이런 층이 존재한다는 점을 밝힌 연구 결과를 과학저널 '네이처 지구과학'(Nature Geoscience) 최신호(6일자)에 발표했다.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은 피부가 늘어나고 줄어드는 양과 방향을 정확히 측정해 재활 치료 등에 활용할 수 있는 센서를 개발했다고 8일 밝혔다. 연구진은 3개의 센서를 서로 다른 방향으로 인접 배치해 이들에서 나오는 신호의 조합으로 특정 부위 신축 방향과 변형량을 동시에 뽑아냈다.
멸종 인류인 네안데르탈인이 살던 선사시대 동굴에서 현대인도 즐겨 먹는 것과 같은 종의 게 껍데기가 무더기로 나와 9만 년 전에 이미 게 맛을 알고 즐겼던 것으로 제시됐다. CNN 등 외신에 따르면 '카탈루냐 인류고생물학 및 사회진화연구소'의 마리아나 나바이스 박사가 이끄는 연구팀은 리스본 인근 피게이라 브라바 동굴에서 발굴된 게 껍데기를 분석한 연구 결과를 과학 저널 '환경 고고학 프런티어스'(Frontiers in Environmental Archaeology)에 발표했다.
지스트(광주과학기술원)는 신소재공학부 권인찬 교수 연구팀이 산업 폐기물 속에 포함된 수소를 이용해 폐기물 속 이산화탄소를 연료전지의 원료인 '개미산(포름산)'으로 쉽게 전환하는 효소를 발굴했다고 8일 밝혔다. 지스트에 따르면 기후 온난화에 영향을 미치는 산업 폐가스를 유용한 화학연료로 전환하는 연구에서 핵심은 산업 폐가스에 포함된 다른 가스에 영향을 받지 않고 전기와 같은 별도의 에너지 공급이 필요 없는 공정을 개발하는 것이다.
우주에서 한반도와 주변 해역을 감시할 초소형위성 체계 개발이 본격화한다. 정부는 초소형위성 체계 개발을 위해 참여 부처, 개발기관, 소요기관 간 추진 계획을 공유하는 회의를 9일 대전에서 개최했다고 밝혔다. 초소형위성 체계 개발사업은 국가 우주자산을 효율적으로 활용하기 위해 국방부 및 방위사업청, 과학기술정보통신부, 해양경찰청, 국가정보원 등 다부처 협력사업으로 추진한다.
분당서울대병원 신경외과 정한길·김택균 교수, 신경과 윤창호 교수 공동 연구팀은 두경부(머리와 목 부분)의 X-선 영상을 이용해 수면무호흡증을 진단하는 인공지능(AI) 모델을 개발했다고 7일 밝혔다. 수면무호흡증은 자는 동안 호흡이 일시적으로 멈추거나 호흡량이 줄어드는 상태를 말한다. 이런 상태가 장기간 지속되면 고혈압, 심근경색, 뇌졸중 등의 심뇌혈관 질환이 발생할 위험이 크게 높아진다.
한국재료연구원은 배터리 핵심 소재 리튬이온으로 차세대 뉴로모픽 반도체 소자를 세계 최초로 구현했다고 8일 밝혔다. 뉴로모픽 반도체 소자는 인간 뇌를 모사해 전력 소모를 줄이면서 고효율로 인공지능을 수행할 수 있는 새로운 반도체 소자다. 재료연구원 나노표면재료연구본부 김용훈·권정대 박사 연구팀이 이 기술을 개발했다.